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역

Search Result 74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Varia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with Catchment Characteristic Factors (유역특성인자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화)

  • Yu, Wan-Sik;Lee, Gi-Ha;Lee, Kun-Hyuk;Lee, Bok-Hwa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5-299
    • /
    • 2011
  • 자연계에서 토양의 침식 및 퇴적 반복적 과정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발생하며, 호우로 인한 토사유출은 유역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성과 수문기상학적 특성 등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토양 침식 및 퇴적은 유역의 형상, 토양종류, 토지 이용 및 피복상태, 강우사상 등에 따라 시 공간적 분포가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유역내 침식 및 퇴적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형학적 특성인자와 수문기상학적 특성인자에 따른 유역내 수문학적 응답을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용담댐 상류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Strahler 하천차수구분법에 의해 유역을 차수별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지형학적 특성인자(유역면적, 지표흐름 이동거리, 국부경사)와 수문학적 특성인자(총 강우량)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공간분포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using global meteorological data in Awash basin, Ethiopia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Awash 유역의 수문성분해석)

  • Tolera, Mesfin;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4-334
    • /
    • 2018
  • 에티오피아 Awash 하천유역의 수자원은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 지역에 신뢰성 높은 기상자료의 확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Climate Forecast System Reanalysis (CFSR)의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수문성분해석결과와 기존의 제한된 기상자료를 활용한 결과를 비교하여 향후 두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수문모형은 글로벌 적용이 가능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활용하였고, 상이한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모형의 성능은 두 지점의 관측 유출량과의 비교를 통해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보정은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g (SUFI-2)방법을 이용하였다. Keleta 및 Melka Kunture 소유역에서의 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기존의 가용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구한 결과에 비해 CFSR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결과가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역면적이 Keleta소유역에 비해 6배가 큰 Melka Kunture 유역에서 CFSR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유출량이 더욱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 유역면적이 큰 곳에서 글로벌 자료의 활용성은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글로벌 기상자료의 활용은 아프리카의 대부분 지역과 같이 확보된 기상자료가 부족한 곳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Runoff Variation Considering Irrigation Area of Each Irrigation Facilities (수리시설물별 관개면적을 고려한 유출변화특성분석)

  • Ryoo, Kyong-Sik;Lee, Sang-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6
    • /
    • pp.643-651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reliability of the simulated result for the long-term streamflow in Daecheong watershed. This system was constructed by the SSARR model that considered the effect of small scale irrigation facilities. We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small scale irrigation facilities 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irrigation facilities and river dischar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effect of irrigation facilities, the error occurrence frequency was increased at the sub-basin that has many reservoirs and during the second quarter except for the 2003 year. Therefore, we created the relative equation between small irrigation facilities and river water and estimated the simulated streamflow for the main stations. Consequently, error of the runoff simulated with considering small scale irrigation facilities was decreased than that without considering small scale irrigation facilities at all.

Threshold Runoff Computation for Flash flood forecast on Small Catchment Scale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미소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 Kim, Woon-Tae;Bae, Deg-Hyo;Cho, Chun-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5
    • /
    • pp.553-561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troduce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in Korea and to develop a system for computing threshold runoff on very fine catchment scale. The developed GUI system composed of 9 steps starting from input data preparation to Input file creation for flash flood forecasting compute basin subdivision, hydrologic subbasin characteristics, bankfull flows, unit peak flows and threshold runoffs on about 5 $\textrm{km}^2$ scale. When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on Pyungchang IHP basin, the computed 1-hour threshold runoffs ranged 18.72~81.96mm with average value of 46.39mm. Judging from the comparison of the computed threshold runoffs between this study area and three other basins in United States, the computed results in this study were reasonabl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system on ArcView/Avenue are useful for computing threshold runoff on small catchment and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Parameter Estimation of Vflo$^{TM}$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y Areal Average Rainfall Calculation Methods - For Dongchon Watershed of Geumho River - (유역 평균 강우량 산정방법에 따른 Vflo$^{TM}$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의 매개변수 평가 - 금호강 동촌 유역을 대상으로 -)

