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지하수

Search Result 70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umerical analysis of stream-groundwater flow exchange in a losing stream

  • 현윤정;이강근;양재하;최두형;전성천;김윤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26-430
    • /
    • 2004
  • 현재 복원사업이 진행 중인 서울시 청계천은 상류와 하류에서 하천의 유량이나 하폭 등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상류와 하류에서의 지하수 유동을 모델링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청계천 상류에서는 하천과 지하수면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분리손실하천의 형태를 보이는 반면, 청계천 하류에서는 하천과 지하수면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손실하천의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모델링 결과를 이용하여 하천-지하수의 상호작용을 zone analysis 통하여 분석하였다. 청계천 상, 하류 모두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물이 하천에서 오지만, 하류에서는 대수층에서 하천으로도 물이 유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zone analysis의 결과는 손실하천에서의 유량 확보 또는 유지를 위한 계획을 구상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를 제시해줄 수 있다.

  • PDF

A Comparison of SWAT-K and HSPF for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in Chungju Dam Watershed (SWAT-K와 HSPF를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수문성분 특성비교)

  • Kim, Nam-Won;Shin, Ah-Hyun;Kim, Chul-G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54-125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준분포 장기유출모형으로 널리 쓰이는 SWAT-K와 HSPF를 이용하여 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총유출량 산정을 산정하고, 두 모형간의 총 유출량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증발산량, 지표유출량, 중간유출량, 기저유출량 등 각 수문성분별 모의결과를 비교하고, 모형별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모의기간 연평균 유출량은 SWAT-K는 관측치에 비해 약 2%과다, HSPF는 약 3% 과소하게 모의되었고 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가늠할 수 있는 결정계수는 SWAT-K가 0.78, HSPF가 0.88로 나타났다. 수문성분별로 모의치를 비교한 결과 중간 유출은 SWAT-K가, 지하수유출은 HSPF가 크게 산정되는 등 수문성분별 크기에 차이를 드러냄에 따라, 각 모형에서 수문성분을 도출하는 구조의 차이와 계산과정 등의 상세한 비교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II) Evaluation of Model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II) 모형의 평가)

  • Kim, Nam-Won;Chung, Il-Moon;Won, Yoo-S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6
    • /
    • pp.509-515
    • /
    • 2004
  • In this study, comprehensive evaluation on the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is performed. Since combined model can consider the spatially varied daily recharge rate, groundwater modeling would be greatly enhanced. Also, combined model has been able to generate the distribution of groundwater heads with time, surface-subsurface flow modeling would be greatly advanced. River-aquifer interaction is well established in the combined model considering two-way interactions. Consequently, the reliability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total runoff of watershed would be greatly enhanced when combined model is used.

Pre-reinforcing Grouting a Sand Gravel Layer for Tunnelling (모래자갈층에서 터널시공을 위한 굴착 전 그라우팅 보강 사례)

  • Kim, Cheehwa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6 no.6
    • /
    • pp.466-474
    • /
    • 2016
  • Pre-reinforcement with umbrella arch grouting is conducted around a tunnel where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is located in a sand and gravel layer. Surroundings of a first tunnel situated below groundwater table are reinforced with LW or SSM that is composed of ultra-fine cement and injected into multi-stages through large diameter steel pipes. With them, a first tunnel is safely excavated without both leaking of groundwater and fallings of sand and gravel from the arch. A second tunnel where groundwater is drained down to the bedrock is reinforced with jet grouting. The effect of the pre-grouting reinforcement is monitored by checking whether groundwater is dripping or sand or gravel is falling from the arch of the tunnels.

Method of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with Spatial-Temporal Variability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방안)

  • Kim, Nam-Won;Chung, Il-Moon;Won, Yoo-S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7 s.156
    • /
    • pp.517-526
    • /
    • 2005
  • In Korea, the methods of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can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ne is baseflow separation method by means of groundurater recession curve, the other is water level fluctuation method by using the data from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Baseflow separation method is based on annual recharge and lumped concept, and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 is largely dependent on monitoring wells rather than water budget in watershed. However, groundwater recharge rate shows the spatial-temporal variability due to climatic condition, land use and hydrogeological heterogeneity, these methods have various limits to deal with thes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method of estimating daily recharge rate with spatial variability based on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is suggested in this study. Instead of representative recharge rate of large watershed, the subdivided recharge rate with heterogeneous characteristics can be computed in daily base. The estimated daily recharge rate is an advanced quantity reflecting the heterogeneity of hydrogeology, climatic condition, land use as well as physical behaviour of water in soil layers. Therefore, the newly suggested method could be expected to enhance existing methods.

