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해생물

Search Result 37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velopment of 1D River Storage Model for Tracing of Hazardous Chemicals in the Water Environment (수환경 유출 유해화학물질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모형 개발)

  • Yun, Se Hun;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9-89
    • /
    • 2019
  • 수환경으로 유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은 독성을 가지고 직접 유출되거나 다양한 매체와 반응하여 화재 및 폭발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실제로 낙동강 유역에서는 1991년 페놀 유출사고를 시작으로 2009년 구미공단 '1,4-다이옥산' 유출사고, 2014년 11월 경북 봉화군의 황산유출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작년 6월에는 대구와 부산의 수돗물에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오염물의 거동 예측이 가능한 추적모델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수환경으로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의 추적을 위한 1차원 저장대 모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저장대 모형은 복잡한 하천 구조를 하천의 주 흐름이 존재하는 본류대와 하천 흐름이 정체되는 저장대, 그리고 하상구조로 단순화 하여 나타낸다. 본류대에서는 하천흐름에 의한 이송 및 횡방향 유속차로 발생하는 전단류에 의한 확산이 일어나며, 저장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와의 흡착 및 탈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본류대와 저장대간의 질량교환은 난류유속변동과 농도차에 의해서만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오염물질의 이송과 분산과정을 해석한다. 저장대에서는 이송 및 전단류에 의한 확산은 일어나지 않으며, 본류대와의 물질교환으로 발생하는 저장효과와 하상구조로의 흡착, 그리고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며, 하상구조에서는 본류대 및 저장대와의 흡착 및 탈착만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저장대 모형의 해석을 위해서는 리치(Reach) 별로 본류대 분산계수($K_F$), 본류대 면적($A_F$), 저장대 면적($A_S$), 그리고 저장대 교환계수(${\alpha}$)의 네 가지 저장대 매개변수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저장대 모형은 흡탈착, 생물화학적 반응 및 휘발 과정을 모두 고려하여 유해화학물질의 확산 거동을 모의한다. 최적의 리치길이, 흡탈착, 반응 및 휘발 계수를 산정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오염물의 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연안의 유해물질 오염과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 조현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1.02a
    • /
    • pp.14-18
    • /
    • 2001
  • 현대의 우리들의 생활환경 중에는 약 10만 종류 이상의 아주 많은 화학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매년 약 1000종류의 새로운 화합물이 상품화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편리한 기능을 가져다 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최근 생태계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판명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들 중에는, 성호르몬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호르몬 수용체에 잘못 결합하여 호르몬 활성을 異常히 높이는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또, 약물대사 효소의 유도나 효소활성의 저해 등에 의한 물질대사의 교란, 면역계통의 저해, 발암작용 등의 영향에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군의 물질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 환경 호르몬)로 불리며, 최근의 여성에 있어서 유방암의 발생율의 상승이나 남성의 정자수의 감소, 혹은 어떤 종의 야생 생물에 있어서 생식기능 장해(악어 수컷 생식기의 퇴화, 수컷 잉어등의 암컷화, 일부 권패류의 임포섹스 등)는 이러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의하여 유발되고 있다고 하는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환경 중에서의 분포나 다양한 생물에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부족하고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실태나 그 메카니즘 및 그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는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고 있어, 그것에 의한 생체영향의 평가를 총합적으로 검토하기까지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물질에 관한 연구는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연구는 지금까지는 아직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빠른 시기에 발견하여 그것들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고, 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 불가결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환경호르몬 물질 중 본 연구실에서 수행한 내용을 중심으로 유해화학물질 오염 및 대책에 대하여 간단히 발표하고자 한다. 발표내용은, 남해안을 중심으로 조사한 유기주석화합물 오염, 광양만에서의 PAHs(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및 Bisphenol A 오염에 관한 연구결과와 이러한 유해화학물질 오염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하나의 유용한 방법으로서 위해성 평가에 대하여 실례를 중심으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중금속 화학형태 연구에 의한 해양투기 하수슬러지의 생태위해성 평가

