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하시간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am Discharge Routing During Storm Periods in Nam-Han River (남한강 홍수기 댐 방류수 추적)

  • Hwang, Eui-Ho;Ahn, So-Ra;Lee, Eul-Rae;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00-904
    • /
    • 2009
  • 연구에서는 HEC-RAS 모형을 이용한 부등류 모의를 통하여 댐 방류수의 유하시간을 산정하고 이를 실시간 댐 방류수의 봉부자 추적실험에서 산정된 유하시간과 비교검증 하였다. 대상구간은 충주댐지점부터 여주대교까지 총 63.6km에 이르는 남한강 본류 구간으로 164개 단면으로 나누어 부등류 모의를 하였다. 유하시간 실험은 센서가 내장된 봉부자를 최초 시작지점에 투척하여 주요 교량에서 봉부자를 관측하여 최초 투척된 시간으로부터 교량을 통과하는 시간을 관측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HEC-RAS 부등류 모의 결과 2007년 8월 7일 방류량(680CMS)의 유하시간은 약 13시간으로 산정되었고 봉부자 추적자 실측자료를 통한 유하시간은 11.5시간으로 산정되어 실측치가 모의치보다 유하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간별로 살펴보면 HEC-RAS 모형의 모의결과는 수행교에서 충주조정지는 1.4시간 느리게, 목계교에서 남한강교는 1.0시간 빠르게 모의되었으나 나머지 구간에서는 실측치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본 연구는 유하시간 실험 구간 및 구간과 동일한 조건으로 모의함으로서 모형을 보정하기 위한 실측 유하시간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실측자료를 토대로 보정된 모형의 매개변수를 이용함으로서 대상 수계의 방류량별 유하시간을 산정하는데 정확성을 제고하고 홍수기 댐 운영 및 홍수예경보에 반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ptimal parameter derivation for Muskingum method in consideration of lateral inflow and travel time (측방유입유량 및 유하시간을 고려한 Muskingum 최적 매개변수 도출)

  • Kim, Sang Ho;Kim, Ji-sung;Lee, Chang 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12
    • /
    • pp.827-836
    • /
    • 2017
  •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of the Muskingum method, widely used in hydrologic river routing, are the storage coefficient and the weighting factor. The Muskingum method does not consider the lateral inflow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but the lateral inflow actually occurs due to the rainfall on the watershed.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estimate the storage coefficient and the weighting factor by using the actual data of upstream and downstream. In this study, the flow without the lateral inflow was calculated from the river flow through the hydraulic flood routing by using the HEC-RAS one-dimensional unsteady flow model, and the method of the storage coefficient and the weighting factor calculation is presented. Considering that the storage coefficient relates to the travel time, the empirical travel time formulas us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domestic river basin plan were applied as the storage coefficient, an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we have developed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travel time considering the flow rate, and proposed a method to perform flood routing by updating the travel time according to the inflow change. The rise and fall process of the flow rate, the peak flow rate, and the peak time are well simulated when the travel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is applied as the storage coefficient.

Analysis of Flood Runoff Hydrograph by Parameter Estimation Technique (매개변수 산정기법에 따른 홍수유출 수문곡선 분석)

  • Choi, Jong-In;Lee, Dong-Ho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73-877
    • /
    • 2012
  • 지형인자는 하천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유역의 지형인자를 통해 홍수유출 모형에 적용하기 위한 매개변수를 산정하고 강우-유출모형에 적용시켜 홍수수문곡선을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적합한 매개변수의 추정방법은 아직 미흡하여 외국에서 개발된 경험식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의 홍수유출을 계산할 때 입력인자로 사용되는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 등과 같은 매개변수를 산정하는데 있어 사용되는 경험식들의 조합에 따른 홍수유출량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시험유역으로 청미천 유역을 선정하여 각 경험식에 따른 매개변수를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강우-유출 모델로 HEC-HMS를 적용하였으며 모의시 관측된 강우 자료를 전 유역에 걸쳐 분포시키기 위하여 IDW(Inverse Distance Weighted) 방법을 사용하고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자료와 지형자료를 이용한 유출모의가 가능하도록 ModClark(Modified Clark)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규모 이상의 큰 유역의 경우는 유입시간이 유하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 유입시간을 무시하고 유하시간을 집중시간으로 취급하므로 각 소유역에 대한 집중시간 산정은 유하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시간 및 유하시간 산정에 Kirpich, Rziha, Kraven(I), Kraven(II) 공식을 적용하였고, 저류상수 산정에 Clark, Linsley, Sabol, Russel, Peters 공식을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Channel Flood Routing Using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the Travel Time (비선형 유하시간 곡선식을 이용한 하도 홍수추적에 관한 연구)

