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충발육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8초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L.)에 대한 키틴합성저해제의 활성평가법 (The Evaluating Metod of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Three Chitin Synthesis Inhibitors against the Yellow Mealworm, Tenebrio molitor Linnaeus)

  • 박노중;송철;김길하;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1-285
    • /
    • 1994
  • 키틴합성저해제인 diflubenzuron, triflumuron, chlorfluazuron을 갈색거처리와 유충과 번데기에 처리하여 효력검정법을 개발하였다. 유충에 대한 처리는 국소처리와 독먹이처리를 행하였고, 번데기에 대하요 용체침적처리와 미량주사처리를 행하였다. 유충에 대한 10$\mu\textrm{g}$ 국소처리와 번데기에 대한 100ppm 용체 침적처리 결과 세약제 모두 유충 및 번덱의 발육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유충에 대한 독먹이 처리에 있어서의 {{{{ { LC}_{ 50} }}}}값은 diflubenzuron 11.3, triflumuron 42.7, chlorfluazuron 6.2ppm이었다. 번데기에 대한 미량주사처리에서는 diflubenzuron 0.053, triflumuron 0.230, chlorfluazuron 0.340 $\mu\textrm{g}$/pupa의 {{{{ { LC}_{ 50} }}}}값을 나타내었다.

  • PDF

햄스터에서의 병흡충 기생정도와 발육상 (Intensity of Infection and Development of Adult Clonorchis sinensis in Hamsters)

  • 장동일;최동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9-14
    • /
    • 1988
  • 근교계 골든 햄스터 (Mesecricetus auratus)의 실험적 간흡충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햄스티 25마리를 5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각각 5, 10, 20, 30 및 50개의 간흡충 피낭유충을 경구투여하였다. 투여후 제45일에 햄스터를 고살하여 간흡충 성충을 회수하였다. 햄스터 25마리에서 간흡충의 충체회수율은 48.4∼92.0%로 평균 57.9%이었다. 피낭유충 5개씩을 투여한 제1군에서는 성충이 평균 4.6마리 회수되어 충체회수율 92.0%로 가장 높았고, 피낭유충 50개를 투여한 제5군에서는 평균 24.2마리의 성충이 회수되어 회수율 48.4%로서 가장 낮았다. 피낭유충 10, 20 및 30개씩을 투여한 제2, 3 및 4군에서는 각각 그 충체회수율이 70.0%, 65.0% 및 57.3%로서 투여한 피낭유충의 수가 많을수록 충체회수율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햄스터에서의 간흡충의 충란배출시작 전기간은 15∼17일로 평균 16일이었다. 회수한 충체의 체장, 체폭, 구흡반 및 복흡반의 크기는 각군간에 유의적 차가 없었다. Eggs·Per-gram(EPG)은 감염후 제45일까지 증가되었고 eggs-per-gram-per-fluke(EPGPF)와 eggs-per-day-per-fluke(EPDPF)는 충체부하가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깁스터는 간흡충의 호적숙주임을 알았다.

  • PDF

발육단계별로 정제한 폐흡충 시스테인계열 단백분해효소의 IgG 분해양상 (Activities of different cysteine proteases of Pcrogonimn westermani in cleaving human IgG)

  • 정영배;양현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2호
    • /
    • pp.139-142
    • /
    • 1997
  • 폐흡충 피낭유충 4주, 7주 및 16주 충체에서 분자량 15, 17, 27, 28 및 53 kDa인 시스테인 단백질 분해효소를 정제하고 각 효소가 IgG를 분해하는 양상을 비교하였고. 탈낭시킨 폐흡충 피낭 유충을 IgG 용액에 배양하여 유충이 분비하는 27 및 28 kDa 단백질분해효소가 IgG을 분해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1시간 배양하였을 때 IgG heavy chain은 Fab로 분해되었으며 10시간 반응시킨 결과 전체 IgG 분자가 분해되었다. 피낭유충에서 정제한 27 및 28 kDa 효소, 4주, 7주(성장충) 충체 및 16주 성충에서 정제한 15, 17, 27, 28, 53 kDa 효소와 IgG를 반응시킨 결과 모 든 효소가 IgG를 hinge region에서 분해하였다. IgG 분해 양상은 피낭유충에서 가장 강하고, 성충으로 성장하면서 각 효소의 IgG 분해능이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북방수염하늘소 유충의 이목 침엽수 종류에 따른 성장과 발육 및 생식 (Growth,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on Conifers Fed to Larvae)

