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해사이트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불법유해정보 법.제도 동향 분석

  • Yun, Yeo-Saeng;Yu, Jin-Ho
    • Review of KIISC
    • /
    • v.22 no.3
    • /
    • pp.25-36
    • /
    • 2012
  • 기존 불법유해정보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재정립하고, 국내외 불법유해정보 법 제도 현황을 살펴 보았다. 이와 함께 불법유해정보 접근 차단 방안에 대한 이용자 설문 결과를 기초로 불법유해정보 차단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 유해정보차단 프로그램의 문제점인 메모리 사용량 증가에 따른 컴퓨터 성능 저하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청소년 이용자의 보호자 또는 학부모가 사이트별로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다중 필터링 시스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불법유해정보 신고 프로그램은 신고주소, 신고제목, 증거자료 입력 등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신고를 원하는 사이트를 이미지화 하여 바로 저장 및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신고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신고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주민등록번호 입력 방식에서 개인식별번호를 이용한 i-PIN 도입을 의무화하고, 기존 i-PIN 사용자의 전환사용을 통해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개인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i-PIN 사용을 의무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율 등급 서비스' 이외에도 제3의 기관을 통한 '제3자 등급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여 정보제공자의 부정확한 등급 표시의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해야 한다.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cepting System on Hurtfulness Information (유해정보 차단 시스템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

  • Shim, Jae-Kwon;Lee, Jin-Kwan;Han, Kyoung-Lok;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943-946
    • /
    • 2002
  • 본 논문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유해 정보들이 인터넷을 통해 무분별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우리의 청소년들이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유해 정보를 차단하기 위해 여러 차단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어서 기존의 차단 소프트웨어들은 차단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목록에 있는 경우 차단을 하거나 등급 표시에 따르도록 한다. 차단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등급 표시에 따른 오류나 사전 검열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 문제점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이트 상에서 제공되어지는 내용을 AC 머신을 이용하여 유해 단어를 추출하고 유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유해 단어에 가중치를 부여했다. 그 결과로 유해 정보를 포함한 사이트는 90%의 차단률을 보여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판명되었다.

  • PDF

McDoT: Multi-Channel Domain Tracking Technology for Illegal Domains Collection

  • Cho, Ho-Mook;Lee, JeongYoung;Jang, JaeHoon;Choi, Sang-Yo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2
    • /
    • pp.127-134
    • /
    • 2020
  • Recently, Harmful sites, including pornographic videos, drugs, personal information and hacking tool distribution sites, have caused serious social problem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Internet environment where anyone can use it freely,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user effectively. And the site operator operates by changing the domain to bypass the blockage. Therefore, even once identified sites have low persist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multi-channel domain tracking technology, a technique that can effectively track changes in the domain addresses of harmful sites, including the same or similar content, by tracking changes in these harmful sites. Proposed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an continuously track information in a domain using OSINT technology. We tested and verified that the proposed technology was effective for domain tracking with a 90.4% trace rate (sensing 66 changes out of 73 domains).

A Distinction Technology for Harmful Web Documents by Rates (등급에 따른 웹 유해 문서 분류 기술)

  • Kim, Yong-Soo;Nam, Taek-Yong;Won, Dong-Ho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7 s.110
    • /
    • pp.859-864
    • /
    • 2006
  • The openness of the Web allows any user to access almost any type of information easily at any time and anywhere. However, with function of easy access for useful information, internet has dysfunctions of providing users with harmful contents indiscriminately. Some information, such as adult content, is not appropriate for all users, notably children. Additionally for adults, some contents included in abnormal porn sites can do ordinary people's mental health harm. In the meantime, since Internet is a worldwide open network it has a limit to regulate users providing harmful contents through each countrie's national laws or systems. Additionally it is not a desirable way of developing a certain system-specific classification technology for harmful contents, because internet users can contact with them in diverse way, for example, porn sites, harmful spams, or peer-to-peer networks, etc. Therefore, it is being emphasized to research and develop context-based core technologies for classifying harmful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text filter for blocking harmful texts of web documents using context-based technologies.