Temporal Variation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and SGD-driven Nutrient Inputs in the Coastal Ocean of Jeju Island (제주도 연안에서 해저 지하수 및 지하수 기원 영양염류 유입량의 시간적 변화)

  • Hwang, Dong-Woon;Koh, Byoung-Seol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7 no.4
    • /
    • pp.252-261
    • /
    • 2012
  • To determine the temporal variation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and SGD-driven nutrients inputs, we measured the seepage rate and the nutrient concentrations of pore water/groundwater in Bangdu Bay of Jeju Island at two and three month intervals from September 2009 to September 2010. The seepage rate of groundwater ranged from 0 to 330 cm/day (average ~170 cm/day) during the five sampling periods, which increased sharply from high tide to low tide due to changes in hydraulic pressure gradient between water table in land and water sea level in the coastal ocean by the tidal cycles. The submarine inputs of groundwater were also relatively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The nutrient fluxes from SGD were about 90~100%, 70~95%, and 65~100% of the total input (except from open ocean waters) for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phosphorus (DIP), and silicate (DSi), respectively, potentially supporting about 0.9~33 g $carbon/m^2/day$ of new primary production in Baugdu Bay. Thus, our study suggests that SGD-driven nutrien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utrophication and biological production in the coastal ocean of Jeju Island.

Reviewing geology and groundwater change in a fault zone caused by tunnel construction (터널공사에 의한 단층대 지역의 지질 및 지하수 변화 분석)

  • Jeon, Hang-Tak;Hamm, Se-Yeong;Lee, Chung-Mo;Lim, Woo-Ri;Yun, S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6-466
    • /
    • 2017
  • 지하공간의 개발과 지하공간의 굴착으로 인한 지표수 및 지하수 시스템의 변화나 굴착면 주위의 지하수 유동 체계의 변화는 터널내로의 지하수 유입, 지표수 고갈을 가져온다. 또한 터널 상부의 지반에서 현지응력의 변화로 인한 지하수 유출은 지표침하, 하천수 및 계곡수 고갈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터널설계 시 비용 및 시간, 현장의 진입조건 등의 제약으로 상세한 지반조사의 실시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가 있다. 또한, 터널 공사가 진행되는 중에는 공사기간과 공사비 때문에 별도의 지반조사를 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터널 막장에서 실시하는 Face Mapping을 토대로 공사를 진행하며, 대규모 위험요소가 발견되지 않는 이상 별도의 비용과 시간을 투입하여 추가 지질 및 지반 조사를 실시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연구지역의 지질은 경상분지내 백악기 하양층군의 퇴적암류, 이를 관입/분출한 불국사화강암류 및 제3기 화산암류, 전기 에오세 연일층군에 대비되는 퇴적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을 피복하는 제4기 충적 퇴적층은 주로 단층곡과 동측 지괴의 선상지 및 하천을 따라 분포한다. 연구지역에는 폭 100 m 이상의 대규모 단층대가 발달하였으며 제4기 단층운동으로 인한 단층파쇄대가 존재한다. 퇴적암 분포지역에서는 반복층서가 관찰되며 소규모 단층, 단열, 변형띠 등이 연속적으로 발달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공사에 의한 지하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추적자 시험과 수질분석 및 지하수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현장 수질 분석에 의한 지표수와 지하수 간의 수질의 차이를 보면, 알칼리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질 항목이 서로 유사성을 보인다. 전기전도도(EC), TDS, 알칼리도의 경우 지표수의 수원지에서 터널 내부로 유입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터널 공사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현장에서 실시한 추적자 시험에서는 추적자의 이동 시간이 매우 빨라 지표 수원지로부터 지표수가 터널내부로 빠른 속도(10시간 이내)로 유입된다고 판단된다. 지하수 모델링 결과, 정상류 상태에서는 지하수가 북동쪽의 높은 고도에서 서남쪽의 낮은 고도로 흐르는 것으로 확인되며, 가뭄시에도 지하수 함양으로 지하수가 고갈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류 상태 모델링 결과, 일일 평균 $32.49m^3$의 지하수가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이 양은 터널 내부뿐만 아니라 터널 공사 현장 주위로도 지하수 유출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시한다.

