• Title/Summary/Keyword: 유형적 형태학

Search Result 55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artitioning of Metal Cations During Synthetic Calcite Growth (방해석 결정 성장시 금속 양이온의 분해 현상에 대한 연구)

  • 윤혜온;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1
    • /
    • pp.31-38
    • /
    • 2001
  • 방해석 결정 성장시 나타나는 미량금속 양이온의 분배현상을 표면침전 및 연속 결정 성장과정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A, B, C 유형의 순수한 방해석이 각각 3가지 다른 초기 농도 즉 0.02, 0.2, 0.4M의 $CaCl_2$.$2H_2$O로부터 형성되었으며 이들의 표면 형태는 합성용액의 조성과 성장 속도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B 유형이 표면형태가 좀더 복잡하지만 A, B 유형은 대체로 단순한{1014}면을 가진 방해석과 유사한 표면형태를 보여준다. 이에 반해 C 유형에서는 {0112}면이 주로관찰되었다. 순수한 방해석 위에 $(Ca, Me)CO_3$층의 대해 {1014}면 3 방향에 대한 전자현미분석 결과 금속이온의 특징적인 분배현상을 알수 있었다. $Mn^{2+}$ /과 $Co^{2+}$ 는 {0112} 에 수직으로 반면 $Sr^{2+ }$ /는 {1014}에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분배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합성 방해석 표면 형태에 따른 금속 이온들의 분배 친화도를 Mn$^{2+}$ 이 C 유형>B 유형 >A 유형 그리고 $Co^{2+}$ 은 B 유형 >A 유형 >C 유형이다. 이들중 $Sr^{2+}$는 특히 {1014}면이 잘발달된 A유형에 더 많은 친화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Architectural New-Type of Netherlands Waterside Housing (네덜란드 수변집합주거의 건축적 신-유형에 관한 연구)

  • Ahn, Woon-Hee;Oh, Kwang-Suk;Jeon, Young-H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5
    • /
    • pp.361-368
    • /
    • 2009
  • If we think about the form of housing architecture, we can find a general or typical type has been through the architectural history. because the formal transformation in housing architecture is very difficult. Recently, there are many housing works in powerful ocean state, netherlands that was different from the typical type in the form of housing architecture. This study focusing on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such works. Such distinctive works in netherlands is the result from an attempt to fulfill the diverse need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and in an effort to refuse the typical type of the modern architec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typological transformation in the contemporary' housing architecture.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조합논리 소개

  • Jeong, Gye-Seop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49-67
    • /
    • 2003
  • 조합논리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해석이 없는 순수한 형태만을 가지고 추상적으로 연산하는 관점에 관한 논리로서, 논리학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 준다. 조합논리의 특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도 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으며 그래서 동일한 연산자가 그 자신의 피연산자도 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기본연산자들의 직관적 개념과 형식적 개념을 소개하고 연산자 대수에 내해 검토하고 나서 조합논리와 $\lambda$-연산의 번역가능성에 다해 알아보겠다. 조합논리에 유형의 개념을 추가하면 자연언어 분석에서 아주 효율적인데 기본유형인 대상자 명제 이외의 어떤 요소라도 함수자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들은 조합자의 특수한 경우로서 파생유형들이다.

  • PDF

Teacher's Perception of Activity Materials in Housing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중학교 기술.가정 주생활영역 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

  • Lee, Young-Doo;Cho, Jea-Soo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0 no.3
    • /
    • pp.215-230
    • /
    • 2008
  • Activity materials in textbook could facilitate students' oriented self-help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activity materials in the housing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3 middle school teachers who had ever taught the housing unit in any of 6 text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activity materials were diffe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such as type of materials, feature of non sentence materials, and type of activity, depend on authors as well as textbooks. In general, teachers interests in the material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even the trends of the interests were the same. Adequacy of activity contents and related knowledge of teachers were higher than adequacy of level. Teachers thought time and extra search beyond class were barrier to full the interests of students.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to find out whether higher interests in the materials are related to the higher activating rate of them.

  • PDF

문제설정의 수준과 유형

  • Kim, Pan-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39-147
    • /
    • 2004
  • 최근 수학 창의성 개발과 관련되어 문제설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문제설정의 기법과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는 실제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설정의 유형과 수준을 논의함으로서 문제설정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문제설정의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첫째, 문제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만들 수 있는 대치적 수준의 문제설정, 둘째 유추적 사고에 의해 만들 수 있는 유추적 수준의 문제설정, 셋째는 개념이나 또는 해를 구하는 방법이나 절차를 다른 형태로 바꾸는, 즉 문제를 재구성, 재정의 및 재조직하여 문제를 만드는 재구성 수준의 문제설정, 넷째는 출판되는 논문의 주제 선정과 같은 전문가 수준의 문제설정으로 분류하였다.

  • PDF

Broadband Interference Patterns in Shallow Water with Constant Bottom Slope (해저면 경사가 일정한 천해에서의 광대역 간섭 유형)

  • 오철민;오선택;나정열;이성욱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5
    • /
    • pp.485-493
    • /
    • 2002
  • Broadband interference patterns are studied using ship as an acoustic source in shallow waters with varying bathymetry. Waveguide invariant index (β) indicating the pattern of constructive (or destructive) interference in range-frequency domain is derived in a waveguide with constant bottom slope based on adiabatic mode theory. Using this invariant, changes of the interference patterns resulting from the variation of bottom bathymetry are analyzed. Results of the analytic interpretation is compared with those from sea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A Study of the Type of Absent Body in Clothing - Based on Deconstructionism - (의상에 있어서 신체부재의 유형 연구 - 해체적 사고에 근거하여 -)

  • 박현신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3
    • /
    • pp.231-240
    • /
    • 2002
  • The relationship between doffing and body has been fixed, deconstructism evoked doubt about not only presence or absence of body but also identity for wear. In the result, meta-body which is beyond the existent body was proposed through deconstruction of body which is main concept for doffing. The decostructive body have an effect on the way of expressions and forms for doffing as well as the rational doffing, and propose various types of body absence in clothing. The results are: 1. the absence of gender identity 2. the absence of wholeness in harmony 3. the absence of doffing form 4. the absence of meaning as clothing

  • PDF

Living Arrangement and Health Behavior Profiles Among Midlife and Older Adults (중노년기 거주형태에 따른 건강행동프로파일 유형화)

  • Kim, Bon;Oh, Seung-Eun;Min, Joohong
    • 한국노년학
    • /
    • v.40 no.4
    • /
    • pp.691-70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plore health behavior profile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rived profiles and living arrangement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data from wave 6 (2016)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latent profile analyses were applied to identify patterns of health behavior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conducted to predict profile membership using living arrangement (i.e., living alone, living with spouse only, living with family member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ample of 7,048 respondents aged 55 and older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can be grouped into four health behavior profiles: "High health-compromising" (4%), "Moderate health-compromising" (28%), "Low health-compromising" (65%), and "High physical activity" (3%). Also, living arrangement showed significant profile differences. Compared to the respondents living alone, those living with spouse onl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low and moderate levels of health-compromising behavior profiles than the "High physicial activity profile". Respondents living with family member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 health-compromising profile" than the "High physical activity profile"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spouse on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iving arrangement need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health promoting programs and supports. Moreover, policy interventions suiting the needs of various sociodemographic subgroups are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