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수량

Search Result 40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Using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첨두수질농도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관리방안 연구)

  • Kal, Byungseok;Park, Jaebeom;Kwon, Heongak;Im, Taehyo;Lee, Jih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3
    • /
    • pp.287-295
    • /
    • 2017
  • In this study, rainfall runof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ak concentr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water quality and flow data in the Geumho river, and the direction of nonpoint source management such as monitoring and management period by pollution source was derived.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is the concept that utilizes the extreme value as the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ion control standard with the highest water quality in the rainwater runoff. Using this method, the evaluation factors such as cumulative precipitation(total precipitation),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cumulative precipitation up to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time to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and EMC to peak water quality concentration were examined and long- Rainfall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ed proper monitoring and management method to manage nonpoint source.

Uncertainty Analysis of SWAT Model using Monte Carlo Technique and Ensemble Flow Simulations (몬테카를로 기법과 앙상블 유량모의 기법에 의한 SWAT 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 Kim, Phil-Shik;Kim, Sun-Joo;Lee, Jae-Hyouk;Jee, Yo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1 no.4
    • /
    • pp.57-66
    • /
    • 2009
  • 수학적 모델은 수량과 수질의 예측을 위해 현장 조사의 대안으로 사용되어지며 이러한 모델의 사용과 실측에 불확실성이 존재하게 된다. 불확실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시나리오에 의한 모델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이 농경지와 목초지로의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를 설계한 후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몬테카를로 기법 (Monte Carlo simulation)을 이용하여 각 매개변수별 1,000개의 난수를 발생하였으며 앙상블 유량모의 기법을 이용하여 미국 Alabama주 카하바강 상류 (50,967ha)를 대상으로 각 난수별 100개의 유량을 통해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지역이 농경지와 목초지로 변화 되었을 때 유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임야가 목초지 보다 농경지로 변화되었을 때 유출량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나리오별 SWAT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은 AWC (Available water capacity), CN (Curve number), GWREVAP (groundwater re-evaporation coeffeicient), REVAPMN (minimum depth of water in shallow aquifer for re-evaporation to occur)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Ksat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와 ESCO(Soil evaporation compensation factor)는 유출량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별 산림 면적이 클 경우 불확실성이 크게 나타나 산림이 목초지와 농경지로 변함에 따라 불확실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ater Balance Change of Watershed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물수지 변화)

  • Yang, Hea-K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3 s.120
    • /
    • pp.405-420
    • /
    • 2007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Seomjingang Dam and Soyanggang Dam Catchment on water circulation in order to examine water balance change of watershed by climate change. Obviously,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showed a gradually increasing trend for the past 30 years; evapotranspiration vary in areas and increasing annual average air temperature is not always proportional to increasing evapotranspiration. Based on Penman-FAO24, climatic water balance methods and measured values are shown to be significantly related with each other and to be available in Korea. It is certainly recognized that increasing annual rainfall volume leads to increasing annual runoff depth; for fluctuation in annual runoff rates, there are some difference in changes in measured values and calculated values. It is presumably early to determine that climate chang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unoff characteristic at dam catchment. It is widely known that climate changes are expected to cause many difficulties in water resources and disaster management.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deeper understanding is necessary for climatological conditions and variability of hydrology and to have more careful prospection and to accumulate highly reliable knowledge would be prerequisites for hydrometric network.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Rapid filtration Process treating Secondary Clarifier Effluent for Wastewater Reuse (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최종침전지 유출수의 급속여과공정 처리특성)

  • Han, Dong-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2
    • /
    • pp.213-220
    • /
    • 2002
  • This reserch was focused upon experimental study for wastewater reuse and conducted to evaluat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rapid filtration process such as filter flow rate, filtration time and backwashing condition for reuse of secondary-treated effluent using the pilot plant installed in re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lso, the experiment on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coagulant-added activated sludge process was performed to compare with activated sludge succeeded to rapid filtration. As the filtration velocity was 100m/day, the filtration time of the rapid filter connected with activated sludge system was revealed to 40 hours. Backwashing of filter was conducted by water wash and air scour. The optimum backwashing time and backwash flow rate were 10min and 10LPM, respectively. The quantity of backwashing water of the rapid filter was about 2% of total treated wat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hagnum fens in Mt. Odae : I. Sowhangbyungsan-neup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 I. 소황병산늪)

