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탁액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도토리 Gallic Acid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 이미현;정재홍;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93-700
    • /
    • 1992
  • 도토리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도토리 분말로부터 수종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 분리한 후 대두유, 팜유, 돈지 및 우지에 첨가하고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성분을 TLC 및 HPLC로 분리 동정하였다. 도토리의 일반성분은 수분 11.8~12.0%, 단백질 7.1~7.4%, 전분 65.5~69.4%, 조지방 2.1~2.6%, 조섬유 2.1~3.6% 및 조회분 2.4~2.6%이었으며 total tannin 함량은 4.6~6.8%이었다. 도토리류 분말로부터 acetone : water 및 ethyl acetate를 차례로 사용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8~3.1%이었다. 최종단계의 도토리 추출물 중에는 gallic acid, digallic acid 및 gallotannin이 함유되어 있었다.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은 주로 gallic acid이었다. 도토리 추출물은 유탁액상태의 기질에서는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유지에 직접 첨가하였을 때는 항산화력이 인정되지 않았다. 우지 및 대두유탁액에 대산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강하였으나 돈지 및 팜유유탁액에 대해서는 약하였다. 도토리 추출물은 0.02%의 농도에서 실용적인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복합 리놀레산을 함유하는 재구성지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Structured Lipid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

  • 유희진;이기택;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99-1404
    • /
    • 2006
  • 기능성식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재구성지질의 산화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두유, CLA와 caproic acid에 lipase를 가하여 반응시켜 합성한 재구성지질과 이의 유탁액에 각종 항산화제를 첨가하고 $60^{\circ}C,\;150^{\circ}C$의 열처리한 것과 광을 조사하면서 저장과정 중 POV, TBA값, AV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두유와 재구성지질을 $60^{\circ}C$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대두유가 재구성지질에 비하여 산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항산화제를 첨가한 재구성지질은 산화유도기간이 길어졌으나 10일이 지나면서 POV가 100 meq/kg에 도달해 식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재구성지질에 항산화제를 첨가하였을 때 산화억제 효과는 tea polyphenol extract>$\alpha-tocopehrol$>rosemary extract>ascorbyl palmitate의 순으로 tea polyphenol extract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150^{\circ}C$에서 열처리하였을 때에도 저장 3일에 대두유의 POV가 117 meq/kg, 재구성지질이 92 meq/kg로서 3일이 지나면서 식용이 불가하였으며 고온에서의 항산화제의 산화억제정도는 저온에서와 같은 경향이었다. 유지유탁액이 일반적인 유지 상태보다 산화속도가 빨랐으며 유탁액 상태에서도 항산화제의 산화억제효과는 가열처리 때와 유사하였다. 대두유와 재구성지질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산화시킬 때 가열산화에서와 같이 재구성지질이 더욱 안정하였으며 조사기간이 길수록 신화정도는 차이가 심하였으며 유탁액 상태에서 더욱 불안전하였다.

비뉴우튼유체의 유동현상

  • 유정열
    • 기계저널
    • /
    • 제25권4호
    • /
    • pp.312-319
    • /
    • 1985
  • 유탁액(emulsion), 현탁액(suspension), 고분자용액(polymer solution) 및 고분자 용식물(polymer melt) 등의 유동에 대하여는 응력과 속도구배 사이에 선형적인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이런 유체들은 뉴우튼유체들의 경우와는 달리 단한번의 점성계수 측정만으로는 완전한 유변학 적(rheological) 특징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이들을 통털어서 비뉴우튼유체(non-Newtonian fluid )라고 한다. 이들의 응력과 속도구배 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고찰하는 비뉴우튼유체역학은 최근에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유체역학의 한 분야이며, 고분자 공정, 식품, 생물공학 및 유전등의 여러 산업부문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기서는 뉴우튼유체에서 관찰될 수 없는 비뉴우튼유체의 독특한 유동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비뉴우튼유체역학의 여러 문 제들을 취급하는데 필요한 기본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율피, 솔잎, 호프의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s of Chestnut Inner Shell, Pine Needle and Hop)