  • Kim, Si-Soo;Park, Jong-Yoon;Kim, Seong-Joon;Kim, Chi-You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79-879
    • /
    • 2012
  • 강우현상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해석은 수자원 계획 및 관리를 위해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강우자료는 한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우량계에 의한 관측된 지점강우량자료이다. 기존의 집중형 수문모형이 유출과정의 공간적인 분포 및 변화를 유역단위로 평균화해서 취급하는 개념기반의 모형임에 반해서 분포형 수문모형은 유역을 수문학적으로 균일한 매개변수를 갖는 소유역 또는 격자망으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도시화 등 토지이용의 변화나 기타 유역내의 물리적인 특성의 변화가 수문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잘 모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flo$^{TM}$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과 IDW, Ordinary Kriging, Thiessen 등의 강우 분포 기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제 1지류인 금호강의 동촌 수위관측소 유역($1,544km^2$)을 출구로 하여 강우-유출모의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우-유출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를 선정하고 동촌 수위관측소의 실측 유량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IDW, Kriging, Thiessen 등의 면적강우량 산정방법별로 모형의 보정(2007, 2009) 및 검증(2010)을 실시하였다. 모의 된 유출량과 실측유량의 상관성은 결정계수 $R^2$에서 IDW 과 Kriging의 경우 0.95 ~ 0.99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Thiessen 의 경우 0.94 ~ 0.99의 값을 나타냈다. Nash-Sutcliffe 모형효율은 IDW의 경우 0.95 ~ 0.98, Kriging의 경우 0.94 ~ 0.99를 나타냈으며 Thiessen의 경우는 0.90 ~ 0.98의 모형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때 포화투수계수와 조도계수가 전체 유량과 첨두시간에 영향을 주었다. 호우사상을 선정하여 검보정을 실시 한 결과, 유역의 유출 모의를 수행하였을 때 선행강우량에 따라서 토양의 침투능에 영향을 많이 주고 있기 때문에, 선행 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으로 분류한 뒤에 AMC 조건에 따라서 유출-모의를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n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by Land Use Change in Urban Areas (도시지역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유출특성 분석)

  • Kim, Keewook;Kang, Ji Yoon;Lee, Ye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44-344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 태풍의 규모 및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지역은 전통적인 배수체계가 한계에 도달함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더욱 크게 나타나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심녹지, 빗물정원, 투수포장 등 그린인프라 확충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유역 내 그린인프라 확충에 따른 강우유출특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린인프라의 확충은 불투수층을 투수층으로 변화시켜 물순환 건전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하천 유역인 온천천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모형인 HSPF를 적용하여 유역 내 투수층 증가에 따른 유출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온천천 유역을 세 개의 소유역(온천천 상류, 세병교, 온천천 하류)으로 구분하고 현재 상황(불투수면적비 각각 90.98, 92.96, 94.25%)에서 불투수면적을 10%씩 감소시켜가며 유역 내 지표유출량, 침투량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온천천 유량(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풍수량,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역 내 불투수면적 감소에 따라 강수의 침투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지표유출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역 내 불투수층이 감소함에 따라 지표유출량은 최대 32%까지 감소하고 침투량은 최대 71%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천천의 갈수량, 저수량, 평수량, 풍수량은 증가하는 반면, 홍수 시의 유량을 의미하는 홍수량은 최대 15% 이상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역 내 불투수층의 감소를 통해 평상시에는 추가적인 하천유량 확보가 가능하며, 홍수 시에는 반대로 홍수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그린인프라가 하천유량 확보 및 홍수량 저감을 통해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도시하천 유역의 그린인프라 확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PDF

A Modification of SWMM to Simulate Infiltration Trench (침투 트렌치를 고려한 SWMM의 수정)

  • Lee, Jung-Min;Lee, Sang-Ho;Park, Jae-Hyeon;Lee, Ki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90-794
    • /
    • 2006
  • 도시화 면적이 증가하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도시 하천의 평상시 유출이 감소한다. 도시유역의 평상시 수량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는 침투 증진시설(투수성 포장, 침투 트렌치, 침투 측구 등)의 설치, 하수의 고도처리 후 방류, 저수지에 의한 유황 개선, 지하철 용출수 활용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일부 도시하천의 수량 감소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최근에 나타나고 있다. 수량을 회복하려면 유량 평가를 위한 현장조사, 수량회복 계획, 재원의 반영, 수량회복 시설의 설치 및 관리의 순서로 단계별 사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계획 단계의 과업에서 필요한 사항은 여러 가지 수량 회복방법의 영향을 정량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핵심이 되는 것은 수량 회복 요소를 포함하거나 추가한 수문순환평가 도구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수문 모형을 수정하여 침투 트렌치 모의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과, 이를 가지고 침투 트렌치의 수량 회복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침투 트렌치를 모의하도록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수정하였으며, 수정된 SWMM으로 학의천 배수유역 중 특정 소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수행을 실시하였다. 학의천 배수유역 중 9번 소유역을 대상으로 도시 연속유출모의를 수행하여 침투 트렌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9번 소유역의 경우 산지가 거의 80 %이며, 불투수율과 현지여건, 도로상황을 고려할 때 길이 100 m 규격의 트렌치 약 $10{\sim}20$개 정도가 설치 가능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현실성을 감안하여 시범수행에서는 10개의 트렌치를 설치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9번 소유역 145번 지점의 유황을 분석한 결과 저수량$(Q_{275})$$0.0177m^3/s$에서 $0.0190m^3/s$로, 갈수량$(Q_{355})$$0.0176m^3/s$에서 $0.0189m^3/s$로 약 7%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로부터 침투 트렌치는 저수량 및 갈수량을 증가시키는 보조수단이 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Wetershed Runoff Index for Major Control Points of Geum River Basin Using RRFS (RRFS에 의한 금강수계의 주요지점별 유역유출지표 개발)