  • 황인천;김주현;박종빈;신상철;정영진;조세열;박용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85-394
    • /
    • 2008
  • 북방수염하늘소의 유충은 먹이로 공급된 잣나무, 소나무, 젓나무, 일본잎갈나무, 백송, 그리고 리기다소나무 각각을 식이하여 성장할 수 있다. 이목의 종류는 유충의 크기와 생존력에 큰 영향을 준다. 처리구 모두 유충의 성장곡선은 사육 3개월 동안 계속 증가하며, 이 후에는 약간 감소한다. 유충과성충의 크기는 백송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소나무, 잣나무, 젓나무에서 비슷한 크기로 자랐다. 가장 작은 것은 일본잎갈나무와 리기다소나무를 급여한 것이었다. 유충은 적당한 양의 수분이 공급되어야 성장할 수 있다. 유충에서 생식 활동이 가능한 성충으로 우화할 시기까지 생존율은 잣나무식이구 53.6%, 소나무 51.8%, 젓나무 34.7%, 백송 17.8%, 일본잎갈나무 16.7%, 그리고 리기다소나무 12.3%로 나타났다. 각 처리구에서 우화한 성충은 산란을 하였으며, 알은 부화하여 정상적인 유충으로 성장하였다. 실내 사육(2007년 6월부터)되어 월동시킨 노숙유충의 일부는 용화하지 않고 2008년 10월말 현재까지 유충상태로 남아있다. 야외에서 자연 감염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각각에서 우화한 성충의 두폭은 암 수 모두 잣나무 개체군이 크게 나타났다. 탈출공의 크기도 잣나무에서 크게 나타났다. 탈출공의 크기는 자연에서의 것보다 먹이 경쟁을 최소화하고 적당량의 수분을 공급한 실내 잣나무 접종목에서 크게 형성되었다.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유충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Time and Infective Juvenile Size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arenarium, on Pathogenicity, Development, and Propagation)

  • 한건영;이동운;추영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18
    • /
    • 2012
  •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 유충의 체장은 724 to 1408 ${\mu}m$로 변이가 크다. 따라서 $S.$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침입태 유충의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유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 $arenarium$ 침입태 유충의 수확시기는 병원성에 영향을 미쳐 10일째에 수확한 것이 3일째 수확한 것에 비하여 병원성이 높았다. 10일째에 수확한 선충은 선충의 체장에 관계없이 처리 48시간 후에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100% 치사시켰으나 3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 접종 시에는 4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체장이 큰 집단은 18%의 치사율을 보였다. 기주 체내에 정착한 선충의 수도 침입태 유충의 체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일째 수확한 선충들 중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혼합 집단 접종 시 기주에 정착한 선충 수는 각각 1.8, 3.3, 3.2마리였으며 10일째 수확한 선충들은 각각 5.3, 7.4, 7.6마리가 정착하였다. 3일째 수확한 유충의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을 구분하여 처리하였을 때 기주 체내의 암컷 체장은 각각 7,070.5 ${\mu}m$와 7,893.9 ${\mu}m$였고, 수컷 체장은 각각 1,460.5 ${\mu}m$와 1,688.2 ${\mu}m$였다. 10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접종 시에는 기주 체내에서 성숙한 암컷의 체장은 각각 7,573.6 ${\mu}m$와 8,305.4 ${\mu}m$였고, 수컷의 체장은 1,733.4 ${\mu}m$와 1,794.4 ${\mu}m$였다. 수확시기와 접종 선충의 체장은 침입태 유충의 체장과 증식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담배밭 근접 뽕밭 뽕잎이 잠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 연구(1. 개량멀칭 재배 담배밭 부근 뽕잎이 춘잠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 (완결))

  • 이상풍;김정배;김계명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8.3-68
    • /
    • 1973
  • 개량멀칭에 의한 연초 재배로 과거 추잠기에만 피해를 주었던 것이 춘잠 까지도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어 개량멀칭 재배 담밭으로 부터 뽕밭을 10m, 25m, 50m, 80m, 100m(대로) 별로 처리를 설정하여 춘잠작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시험한 결과 유충기간에 중독 또는 폐사잠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담배밭에 가까운 10m, 25m 처리구는 수견량이 적었고 고치층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각처리별 뽕의 발육정도가 대조보다 연초밭에 가까울수록 양호하였던 것을 감안한다면 그 피해정도는 실질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사료됨.