  • 오승희;김용욱;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9-406
    • /
    • 2004
  • 율피, 솔잎, 호프로부터 70% 아세톤 추출물을 획득하여 대두유, 돈지, 대두유 유탁액, 돈지 유탁액에 대한 항산화력을 토코페롤과 비교하였다. Rancimat의 유도기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에서는, 대두유에서는 솔잎>율피>호프>토코페롤>무첨가구, 돈지에서는 토코페롤>율피>솔잎>호프>무첨가구로서 항산화력이 있었다. Peroxide value의 측정을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는, 대두유나 대두유 유탁액, 돈지나 돈지 유탁액에서 이들 세 추출물은 같거나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율피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폴리페놀화합물의 분석결과, 율피 추출물에는 ellagic acid가 솔잎 추출물에는 flavanol이 항산화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맥 내 지질 유탁액 치료 후 성공적으로 회복한 초오 중독 1례 (A Case of Aconite Poisoning Successfully Recovered after Intravenous Fat Emulsion Therapy)

  • 신희준;임훈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0-65
    • /
    • 2016
  • Aconitum is a genus of various species of flowering plants that belongs to the Family Ranunculaceae. Most Aconitum sp. have extremely toxic alkaloid substances such as aconitine, mesaconitine and hypaconitine. Among these substances, aconitine can cause fatal cardiotoxicity by activating sodium channels followed by calcium channels in myocardial cell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therapeutic plans suggested comprising antidotes based on diverse case reports and studies, there is no confirmatory treatment protocol for aconite poisoning. Here, we report an aconite poisoning patient who had refractory ventricular tachyarrhythmia that did not respond to intravenous amiodarone therapies even though they were sustained for over 2 hours, but showed successful recovery following intravenous fat emulsions (IFE) therapy.

  • PDF

탈지(脫脂) 콩, 참깨 및 들깨박(粕)의 에탄올 추출물(抽出物)의 콩기름-물 기질(基質)에서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of Defatted Soybean, Sesame, and Perilla Flours in a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

  • 김은희;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3-288
    • /
    • 1981
  • 콩, 참깨 및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에탄올추출물(抽出物)의 산화방지(酸化防止)효과(效果)를 콩기름-물 유탁액기질(遺託液基質)에서 0.02% BHT의 효과(效果)와 비교하고자 했다. 추출물(抽出物) 및 BHT가 들은 기질(基質)과 control을 $46.0{\pm}0.5^{\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 과산화물(過酸化物)값(POV)과 TBA값을 정기적(定期的)으로 측정하였다. 콩, 참깨 및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추출물(抽出物) 및 BHT가 들은 기질(基質)과 control의 저장 25일후의 과산화물(過酸化物)값(평균치(平均値))은 43.3, 22.6, 21.5, 38.6과 80.1였으며, 저장 20일후의 TBA값은 가각 0.91, 0.67, 0.68, 0.38과 0.62였다. 콩, 참깨,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추출물(抽出物)은 유탁액기질(遺託液基質)에서 상당한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果)를 보였다. 특히 참깨와 들깨의 경우, 그 효과(效果)는 0.02% BHT보다 훨씬 컸었다. 추출물(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TBA값은 예상외(豫想外)로 컸으나, 이는 탈지박(脫脂粕)에서 추출(抽出)된 일부(一部)화합물(化合物)들이 TBA 값 측정(測定)에 간섭(干涉)한 결과(結果)로 추측(推測)된다.

  • PDF

급성 중독 환자에서 지질 유탁액 정맥투여의 효과: 체계적 고찰 (Effect of Intravenous Lipid Emulsion in the Patient with Acute Poisoning : A Systematic Review)

  • 명진우;고동률;공태영;주영선;유제성;정성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intravenous lipid emulsion as well as adverse events in acute poisoning patients. Methods: Literature was accessed through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and KoreaMed. All forms of literatures relevant to human use of intravenous lipid emulsion for acute poisoning were included. Cases reports or letters without description of clinical outcomes for each case were excluded.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by two investigators in March, 2015, with publication language restricted to English and Korean. The effect, onset time, and adverse event of lipid emulsion and final outcome of each case were analyzed. Results: Eighty-one published articles were included, excluding articles whose title and abstract were not relevant to this study. No articles were classified as high level of evidence. Sixty-eight case reports were identified, consisting of 25 local anesthetics and 43 other drugs, such as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Although most cases described significant clinical improvements, some of them showed no beneficial effect or worsening of clinical course. Several adverse events including hyperamylasemia and laboratory interference were reported.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many case reports illustrating successful use of lipid for various drug poisonings, the effect cannot be estimated due to significant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Therefore, lipids might be considered in severe hemodynamic instability resulting from lipophilic drug poisoning,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 to establish the use of lipid as the standard of care.