  • Lee, Hyson-Gue;Hwang, Man-Ha;Koh, Ick-Hwan;Maeng, Se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3
    • /
    • pp.140-151
    • /
    • 2007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develop a watershed runoff index subject to main control points by dividing the Geum River basin into 14 sub-basins. The Yongdam multipurpose dam Daecheong multipurpose dam and Gongju gage station were selected to serve as the main control points of the Geum River basin, and the observed flow of each control point was calculated by the discharge rating curve, whereas the simulated flow was estimated using the Rainfall Runoff Forecasting System (RRFS), user-interfaced software developed by the Korea Water Corporation, based on the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SSARR) model developed by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This study consisted of the daily unit observed flow and the simulated flow of the accumulated moving average flow by daily, 5-days, 10-days, monthly, quarterly and annually, and normal monthly/annually flow. We also performed flow duration analysis for each of the accumulated moving average and the normal monthly/annually flows by unit period, and abundant flow, ordinary flow, low flow and drought flow estimated by each flow duration analysis were utilized as watershed runoff index by main control points. Further, as we determined the current flow by unit period and the normal monthly/annually flow through the drought and flood flow analysis subject to each flow we were able to develop the watershed runoff index in a system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abundance and scarcity of the flow at the corresponding point.

Input, Output and Budget of Nitrogen and Sulphur in Forested Watershed Ecosystems (산림 소유역 생태계에서 질소와 황의 유입량, 유출량과 물질수지)

  • You, Young-Han;Kim, Joon-Ho;Mun, Hyeong-Tae;Lee, Chang-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5 no.3 s.107
    • /
    • pp.189-195
    • /
    • 2002
  • In order to elucidate the budget and cycling of Nitrogen and Sulfur, essential elements and principal constituents of acid rain, their input through precipitation, and their output by streamflow were quantified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ed watersheds, using combination of nutrient concentration and hydrological analysis, in Kwangnung Experimental Forest from July 1991 to December 1993. Amount of annual mean precipitation was $12,916\;ton{\cdot}ha^{-1}{\cdot}yr^{-1}$, annual mean runoff $5,094\;ton{\cdot}ha^{-1}{\cdot}yr^{-1}$(39%), $7,467\;ton{\cdot}ha^{-1}{\cdot}yr^{-1}$(59%) in coniferous and deciduous forest watersheds, respectively. Amounts of annual input of $N({NO_3}^-+{NH_4}^+)$ and ${SO_4}^{2-}$ through preciptation were 12.5, $81.72\;kg{\cdot}ha^{-1}{\cdot}yr^{-1}$, repectively. Annual output via runoff of $N({NO_3}^-+{NH_4}^+)$ and ${SO_4}^{2-}$ were 0.06, $39.23\;ton{\cdot}ha^{-1}{\cdot}yr^{-1}$ in the coniferous forest watershed ecosystem, and 0.15, $55.46\;ton{\cdot}ha^{-1}{\cdot}yr^{-1}$ in the deciduous one,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annual nutrient input and output, the annual budget of $N({NO_3}^-+{NH_4}^+)$ and ${SO_4}^{2-}$ were +12.46, $+42.49\;ton{\cdot}ha^{-1}{\cdot}yr^{-1}$ in the coniferous forest watershed, and +11.35, $+26.26\;ton{\cdot}ha^{-1}{\cdot}yr^{-1}$ in the deciduous one. Thus $N({NO_3}^-+{NH_4}^+)$ and ${SO_4}^{2-}$ were accumulated in both forested watershed ecosystems.

Cross-Sectional Velocity Variability and Tidal Exchanger in a Bay (만구를 통한 해수유출입과 만내수괴의 해수교환성)

  • 김종화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26 no.4
    • /
    • pp.353-359
    • /
    • 1990
  • Chinhae Bay, included small ports, is the region which the red tide phenomenon is occurred frequently in summer season. Field sampling of 4 cross-sections in the bay resulted in detailed informations on cross-sectional velocity distributions, salt concentrations and discharge during one consecutive tidal cycle in summer season, 1983. High velocity cores reoccur two times a semi-diurnal tidal cycle at the same cross-sectional location, lower layer, in Kadok Channel during the spring tide. The tidal exchange ratio was estimated by Eulerian method. The range of exchange ratios in central Kadok Channel are 9.3-17% at the spring tide and 16.9-21.8% at the neap tide. On the other hand, its range in Masan bay-mouth is 8.7% at the spring tide and 2.0% neap tide,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