  • PDF

암석절리에서의 유체유동과 불연속 암반의 수리전도성에 관한 이론적 수치해석적 연구

  • 송명규;주광수;문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4.03a
    • /
    • pp.70-74
    • /
    • 1994
  • 암반내 지하수의 흐름은 공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하공간 개발 및 터널건설에 있어서 지하수의 유출은 굴착과 보강공사의 진행을 대단히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생성된 암반내 불연속면의 존재에 기인한다. 불연속 암반의 지하수 유동해석에는 크게 두 가지 접근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중략)

  • PDF

Analysis of Soil Water and Groundwater Interaction Using Improved SWAT-MODFLOW model (개선된 SWAT-MODFLOW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지하수 상호작용 해석)

  • Kim, Nam-Won;Lee, Jeong-Woo;Chung, Il-Moon;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44-1248
    • /
    • 2008
  •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인 SWAT-MODLFOW는 토양수가 침루과정을 거쳐 지하수로 유입되는 일방향 구조를 갖고 있어 지하수위 상승 및 하강에 따른 토양수량, 침루량, 중간유출량 등 수문성분량의 변화를 고려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토양수의 분포양상 변화를 고려할 수 있도록 토양수-지하수간의 연결 구조를 양방향으로 개선하여 두 영역간의 연결성을 강화하였다. 지하수위가 상승할 경우 토양대와 지하수대간의 중첩 영역이 생기게 되는데, 이 중첩 영역을 지하수대로 간주하여 영역 내 흐름거동이 지하수 유동 메커니즘을 따르는 토양수-지하수 결합루틴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 결합루틴은 지하수 상승, 하강에 따라 토양수대의 두께가 변하는 가변 토양층 방식(variable soil layer method)으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코드를 구성하였다. 개선된 SWAT-MODLFOW 모형을 무심천 유역에 적용하여 토양수와 지하수간의 상호작용을 해석하고 하천저지대와 같이 지하수위 상승지역에서의 수문성분량의 분포를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Considering Water Balance and Groundwater Head Variation in Watershed (유역물수지와 지하수위변동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 Chung, Il-Moon;Kim, Nam-Won;Lee, Jeong-Woo;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93-697
    • /
    • 2007
  •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유역물수지 모형 또는 지하수위 변동곡선법등이 활용되어 왔으며, 각각의 장단점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 지역내의 지하수 관리계획을 위해서는 유역물수지 모형이 적합한 반면, 실제(actual) 함양량의 정확성 문제가 있으며, 지하수위 변동곡선법은 실제 지하수의 증감을 통해 실제 함양변화를 잘 표현하는 반면, 그 영향권이 관측공에 의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두 방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역유출모의와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문학적 과정으로 함양을 분석하기 위해 준분포형 수문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유동해석 모형인 MODFLOW의 결합모형을 이용한 유역단위 유출해석을 수행한다. 실제로 하천변에 위치한 관측공에서의 지하수위는 하천유출시계열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상류 경사지에 위치한 관측공의 지하수위는 토양수의 지체와 감수현상을 나타내므로 이같이 시간적으로 상이한 지체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모형내의 비포화대를 통과하는 함양의 거동을 기존의 단일 저수지 모형에서 다단 저수지 모형으로 개선하고 지체함수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보정함으로써 모의 함양 시계열과 관측 지하수위 시계열간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모의 및 관측 지하수위 분포의 비교를 통해 공간적인 지하수 분포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함양량 산정 절차가 완성된다. 이같은 일련의 절차는 기존의 유역물수지 모형과 지하수위 변동법을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기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성빈맥(1예), 저심박출증(3예), 재수술이 필요했던 출혈(2예), 흉골 지연봉합(2예), 급성 신부전(2예), 폐렴(1예), 대동맥내 풍선펌프로 인한 혈전색전증(1예),수술 후 섬망(2예) 등이 있었다. 생존한 10명의 환자들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38{\pm}40$개월간의 추적관찰이 되었는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3명이 사망하였고 생존한 6명의 환자는 모두 양호한 상태(NYHA 기능등급, $I{\sim}II$)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