  • 권영택;한성대;안병영;윤지훈;김부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92-96
    • /
    • 2003
  • 1) 우리나라의 하수슬러지 해양투기량은 발생량의 73%를 상회하고 있으며 최근에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2) 슬러지를 비롯하여 해양에 투기된 유해성분은 해양생물권 오염도 증가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3) 해양에 투기된 하수슬러지가 침강하여 퇴적층을 형성하였을 때 저서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은 아주 높았다. 4) 슬러지의 중금속 화학형태 분석 결과 생물이 이용 가능한 중금속 비율이 원소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총 함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도 있었다. 5) 해양생물권의 오염도 증가, 유해성분에 의한 생태계의 악영향 및 투기된 중금속의 높은 생물 이용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하수슬러지 처리방법의 전환이 필요하였다.

  • PDF

University research Laboratory worker health damage Factors Influencing (대학 연구실험실 종사자 건강피해 영향요인 분석)

  • Jang, Ung-Bur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91-29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연구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활동에 따라 다양한 유해요인이 존재하게 된다. 생물 관련 실험실에서 근무하는 연구 활동 종사자들은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같은 유해요인, 화학 관련 실험실에서 근무하는 연구 활동 종사자들은 다양한 화학물질에 노출되고 있고 이렇게 노출되는 유해요인에 따라 연구 활동 종사자들이 경험하는 건강요인도 다르다. 외국에서는 연구 활동 종사자들 대상으로 실험실 근무와 건강영향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있는 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부 대학의 생물 및 화학실험실의 연구 활동 종사자를 대상으로 건강상의 영향을 조사하고 연구 활동 종사자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 PDF

유해가스 흡착용 이온교환 부직포의 합성 및 흡착특성

  • Yang, Gab-Seok;Kim,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0-163
    • /
    • 2003
  • 산업시설의 급속한 팽창과 더불어 날로 증가하는 환경오염 문제는 대기 배출오염원과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어 점차 인체에 유해한 대기 오염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오염물질 중 암모니아를 포함한 유해 가스는 화학공정에서 뿐만 아니라 양돈양계장, 비료공장, 사료제조공장, 분뇨처리장 등으로 그 발생원이 다양하며 질소를 함유한 유기물이 생물학적으로 분해될 때 생성된다.(중략)

  • PDF

세심한 주의만으로 농약화 막을수 있다 -농약중독과 안전사용-

  • 최승윤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2 no.12
    • /
    • pp.4-18
    • /
    • 1981
  • 농약은 인류생활에 직접$\cdot$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유해생물을 죽이고자 만들어진 화학제품이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게 되면 사람이나 가축 또는 생활주변환경에 많은 해를 끼치기 쉽다. 그러나 최근 사용되고 있는 농약은 취급이나 살포시 조금만 조심한다면 농약에 의한 중독은 일소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 PDF

Effects of Fish and Bacterium on the Morphological and Growth of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박테리아와 어류가 유해조류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 및 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Bo-Ra;Han, Myung-Soo;Kim, Baik-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3 s.113
    • /
    • pp.420-428
    • /
    • 2005
  • Effects of three biological control agents such as Xanthobacter autotrophycus, Tanichthys albonubes and Oryzias latipes on the morphology and growth of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were studied. The experiments were consisted of six treatments of living organism (LO) and culture filtered water of three organisms (CFW). Three LOs effectively decreased the density of M. aeruginosa, and then cyanobacteria hardy showed in the microscopic field after 5 days of cultivation. All LO and CFW agents induced the colonial formation of cyanobacterium M. aeruginosa, although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colony formation according to the kinds, density and type of treatment. In particular, the higher density treatment of fish CFW induced effectively the colony formation of cyanobacteria, compared to the bacterial LO and CFW. Thus, the application of bio agents to control the cyanobacterial bloom is needed to the further study to diminish the adverse effects such as the enhancement of colony formation towards on the new bloom against the aquatic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