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치원생활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는 실존적 공간으로서 유치원의 장소성 (A Sense of Place of Kindergartens as Existential Space in which Children and Teachers Experience)

  • 권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45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치원이라는 공간을 실존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형성되는 장소성의 의미를 유아들의 놀이를 중심으로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아들이 경험하게 되는 유치원의 모든 공간을 연구관찰 대상범위로 선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 관찰과 비형식 면담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는 실존적 공간으로서 유치원의 장소성은 경험과 관계속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놀이의 공동생산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교육과 생활이 공존하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유아들의 경험한 유치원에 의해 만들어진 특별한 공간, 소통에 의해 공유된 공간으로서의 장소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의 장소성은 유아들의 실존적인 경험과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공간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치원 학부모 자원봉사자의 양육효능감과 교사로서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s a Teacher of the Volunteer in the Kindergarten)

  • 이세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7-387
    • /
    • 2008
  • The study is to research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practices of a parent teacher as a volunteer(PTV) in the kindergarten. The subjects were mothers (N=127) in Choongbuk Province who had had volunteer education as a teacher assista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eir completing a questionnaire about Parenting efficacy and a Parent As A Teacher inventory (PAAT). The results include as follows: firstly, in PTV's parenting efficacy,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children are attending' is an important variable. Secondl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children attending' are important variables in volunteer parents' parenting practices. Beside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volunteer activity' are important variables in parenting practices of 'control/permission' and of 'teaching/learning', and in general parenting practices. Finally, 'parenting efficacy',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sex of children' are important variables in volunteer teachers' parenting practices.

유치원 안전교육에 관한 조사 연구 (Study on Research for the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 박용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19-63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real situation of the safety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afety educ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it. Questionnaire was adopted to obtain data required for pertinent analysis. The subjects were 234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Choongnam and Daejeon province. SPSSWIN v10.0 was utilized to calculate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o conduc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afety educ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i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Especially,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eachers' academic career, age, teaching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bringing up children by themselves.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There were urgent needs to develop the way of teaching and the program about the safety education.

  • PDF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통해 본 유치원 생활의 의미 (The Meaning of Kindergarten Experiences of First Graders)

  • 황해수;손원경
    • 아동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67-17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meaning of kindergarten experiences of first graders with the us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eleven interviews per person and journal writings, the voice of participants was condensed into three categories : (1) Kindergarten life was new and delightful; (2) they were limited in assertion of their rights; and (3) they experienced separation and longing. We should understand children's experience by their explanations and give consideration to children not as objects but as subjects. By doing so, we can provide more meaningful experiences to children in kindergarten.

  • PDF

일본의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 및 과제 : 설비·운영 기준, 보육·교육내용 및 교사자격을 중심으로 (Problems and Tasks of Integrated Center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 Standards for Equipment and Management,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Teacher Qualification)

  • 장경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91-412
    • /
    • 2014
  •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일체화 시설로서 2013년 현재 595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더욱 확산시키고자 일본정부는 2012년에 인정어린이원법을 개정하고, 2014년 4월에는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운영의 기준 및 보육, 교육내용을 발표하였다.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및 운영의 기준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기준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유치원과 보육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육의 질적 수준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보육, 교육내용의 경우, 초등학교 교육의 준비단계로서의 교육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0-5세의 영유아가 하루생활의 대부분을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에서 생활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양호적인 측면의 내용이 한층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를 위한 가치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시현황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Valu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조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46-455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가치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 현황 조사를 통해 가치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행되었다. 경기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 교사 79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카이제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유아 가치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그 이유는 유아기를 가치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로 인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교육은 만3세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았고 실시방법은 유치원에서 생활지도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놀이 속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실시현황을 살펴본 결과 많은 교사들이 가치교육을 실천하고 있으며 주로 생활지도를 통해 실시하였다. 경력, 담당유아연령, 근무기관 유형으로 카이검증을 한 결과 변인별로 가치교육 시작시기, 가치교육 실행방법 등에서 일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럴 땐 이렇게 - 학교에서의 결핵관리

  • 대한결핵협회
    • 보건세계
    • /
    • 제57권2호
    • /
    • pp.46-49
    • /
    • 2010
  • 결핵은 전염병이다. 따라서 발병 확인 시 신속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더 많은 환자 발생이 우려되기 때문에 집단에서의 결핵한자 관리는 무척 중요하다. 특히 학교와 같은 집단생활이 이루어지는 곳은 더욱 그러하다.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에서 결핵 발견 시 대처요령을 알아본다.

  • PDF

유아 재난 대비(생활 안전) 및 가정과 연계 유치원 안전 체계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afe Kindergarten Connecting a Home and Disaster Preparedness(Life Safety) for Infants)

  • 남강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45-252
    • /
    • 2016
  • 유치원 통학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은 비콘 장치, 버스에 장착되는 게이트웨이,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유치원 통학 서비스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유치원 원아의 비콘 규격 인식 자를 접속하고, 게이트웨이 리소스트리 기능들을 설계한다. 서비스 연동을 위해서, 통학 알림 기능이 부모님의 휴대폰 앱을 통하여 처리된다. 서비스 플랫폼은 등록된 비콘 데이터 수집과 운영 관리 기능들을 확인 할 수 있다.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 Q방법론적 접근 (Happi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 Q-methodology approach)

  • 류칠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33-441
    • /
    • 2016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행복을 이해하고 구조적 유형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행복 유형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여 유아교육의 질적수준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D지역의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41명을 무선 표집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구조적 유형은 자신이 하는 일의 세계에서 고유의 가치를 인정받고 실현하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자아 실현형, 행복은 지금 자신 안에 있으며, 자신에게 주어지는 모든 일에 기뻐하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내적 만족형, 가족이나 좋아하는 사람 뿐 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사람들 간의 인간관계에 중요한 행복의 가치를 두는 사회 관계형, 다른 사람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생활하는 것과 자유롭게 행동하며, 가족이나 친밀한 사람과 함께 지내는 개인중심의 신념과 태도를 강조하는 개인 신념형의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목장탐방 - 강원 홍천 어론목장을 찾아서

  • 한국낙농육우협회
    • 월간낙농육우
    • /
    • 제34권12호
    • /
    • pp.109-113
    • /
    • 2014
  • 강원도 홍천강의 수원지인 서석면의 물 맑고 공기 좋은 마을에 자리 잡은 어른목장(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어론리)은 매일 깨끗하게 목장을 청소하고 주변을 정리하는 장인학 이순이 부부의 일터이자 생활공간이다. 계절마다 이름 모를 야생화가 피어나고 한가로이 젖소가 쉬고 있는 모습을 보기 위해 유치원 아이들도 찾는다는 어론 목장을 찾아가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