  • Kim, Sang Ho;Lee, Chang He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2
    • /
    • pp.148-153
    • /
    • 2016
  • Hydraulic and hydrological flood routing methods are commonly used to analyze temporal and spatial flood influences of flood wave through a river reach. Hydrological flood routing method has relatively more simple and reasonable performance accuracy compared to the hydraulic method. Storage constant used in Muskingum method widely applied in hydrological flood routing is very similar to the travel time. Focusing on this point,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travel time from HEC-RAS results to estimate storage constant, and develop a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 for the travel time using reach length, channel slope, and discharge. The estimated flow by Muskingum model with storage constant of nonlinear equation is compared with the flow calculated by applying the HEC-RAS 1-D unsteady flow simul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n the weighting factor changes and interval reach divisions; peak discharge increases with the bigger weighting factor, and RMSE decreases with the fragmented divi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Retention Time in Grassed Swale (식생수로에서 유하시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 분석)

  • Paek, Seoungbong;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3
    • /
    • pp.303-310
    • /
    • 2015
  • Recently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gives priority to management the point source. Point pollution sources have definite emission points and are discharged to one point through a pipe. But Nonpoint pollution source (NPS) has uncertain pathway, pollutant load and runoff characteristics unlike point pollution sources, making them difficult to manage. Thus, the Korea government plans to develop and equip facilities that help reduce NPS so as to manage them more easily. But removal efficiency of Best Management Practice (BMPs) is in influenced by rainfall, hydrologic condition like natural phenomenon, so factors of removal efficiency are difficult. Thus there is a need for multilateral research about many factors that affect removal efficiency for removal facility design of proper non-point pollution. In this research, mapping, vegetation coverage and retention time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of factors that affect removal efficiency in grassed swale, a nature-type non-point removal facility. Grassed swale obtained changed of coverage using Braun-Blanquet within swale and retention time was obtained from point that rainfall effluent enters into swale to the time that first outflow starts. Besides, correlation analysis was obtain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removal efficiency increases as retention time is longer in grassed swale and that retention time increases as vegetation coverage is higher.

Evaluation of Flood Runoff Hydrographs by Selection the Estimation Method for Time of Concentration (도달시간 산정기법의 선정에 따른 홍수유출 수문곡선의 평가)

  • Kim, Ki-Dong;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75-137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의 홍수유출을 계산하는데 있어 입력인자로 사용되는 도달시간과 저류상수 등을 산정하는 데 있어 사용되는 경험식들의 조합에 따른 도달시간을 구하고 홍수유출량의 변화양상과 도달시간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RIEND 대표유역인 금호강 유역에 대해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여기서, 각 소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산정은 단일 도달시간 공식의 적용과 도달시간을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으로 고려한 적용으로 크게 구분하였으며, 도달시간 및 유입시간 산정에는 Kirpich, Kerby, Kraven, Rziha, Friend 및 Bransby 공식을 적용하였고 유하시간 산정은 SCS 평균유속법을 적용하였다. 국내의 경우 도달시간의 산정은 자연하천유역과 도시하천유역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으며, 유입시간 및 유하시간 등으로 구분하지 않고 자연하천유역과 도시하천유역에 적합한 도달시간 산정에 대한 경험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도달시간의 산정기법은 외국의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된 경험공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각 경험공식의 제한사항 및 검토결과 등을 감안하여 해당유역에 적절한 공식을 수자원 기술자의 판단을 통해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mpirical experiment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formula for time of concentration (홍수도달시간 산정식 적용성 개선을 위한 실증실험)

  • Keum, Ho Jun;Ko, Taekjo;Joo, Jaeseung;Kim, Yerim;Jung, D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23-123
    • /
    • 2021
  • 도시하천유역이나 복합유역 등 지역적 성향을 고려한 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다. 소규모 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유하시간보다 유입시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유하시간만을 고려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할 때, 소규모 유역의 경우 하도가 없고 유역면적이 5km2 내외 또는 하도의 저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도달시간이 짧아 홍수량이 과대 산정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재해영향성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에서는 도달시간 이외에 매개변수인 저류상수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왜곡한다는 근복적인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중·대규모 하천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홍수 도달시간 산정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입시간이 지배적인 소규모 복합유역에 적용 가능한 도달시간 산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증실험을 통해 기존 유입시간 산정식을 개선하고,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홍수도달 시간 측정을 위한 강우유출 실내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실험장치는 본체(길이3m×폭1.2m×높이0.8m)와 경사조절 장치(0~15도)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전면부를 타공(ø10mm)하고 상·하단에서 지표와 기저유출을 집수하여 티핑버킷으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토체 내에는 토양수분센서를 설치하여 강우유출 발생시간 동안 토양수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흐름인 유하시간(Kraven 공식)을 계산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기 보다 지표면 흐름인 유입시간(Kerby 공식)에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불투수 면적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달시간은 감소하고, 불투수 유역이 하류에 위치할수록 유출발생시간이 빨라졌다. 실증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기존 유하시간과 저류상수를 보정하는 도달시간 산정방식(연속형 Kraven)과 유입시간을 보정한 도달시간 산정(수정 Kerby)으로 도출된 유출량을 실측 유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에서 모의된 홍수량이 기존 방식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첨두홍수량을 보였으며, 설계자 임의성이 배제된 일관성있는 해석값을 제시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alculation of Direct Runoff Hydrograph considering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 Basin (유역의 동수역학적 특성을 고려한 직접유출수문곡선 산정)