  • Kim, Jae-Ge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1
    • /
    • pp.15-27
    • /
    • 2009
  • To reveal conservation value of Sowhangbyungsan-neup among wetlands in Mt. Odae designated as a Ramsar convention site in 2008,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depth of sediment was 86cm and average at central part was 56cm. Average pH of water was 5.8 and this indicates that this wetland ha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bog and fen. Average electron conductivity was $11{\mu}S$/cm, which is the lowest among Korean wetlands. Nutrient status was oligotrophic based on contents of cation, nitrate, ammonia, soluble reactive phosphorus in water. Out-flow of water was related with the 3 day cumulative precipitation. Soil texture was loam and nutrient level was very low. Vascular plants of 45 family, 95 genus, 121 species, 2 subspecies, 16 variety, 4 forma, total 121 taxa were recorded. Main plant communities on Sphagnum base were Osmunda cinnamomea community, Carex dispalata community and Carex curta commun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wetland has very differe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an others in Korea and deserves conservation value well.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no evident threatening factor and this wetland will have characteristics of fen continuously in near future.

  • PDF

Analysis of the soil moisture data on interannual variation in mountain area (산지 토양수분 관측자료 경년변화 특성 분석)

  • Kim, Kiyoung;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2-192
    • /
    • 2018
  • 토양수분량은 가뭄, 홍수 및 갈수 예보, 유출 해석, 작물의 소비수량 산정과 같이 국가 물 관리 및 수자원 계획 및 개발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생태수문학의 중요한 인자로써 식생의 성장 및 변동의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이는 대기의 상호작용 및 총체적인 물 수지와 관련되며 지표면의 침투, 증발산, 오염물의 이송 및 생태계에도 중요한 인자로 활용된다. 토양수분량은 수자원 부존량에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적지만 대상유역의 유출기구 특성을 지배하는 주요인자로 작용하여 홍수량의 규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미국 등 여러 선진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토양수분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여 토양수분량을 정기적으로 관측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토양수분량 관측을 하고 있으며, 주로 농업목적으로 토양수분량 관측소가 운영되고 있다. 그 중 기상청에서는 주로 농업기상관측 항목에 포함하여 농업기상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작물의 생육 목적으로 토양수분량 자료를 관측하고 있다. 하지만, 유역 단위의 가뭄과 물 순환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여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유역 단위의 토양수분량 자료생산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유역 단위의 토양수분관측의 어려움은 주로 산지에서 발생하는 토양수분의 변동이다. 이는 사면의 유출과 식생의 영향 및 기반암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수레의산)과 설마천(감악산) 산지 사면에 설치된 유전율식(TDR, Time Domain Reflectometer)장비로 관측된 최근 3년간(2015~2017)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년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유역의 물 순환을 규명하는데 가장 중요한 연구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ediction of the Suitable Area on Erosion Control Dam by Sediment Discharge in Small Forest Catchments (산림소유역 토사유출량에 의한 사방댐 시공적지 예측기법 개발)

  • Lee, Sung-Jae;Kim, Seon-Jeong;Lee, Eun-Jai;Ma, Ho-Seo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9 no.4
    • /
    • pp.438-445
    • /
    • 2020
  •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I) for prediction of the suitable area of erosion control da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diment discharge in small forest catchm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redging passage (0.7495) and age class (0.6000). In contrast, area (0.3416), slope gradient (0.3207), rainfall (0.3160), altitude (0.2990) and soil type (0.2192) were poorly correlated. Following quantification theory (I), we developed a selection decision table for erosion control dams based on sediment discharge rate as class I (highly suitable site, greater than 2.2496), class II (suitable site, 1.1248~2.2495), and class III (poorly suited site, lower than 1.1247).

Estimation of discharge for Namneung river basin using satellite precipitation (위성강수를 이용한 남능강 유역 유출량 추정)