  • PDF

고추담배나방의 생태 및 방제에 관한 연구 -온도가 담배나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및 Thuricide $HP^{(R)}$의 방제 효과- (The effects of temperatures on the development of Oriental -tobacco budmoth, Heliothis assulta Guenee, and control effects of Thuricide $HP^{(R)}$-)

  • 정청수;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5
    • /
    • 1980
  •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ee)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과 Thuricide $HP^{(R)}$의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암컷의 산란전기간은 평균 3.0일($2\~4$일)이었으며 산란기간은 평균 4.75일($4\~5$일)이었고 산란후기간은 평균 3.5일($3\~4$일)로 성충의 수명은 약 11.25일이었다. 2. 일당 산란수 빈도는 60개$\~$80개가 가장 많았으며 각 온도에서 산란수는 $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307개, 413개, 189개로 $30^{\circ}C$에서 난수가 가장 적었으며 $25^{\circ}C$일 때 난수가 가장 많았다. 일당 산란수는 평균 64.05개 ($14\~172$개)였고 총산란수는 평균 304.25개 ($189\~413$개)였다. 3. 난기간은 $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평균 7.71일 ($6\~9$일), 4.12일($4\~5$일), 3.58일($3\~5$일)이었고 부화율은 각각 $71.25\%,\;78.49\%,\;81.05\%$로써 $30^{\circ}C$에서 가장 높고 $20^{\circ}C$에서 가장 낮았다. 4. 유충의 전 발육기간은 $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평균 43.5일, 21.79일, 18.05일을 소요하였고, 유충의 치사율은 $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80.70\%,\;85.93\%\;87.01\%$였다. 5. 용 발육기간은 $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평균 24.22일($22\~27$일), 12.36일($11\~14$일), 11.50일($10\~13$였고, 용기 치사율은 $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18.18\%,\;42.11\%,\;40\%$였다. 6. 발육영점온도는 난이 $11.61^{\circ}C$, 유충이 $11.96^{\circ}C$, 용이 $10.06^{\circ}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난, 유충과 용이 각각 60.41일도, 319.35일도와 222.66일도였으며 담배나 방의 발육영점온도는 $11.17^{\circ}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60 2.42일도였다. 7. 발육과 온도와의 관계에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6\~10$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생리적 차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8. Thuricide $HP^{(R)}$ 분무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73.43\%$였고 Bait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58.22\%$였으며 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처리시기나 약량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실내에서 작은뿌리파리(Bradysia difformis, Sciaridae, Diptera)의 대량사육시스템 (Mass-rearing Method of the Fungus Gnat, Bradysia difformis (Sciaridae, Diptera) in Laboratory)