  • Choi, Yun-Ho;Choi, Yong-Joon;Kim, Joo-Cheol;Jung, Kwan-S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157-163
    • /
    • 2011
  • In this study, after the target basin was divided into both overland and channel grids, the travel time from center of each grid cell to watershed's outlet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anning equation. Through this process, volumetric discharg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sochrones and finally, the direct runoff hydrograph was estimated considering watershed's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Sanseong subwatershed located in main stream of Bocheong basin was selected as a target basin. The model parameters are only two: area threshold and channel velocity correction factor; the optimized values were estimated at 3,800 and 3.3, respectively. The developed model based on the tuned parameters led to well-matching results between observed and calculated hydrographs (mean of absolute error of peak discharge: 3.41%, mean of absolute error of peak time: 0.67 hr). Moreover, the analysis results regarding histogram of travel time-contribution area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model characterizes relatively well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chment due to effective rainfall.

Evaluation of Standard Uncertainty for Velocity Coefficient in Discharge Measurement using Floats (부자를 이용한 유량측정법의 유속계수 표준 불확도 평가)

  • Ahn, Myeong Hui;Kim, Seoju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2-72
    • /
    • 2017
  • 하천의 유량 측정 자료는 수자원 개발 및 하천 방재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되며 정확한 유량 측정자료를 얻기 위해 많은 수자원 전문가들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하천 유량측정 기술들이 선진화되고 있으며 유량 측정 성과의 양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유량 측정 결과에 대한 질적 평가 즉, 측정 불확도 평가에 대한 기준이 미흡하기 때문에 유량 측정 성과의 신뢰도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인 홍수 시 하천 유량측정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부자법의 경우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방법이 ISO 748:2007 지침에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ISO 748:2007 지침에서는 측선 수에 대한 불확도, 하폭 측정의 불확도, 수심 측정의 불확도 그리고 부자 유속계수, 유하경로 이탈, 유하시간 측정 등으로 발생하는 평균유속 측정 불확도를 고려하여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불확도를 평가한다. 하지만, 부자유속계수의 불확도, 유하경로 이탈에 따른 불확도, 유하시간 측정의 불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정량적인 불확도에 대한 기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실무에서는 이와 같은 불확도 인자들의 표준불확도를 무시하고 유량 측정 불확도를 제시하고 있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유량 측정 불확도 보다 작게 제시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시 평균유속 불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기여도가 크다고 판단되는 부자 유속계수에 대한 표준불확도를 실규모 실험을 통해 산정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부자를 이용한 유량 측정 불확도 평가를 위한 기준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s of Dolomite Fine Aggregate and Cement-Based Materials on Viscosity Characteristics, Flow and Flow Time of High-Strength Grout (돌로마이트 잔골재와 시멘트계 재료의 용적 구성비가 고강도 그라우트의 점도 특성, 플로우 및 유하시간에 미치는 영향)

  • Jeong, Min-Gu;Lee, Ha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7-198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igh-strength grout. Accordingly, dolomite aggregate was used as a filler incorporated into the high-strength grout. Dolomite aggregate has a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viscosity of the grout due to higher generation of fine powder than other aggregates. Accordingly, in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scosity, flow time, and flow of high-strength grout change according to the volume composition ratio of dolomite aggregate and cement-based material.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KS F 4044, and the mixing factor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inder and the filler. In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fine powder contained in the dolomite aggregate rather than the silica sand used in the past is grasped, and after mixing with the grout accordingly, the mixture is proceeded to measure the viscosity in an unhardened state. In addition, the flow and flow time of the grout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viscosit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scosity and flow time decreased and the flow increased as the volume composition ratio of the dolomite aggregate to the cement-based material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