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치원

검색결과 815건 처리시간 0.029초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 전병주;윤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60-271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 북, 대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3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건강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조직건강의 원장 지도성, 직무스트레스, 건강상태, 학력 순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건강 하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원장 지도성, 유치원 교사는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등의 영역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직무스트레스 등의 주요 요인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를 통하여 그 수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보통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COVID-19 구강건강관리의 영향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oral healthcare among children and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 Myoung-Hee Kim;Eun-Joo Hong;Yu-Jin Kwon;Young-Sun Hwa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85-494
    • /
    • 2022
  • 연구목적: COVID-19로 인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교육 방식이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이전과 COVID-19 시기의 유아 구강건강관리 실태와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만 3-5세 아동을 담당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89명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 이전보다 COVID-19 이후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 사용 횟수, 구강보건교육 및 정기 구강검진 횟수, 보육교사의 구강보건교육 경험률이 감소했다. 또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육자들은 보건소 구강보건담당자가 가장 바람직한 구강보건교육자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COVID-19 팬데믹 이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구강건강관리가 취약해졌다. 구강위생과 구강건강교육을 통해 이를 회복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구강건강교육자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Kindergarten Teacher Difficulties and Needed Support Requests: Centering on Kindergarten's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 황은희;이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41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face in the field of kindergarten, and urgent support requests. The total of participants was 372 of this number, 122 were student teachers, 118 were beginning teachers and 132 were experienced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in difficulties and the needed support requests among student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Student teachers had the difficulty of time management, but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had trouble due to the non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s. Student teachers required teaching strategies for start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in responsibility.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regarded the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a program as the most needed support request. Collectively, the results revealed that expansion of the practice period is necessary for student teachers so that they can gain experience with children, parents, and the children's education institution with various opportunities as a learning course.

유아 재난 대비(생활 안전) 및 가정과 연계 유치원 안전 체계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afe Kindergarten Connecting a Home and Disaster Preparedness(Life Safety) for Infants)

  • 남강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45-252
    • /
    • 2016
  • 유치원 통학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은 비콘 장치, 버스에 장착되는 게이트웨이,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유치원 통학 서비스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유치원 원아의 비콘 규격 인식 자를 접속하고, 게이트웨이 리소스트리 기능들을 설계한다. 서비스 연동을 위해서, 통학 알림 기능이 부모님의 휴대폰 앱을 통하여 처리된다. 서비스 플랫폼은 등록된 비콘 데이터 수집과 운영 관리 기능들을 확인 할 수 있다.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 -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ontent Areas of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

  • 이정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97-60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out which content should be included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n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2007(7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t of balanced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Bu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classification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revealed somewhat conflicting belief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did not perceive space and data analysis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 area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07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kindergarten teachers also suggested basic and restricted mathematics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related with the problem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especially the problems in teacher education.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Parents)

  • 김보영;김현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3-106
    • /
    • 2013
  •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를 밝힘으로써 원만한 교사-부모 관계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자세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C시에 근무하는 사립 유치원교사 15명으로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에서 나타난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요인은 부모요인과 교사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는 부모의 성향과 요구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사는 교사 자신의 입장에서 해석함으로써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 어려움은 같은 문제를 다르게 해석하는 교사-부모 간 입장 차이와 교사들이 문제 상황에 대처해 나가면서 느끼는 개인적 감정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자세는 4가지로 나타났다.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 안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Young Children's Safety due to Radioactive Contamination)

  • 양진희;박윤;여화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21-225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가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아안전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2월 C도의 공 사립유치원 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본 원전사고는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교사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쳤으나,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안전지식과 대처방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유아안전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유아교사교육이 요구되며, 유아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방사능 오염식품과 방사선조사 식품에 관한 유치원 부모의 인식 - 2011년 일본 원전사고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Kindergarten parents' perceptions on radioactive-contaminated foods and irradiated foods - Focus on the accident of unclear plant in Japan, 2011 -)

  • 양진희;박윤;여화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435-440
    • /
    • 2012
  • 본 연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선 누출사고가 방사능 오염식품과 방사선 조사식품에 관한 유치원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민건강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8월 J시의 K와 M유치원의 학부모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본 원전사고는 방사능 오염식품에 대한 학부모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유치원 부모들의 인식을 높이고, 방사능 오염식품과의 명확한 구분 및 올바른 인식을 돕는 적극적인 홍보와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육 현황 분석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for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 정경화;권은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공교육의 활성화에 대하여 재조명하려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과 공교육화 방향에 대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공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아교육 공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부모들은 교육기회의 균등화 등을 이유로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은 사립 유아교육기관들의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 등의 이유로 유아교육 공교육이 아직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환경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교사와 부모들은 우리나라 유아들의 유치원 취학 기회에 대하여 불공정하며, 유아교육의 공교육화가 추진될 때의 교육비 재정부담에 대해 국고지원으로 무상화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서 추진해야 하는 교육 내용의 방식에 대해서는 지역중심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실시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교육화가 추진된다면 유치원을 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나이에 대해 부모들은 만 5세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만 4세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반면 교사들은 만 4세가 가장 많았으며, 만 3세 라는 의견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공교육화 추진 시 적당한 유치원 규모에 대해 부모들은 3-4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4-5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즉, 부모들이 교사들보다 공교육화 추진 시 적당한 유치원의 학급 수에 대해 더 적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교사 1인당 적당한 원아 수에 대하여 부모들은 11-15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16-20명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셋째, 유아교육 공교육의 추진방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추진하고자 할 때, 앞으로의 공립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대한 생각에 대해 부모들은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관리 감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교원인건비 및 운영비 보조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의견이 많았다.

  • PDF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간 관계 비교 (Comparison of Relationships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eachers in Public and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 김정희;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55-168
    • /
    • 2007
  • The subjects of this study of variable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were 153 public and 191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s showed that empowerment, workloads, and job satisfaction indexes (compensation, innovation, autonomy, and future growth) of public kindergarten were higher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Extrinsic job satisfaction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growth and teacher empowerment for public kindergarten and with status f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trinsic job satisfaction correlated with decision-making for public and with status f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strongest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for public kindergarten was professional growth and status fo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