  • PDF

보조용매(補助溶媒) Phenol로 제조(製造)된 Cyhexatin 유제(乳劑)의 안정성(安定性) (The Stability of Cyhexatin Emulsifiable Concentrate Formulated by Using Phenol as a Cosolvent)

  • 김윤정;김장억;김정호;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93-199
    • /
    • 1988
  • Cyhexatin은 여러가지 제형중(劑型中)에서 수화제(水和劑)만 개발(開發)되어 있으며, 용매(溶媒) 의 용해도(溶解度)가 낮으므로 유제(乳劑)는 개발(開發)되어 있지 않다. 효과적(效果的)인 제형(劑型)을 개발(開發)하기 위해 Cyhexatin 유제(乳劑)를 제조(製造)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yhexatin은 보조용매(補助溶媒)인 Phenol과 유화제(乳化劑)인 E-ASC를 사용(使用)하여 9% 유제(乳劑)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다. Cyhexatin 유제(乳劑)는 $50^{\circ}C$에서 0.5%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pH 4.5, 7에서는 안정(安定)하였으나, 1% 이상(以上)의 수분(水分) 함량(含量)과 pH 9.5인 알칼리에서는 불안정(不安定)하였다. Cyhexatin 유제(乳劑)의 유탁액(乳濁液)은 pH 10인 경수(硬水)에서는 불안정(不安定)하였다. Cyhexatin 9% 유제(乳劑) 500배(倍) 희석액(稀釋液)과 Cyhexatin 27% 수화제(水和劑) 1500배(倍) 희석액(稀釋液)의 살비력(殺?力)은 동등(同等)하게 나타났다.

  • PDF

아미노수지(樹脂)를 보강제(補强劑)로 이용(利用)한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Hard-board Utilized Amino-resins as the Sizing Materials for the Strength Increase)

  • 이필우;이화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5-52
    • /
    • 1974
  • 본(本) 연구(硏究)는 습식(濕式) 硬纖維板(경섬유판) 제조(製造)에 있어 보강제(補强劑)로서 국내생산(國內生産)이 되며 가격(價格)이 저렴한 뇨소(尿素)와 멜라민을 원료(原料)로 수용성(水溶性) 변성(變性) 아마노수지(樹脂)를 제조(製造)하여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에 대체(代替)할 수 있는지의 여부(與否)와 이에 따른 제품(製品)의 품질(品質)을 비교(比較)하기 위(爲)해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아미노형수지(型樹脂)는 습식(濕式)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 제조(製造)에 있어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를 사용(使用)하는 대신(代身) 좋은 보강제(補强劑)로서 대체(代替)할 수 있으며 제품(製品)의 성질(性質) 및 경제적인 면을 고려한 다면 변성(變性) 뇨소(尿素) 멜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가 제일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2.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와 아미노형수지(型樹脂)를 사용(使用)한 섬유판(纖維板)의 비중(比重)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뇨소 멜라민수지(樹脂)의 경우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의 규격(規格)을 모두 만족시켜 주고 있다. 3.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를 사용(使用)한 경우 함수율(含水率)은 다른 수지(樹脂)에 비(比)해 낮았으며 뇨소(尿素) 멜라민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 및 메라민수지(樹脂)의 경우 별차(別差)가 없었다. 4.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를 사용(使用)할 경우 흡수율(吸水率)이 제일 높았으며 규정흡수율(規定吸收率) 이하(以下)로 내리기 위(爲)해서는 2%의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 처리함이 필요하다. 뇨소(尿素)멜라민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 및 멜라민수지(樹脂)의 경우 내수성(耐水性)은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보다 좋고 이 둘의 경우 유의차(有意差)는 없었으며 1%의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으로서 충분하였다. 5. 보강용(補强用) 접착제(接着劑)에 따른 곡강도(曲强度)의 차(差)는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높은 순위로 멜라민수지, 뇨소(尿素)멜라민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 폐놀수지(樹脂)로 나타나며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의 규정요구강도(規定要求强度) 얻기 위(爲)해서는 공히 3% 수지를 처리함이 필요하다.