  • 장현주;윤헌;권혜리;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57-64
    • /
    • 2018
  • 작은뿌리파리는 넓은 기주 범위를 가지며 시설하우스에서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제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재현성 있는 사육방법을 개발보급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실내에서 작은뿌리파리에 대한 대량사육시스템을 구축하고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작은뿌리파리의 온도별 발육을 조사한 결과, $20^{\circ}C$에서 부화율, 용화율, 우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성충을 제외한 발육기간이 20.8일로 가장 짧았다. 성충수명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명이 짧아졌으며, $20^{\circ}C$에서 평균 144개로 가장 많이 산란하였다. 작은뿌리파리 유충 사육배지 조성이 유충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물한천배지와 감자디스크배지가 부화율 84.7, 84.4%로 높았으며, 유충기간은 감자디스크배지가 14.7일로 가장 짧았다. 용화율, 우화율은 감자디스크배지가 85.2, 82.6%로 가장 높았고 산란수도 125.6개로 가장 높았다. 우화케이지에서 생육배지를 선발한 결과, 우화율은 원예용 상토 50% + 톱밥 25% + 잘게 간 감자 25% 배지가 접종 14일차의 우화율이 88.4%로 가장 높았다. 우화케이지의 생육배지 적정 접종밀도는 유충 1,000개 접종 시 84.7%로 가장 높았고, 유충 3,000, 5,000, 7,000개 접종시 81.4, 58.8, 38.7%로 유충 접종량이 많을수록 우화율이 낮았다. 위 실험 결과에 따라 작은뿌리파리의 대량사육시스템의 사육단계별 자세한 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락촌폐흡충 표피 미세구조의 발육단계별 변화 (Tegumental ultrastructures of Paragonimus iloktsuenensi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 이순형;김상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1989
  • 이락촌폐흡충(Paragonimus iloktsuenensis)의 성장 발육에 따른 표피 미세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충체는 말똥게(Sesarma dehaani)에서 분리한 피낭유충과 흰쥐 감염 후 5∼4주에 얻은 유약충 및 감염 8주에 얻은 성충을 대상으로 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은 작은 표주박 모양으로 전신이 상모양의 피극(tegumental spine)으로 덮혀 있었다.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large, non-ciliated round swelling)가 구흡반 주위에 11∼12개, 복흡반 주위에 6∼8개 배열되어 있었다. 감염 2주의 유약충은 홀쭉하고 긴 모양이었고 피극이 피낭유충 보다 덜 밀생하고 있었으며 피극 끝이 2개로 갈라진 것도 관찰되었다. 많은 제 I형 감각 유두 (ciliated knob-like papillae)가 구흡반 주위에 분포하며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복흡반 주위에서 관찰되었다. 감염 4주의 유약충은 몸체가 두꺼워졌고 표피에는 3∼5개씩 군집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구흡반 및 복홉반 주위에는 제 I형 감각 유두와 소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분포하고 있었다. 감염 8주 된 성충은 매우 두꺼운 몸체를 보였고 곰의 발톱처럼 생긴(bearfoot-like) 피극이 전신의 표피에 밀생하고 있었다. 특히 배측에는 자갈 모양의 세포 돌기(cobblestone-like cytoplasmic process) 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고 많은 피극들이 여기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락촌폐흡충이 피낭유충에서 유약충 및 성충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표피의 형태 및 구조도 점차적으로 바뀌며 계속 분화되어 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ymnophaiioides seoi (Digenea: Gymnophallidae) 피낭유충의 시험관내 배양 (In vitro cultivation of Gymnophalloides seoi metacercariae (Digenea: Gymnophallidae))

  • 국진아;이순형;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1호
    • /
    • pp.25-30
    • /
    • 1997
  • 참굴큰입흡충(GMmophQHoidesseoi)은 새로운 인체 기생 장흡충으로서 최근 우리 나라에서 인체 감염의 유행이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참굴큰입흡충의 피낭유충을 시험관내에서 배양하여 성충으로 발육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피낭유충은 자연산 감염 굴에서 회수하였고. NCTC 109 배지에 우태아 혈청(FBS) 20%와 항생제-항진균제(Gibco) 1%를 첨가하여 사용하되 $37^{\circ}C$/5%{\;}CO_2,{\;}41^{\circ}C/8%{\;}CO_2{\;}및{\;}41^{\circ}C/5%{\;}CO_2$의 3가지 배양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일에서 5일까지 각 조건 하에서 얻은 충체를 실험 감염 C3H 마우스에서 회수한 충체와 발육 및 성숙도를 비교하였다. 배양군의 충체 크기는 길이 $200-300{\;}\mu\textrm{m}$로서 피낭유충과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우스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300-400{\;}\mu\textrm{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우스 체내, $41^{\circ}C/5%{\;}CO_2{\;}및{\;}41^{\circ}C/8%{\;}CO_2$ 조건 하에서는 모두 2일째에 충란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나, $37^{\circ}C/5%{\;}CO_2$ 하에서는 배앙 5일까지도 충란이 형성되지 않았다 배양군 중에서는 $41^{\circ}C/5%{\;}CO_2$ 조건이 충체 성숙 및 충란 생산에 가장 적합하였으나 마우스 체내에서 자란 충체에 비해 자궁내 충란 수가 약 1/2에 불과하였다. 결론적으로 참굴큰입흡충의 시험관내 배양은 $41^{\circ}C/5%{\;}CO_2$ 또는 $41^{\circ}C/8%{\;}CO_2$ 조건에서 부분적으로 성공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