업체탐방 - 플러스기술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9 s.64
    • /
    • pp.50-51
    • /
    • 1998
  •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학교나 기업에서는 새로운 골치거리가 생겼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포르노, 폭력 등 유해 사이트에 접속하고 기업에서는 근무시간에 오락, 도박 등 업무를 방해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이다. 이런 접속은 학교나 회사에게 시간적, 정신적, 물질적으로 많은 손해를 가져다 준다. 그래서 이런 유해정보는 차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 유해정보를 차단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인터넷 차단 소프트웨어인 넷아르고스를 개발해 해외수출을 모색중인 플러스 기술을 찾아가 개발배경과 제품기능에 대해 들어봤다.

  • PDF

An Inappropriate Web_ Images Blocking System Based_on Strong Paternalism (강한 간섭주의를 기반한 유해 영상 정보 노출 차단 시스템)

  • 이재현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6 no.4
    • /
    • pp.51-59
    • /
    • 2001
  • As internet activates, web sites that supply images harmful to the emotion of youth are overflowing rapidly. Chances that the youth approach to the harmful sites are increasing, and then the emotion of youth is damaged seriously.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system that distinguish harmful ones from images in the web documents of user-accessed URLs and output the document after blocking images harmful to the youth.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bout performance of the web-images blocking system, we found the utility factor of blocking harmful images of the proposed system is 89.6% in the full nudity 70.1% in the half nudity, and the error rate is 2.4% in the face images.

  • PDF

A String Analysis based System for Classifying Android Apps Accessing Harmful Sites (유해 사이트를 접속하는 안드로이드 앱을 문자열 분석으로 검사하는 시스템)

  • Choi, Kwang-Hoon;Ko, Kwang-Man;Park, Hee-Wan;Youn, Jong-Hee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9A no.4
    • /
    • pp.187-194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string analysis based system for classifying Android Apps that may access so called harmful sites, and shows an experiment result for real Android apps on the market. The system first transforms Android App binary codes into Java byte codes, it performs string analysis to compute a set of strings at all program points, and it classifies the Android App as bad ones if the computed set contains URLs that are classified because the sites provide inappropriate contents. In the proposed approach, the system performs such a classification in the stage of distribution before installing and executing the Apps. Furthermore, the system is suitable for the automatic management of Android Apps in the market. The proposed system can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methods using DNS servers or monitoring modules to identify harmful Android apps better in different stages.

A Survey of Internet Sexual Sites and Blocking Methods (음란 사이트 현황과 차단 방법에 대한 고찰)

  • 정진성;조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74-480
    • /
    • 2003
  • Internet sexual sites is the most harmful sites for youth in Internet harmful sites. This article describes the survey, distribution methods, contents and blocking methods of Internet sexual sites. We analyze the overall problems of Internet sexual sites seriously and contributes to the healthy Internet culture.

  • PDF

A Study on Pornographic Web Site Detection Based on Contents (콘텐츠 기반 음란물 사이트 검출에 관한 연구 동향)

  • Han, You-Na;Park, Sang-Sung;Shin, Young-Guen;Jang,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143-146
    • /
    • 2008
  • 인터넷의 발전은 온라인상의 무한한 정보 이용을 가능케 하였다. 인터넷 상의 무한한 정보에는 유익한 정보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유해한 정보도 있다. 대표적인 유해 정보인 음란물 사이트는 청소년들에게 쉽게 노출되어 심신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최근에는 이러한 음란물 사이트를 차단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란물 사이트 차단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대표적인 알고리즘들의 성능 비료를 통하여 각 알고리즘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Detection of Malicious Android Apps Using String Analysis (문자열 분석 기반 유해 안드로이드 앱 검출)

  • Choi, Kwanghoon;Park, Kyeongdeuk;Ko, Kwangman;Park, Heewan;Youn, J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180-1182
    • /
    • 2012
  • 안드로이드 앱에서 접근할 수 있는 유해 사이트를 프로그램 분석 방법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어진 앱의 바이너리 코드를 자바바이트 코드로 역 컴파일하고 문자열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실행 중 사용 가능한 문자열 집합을 계산한 다음 유해 사이트 URL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기존에는 앱을 직접 실행해서 특정 URL에 접속하는지 감시하는 동적 모니터링 방법인 반면, 제안한 방법은 앱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앱스토어 관리에서 주기적으로 유해 앱 여부를 검사하는데 제안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