  • PDF

섬유판(纖維板)의 증강(增强)사이즈제(齊)가 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trength Increasing Sizes on the Quality of Fiberboard)

  • 신동소;이화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9
    • /
    • 1976
  • 습식(濕式)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 제조(製造)를 위(爲)한 보강용(補强用) 사이징제(劑)로서 실험실(實驗室) 제조(製造)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요소수지(尿素樹脂)(음(陰)이온 형(型), 양(陽)이온 형(型)),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와 일본(日本) M사(社)의 변성(變性)메라민수지(樹脂)(P-6100)와 변성(變性)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P-1500)등을 사용(使用)하여 섬유판(纖維板) 재질(材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공시재(供試材)는 라왕(20%)+소나무(80%)로 사용(使用)하였고 침착제(沈着劑)는 황산알미늄을 사용(使用)하였으며 열압조건(熱壓條件)은 전기가열(電氣加熱) 푸레스로 $180^{\circ}C$, $50-6-50kg/cm^2$, 시간(時間)은 1-2-7분(分)으로 S-1-S 경질섬유판(硬質纖維板)을 제조(製造)하여 일주일 기건(氣乾)시킨 후(後)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유판(纖維板)의 비중(比重)은 각(各) 보강제(補强劑)의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비중(比重)의 차(差)는 없으나 보강제(補强劑) 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어 변성(變性)메라민수지(樹脂)가 제일 높고 양(陽)이온형(型), 음(陰)이온형(型) 및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가 중간(中間)이며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가 제일 낮았다. 2. 섬유판(纖維板)의 함수율(含水率)은 보강제(補强劑) 간(間)의 차(差)와 보강제(補强劑)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함수율(含水率)의 차(差)가 전부(全部)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전체적(全體的)으로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 수록 함수율(含水率)은 떨어지나 2%와 3% 처리(處理) 간(間)의 함수율(含水率) 차(差)는 없었다. 3. 섬유판(纖維板)의 흡수율(吸水率)은 보강제(補强劑) 간(間) 및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 처리량(處理量) 간(間) 모두 다 유의차(有意差)를 보이고 있다. 파라핀 왁스유탁액(乳濁液) 처리량(處理量)을 늘일수록 흡수율(吸水率)은 떨어져 내수성(耐水性)이 증가(增加)함을 보이고 있으며 P-6100 및 P-1500은 무처리(無處理)에도 표준규격(標準規格)을 만족시켜 주며 음(陰)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산(酸)콜로이드는 내수제(耐水劑)를 1% 요구하고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는 2%에 합격(合格)되고 있었다. 4. 섬유판(纖維板)의 곡강도(曲强度)는 보강제(補强劑) 간(間) 및 보강제(補强劑) 처리량(處理量) 간(間)에 모두 유의차(有意差)가 있으며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 수록 곡강도(曲强度)는 증가(增加)하였다. P-6100이 가장 곡강도(曲强度)가 높고 P-1500, 양(陽)이온형(型) 및 음(陰)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의 산(酸)콜로이드등(等)이 중간(中間)이며,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가 곡강도(曲强度)는 제일 낮았다. 5. 섬유판(纖維板)의 품질(品質)과 경제적(經濟的)인 면(面)을 고려한다면 석탄산수지(石炭酸樹指)의 대체(代替)로서 산(酸)콜로이드 방법(方法)에 의한 요소(尿素) 메라민 공축합수지(共縮合樹脂)와 양(陽)이온형(型)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들 변성수지(變性樹脂)에 대(對)한 개선(改善) 연구(硏究)가 계속 필요(必要)하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