  • Joo Hun Kim;Chung 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8-428
    • /
    • 2023
  • 글로벌 위성 기반의 강수량 관측에 대한 역사는 1979년에 Arkin의 의해 제안된 IR(Infra-Red) 방법에 의해 위성으로부터 강우자료를 유도하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7년 해양에서의 비교적 정확한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다중 채널의 마이크로파(MW) 복사계를 이용한 방법에서 1997년TRMM(Tropical Rainfall Measurement Mission)위성의 PR(Precpipitation Radar)의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2014년 GPM(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Mission) 핵심 위성(GPM Core Observatory)에 탑재된 Dual PR에 의한 방법으로 위성강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가고 있다(Kim et al. 2013). 한국과 아세안의 경제협력이 증가하면서 국내 ODA 정책에서 아세안은 가장 우선적인 대상이 되었다. 정부는 2011-2015년 기간에 라오스 등 26개 국가를 중점협력국에 포함시켰고, 2021~2025년간 적용될 제3기 중점협력국에 라오스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성영상으로부터 유도된 위성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라오스의 남능강 유역에 대한홍수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자료인 위성강수 자료는 GSMaP 위성강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1시간의 시간해상도와 0.1°의 공간해상도를 갖는다. 라오스 남능강 유역 9개 지점의 2019년 8월~9월까지의 총강수량 비교 결과 9개 지점의 1일 관측강우의 경우 유역내 평균 약 699.2mm였고, 위성강수는 425.4mm로 위성강수가 과소추정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두 자료간의 결정계수(r2)는 약 0.79의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성강수를 이용한 홍수량 분석 결과 같은 시기에서 남능강 유역 출구점의 첨두유출량은 약 5,786m3/s로 분석되었다. 분석도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하여 운영중인 GRM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였다. 향후 위성강수와 지점강수의 조합에 의한 다운스케일링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계측자료가 부족한 지역에서의 홍수량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PDF

Development of a DEbris flow Loss Estimation Tool using Inventory and GIS (토석류 충격력과 인벤토리를 고려한 GIS 기반 토사재해 피해액 산정 모형 개발)

  • Kim, Byung Sik;Nam, Do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05-105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상승 및 강수량 증가, 호우일수 증가 등 이상기후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폭우, 풍랑, 가뭄, 대설 등으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 1,300mm의 대부분의 강우가 하절기인 6 ~ 9월에 태풍 및 집중호우를 동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연강수량의 60%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된다. 이러한 여름철에 집중된 강우로 인해 홍수 및 범람 피해가 여름철에 급증하고 있으며, 2차 피해인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또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토석류는 집중호우 시 자연산지의 취약한 사면이 붕괴되어 유출수와 함께 급경사의 계류로 붕괴된 토석이 유출되면서 토석류로 전이 및 발전하여 계류하부의 주택 및 농경지를 매몰하여 피해를 발생시킨다. 특히 토석류는 유출수와 함께 토석이 급경사의 계류를 따라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퇴적 시작점에서 높이의 6배까지 이동하여 인명피해 등 큰 피해를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토석류 피해로 인한 피해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토석류 발생 시 피해 규모를 예측하여야하며, 또한 하부 구조물의 손실을 정량적으로 해석하여 방재정책의 우선순위를 수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우로 인한 토석류 발생시 하부 구조물의 손실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토사재해 손실·손상함수를 개발하여, 함수를 탑재한 토사재해 피해액 산정모형인 DELET(DEbris flow Loss Estimation Tool) 모형을 개발하였다. DELET를 이용하여 실제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피해지역에 적용하여 토사재해 피해 구조물의 손실을 평가하였다.

  • PDF

Impacts of Two Types of El Niño on Hydrologic Variability in Annual Maximum Flow and Low Flow in the Han River Basin (두 가지 El Niño 형태에 따른 한강 유역의 연최대홍수량 및 저유량의 변화 분석)

  • Kim, Jong-Suk;Yoon, Sun-Kwon;Lee, Joo-H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0
    • /
    • pp.969-981
    • /
    • 2012
  • In this study, we analysed hydrologic variability in quantity and onset of annual maximum flow and low flow by impacts of the different phases of ENSO (El Ni$\tilde{n}$o Southern Oscillation) over the Han River Basin. The results show that annual maximum flow ha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ut 48.3% of all over the watershed. The onset of annual maximum flow was delayed in the west of the Han River basins and in the east of the basins was likely to be rapid onset. Also, this study shows that 7-day low flow was dec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bout 26.0% of the total area in the Han River Basin, and onset of 7-day low flow tends to be faster in the upper-middle basins of the Han River. The onset of annual maximum flow shows similar pattern during the CT (Cold tongue)/WP (Warm-pool) El Ni$\tilde{n}$o years, but annual maximum flow appeared less in 89.0% of all basins during the CT El Ni$\tilde{n}$o years. In addition, the onset of 7-day low flow tended to be faster about 17 days on average during the WP El Ni$\tilde{n}$o years, and 72.7% of the basins show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e CT El Ni$\tilde{n}$o year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 phases of CT/WP El Ni$\tilde{n}$o have effects on sensitivity to variability in quantity and onset of water resources over the Han River Basin. We expect that the present diagnostic study on hydrological variability during different phases of ENSO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long-term prediction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