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체

Search Result 12,94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anofluids Using Carbon NanoTubes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유체의 특성 비교 연구)

  • An, Eoung-Jin;Park, Sung-Seek;Kim, Nam-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74.1-74.1
    • /
    • 2011
  •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21세기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차세대 첨단 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나노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획기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높은 열전도도 특성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기본 유체 및 기능성 유체에 안정하게 분산 시킨 후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탄소나노튜브를 유체에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계적 분산법, 물리적 흡착에 의한 분산법, 화학적 개질에 의한 분산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분산 방법과 탄소나노튜브 입자의 물성치에 따른 나노유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나노유체의 열전도도와 점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물성치는 같지만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만 다른 두 종류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각각 계면 활성제(Sodium Dodecyl Sulfate, SDS) 100 wt%와 고분자 화합물(Polyvinyl Pyrrolidone, PVP) 300 wt%를 첨가하여 나노유체를 제조하였으며, 산화처리 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Oxid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OMWCNTs)를 증류수에 초음파 분산하여 산화나노유체를 제조하였다.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는 전기 전도성 유체의 비정상 열선법(Transient Hot-wir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나노유체의 점도는 회전형 디지털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상온에서 동일 혼합비의 나노유체를 비교했을 때, 산화나노유체가 SDS 100 wt%, PVP 300 wt%를 혼합한 다른 나노유체보다 높은 열전도도 특성을 보였으며 점도 특성 또한 가장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상온에서 0.1vol%의 산화 CM-100 나노유체는 증류수보다 열전도도가 8.34%가 증가하였고, $10^{\circ}C$의 저온에서는 상온에서 증류수와 비교하여 측정된 열전도도 값보다 0.36%가 감소한 7.98%가 증가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높은 열전도도를 필요로 하는 열교환기의 작동유체나 기타 활용 분야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Kolmogorov Microscales for Non-Newtonian Fluid (비뉴우톤성 유체에서의 Kolmogorov Microscales)

  • 전명식;최형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2 no.1
    • /
    • pp.87-89
    • /
    • 1990
  • n차 유체모델을 사용하여 비뉴우톤성 난류계에서 Kolmogorov microscales를 연구하 였다. 뉴우톤성유체와 2차유체양 모델에 대해서는 같은 미세척도 운동(small scale motion) 의 dissipation energy 뿐만아니고 Kolmogorov microscales도 같은 값으로 유도되었으나 3 차 유체모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뉴우톤성 유체의 특성이 얻어졌다.

  • PDF

The Analysis of Fluid-Solid Interaction Problem by Using Variable-node Element (변절점 요소를 이용한 유체-고체 상호작용문제의 해석)

  • Kang, Yong-Soo;Sohn, Dong-Woo;Kim, Hyun-Gyu;Im, Se-Yo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9-62
    • /
    • 2009
  • 유체-고체 상호작용(FSI)은 산업전반에서 꼭 필요한 분야이면서도 쉽게 접근하기가 어려운 전산역학 분야의 난제 중 하나이다. 유체-고체 상호작용의 전산해석에서 유체와 고체 사이의 불일치 격자망을 어떻게 처리하는가는 매우 어렵고 민감한 부분이 된다. 운동학적 연속성과 계면을 따른 응력의 평형을 추적하기 위해 유체와 고체의 계면에서는 각각의 영역에서 해석된 물리량들을 다른 영역으로 정확히 전달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유체-고체 상호작용의 문제들은 불일치 격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일치 격자망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래서 넓은 분야에 걸쳐 적용 가능한 유체 고체 상호작용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해석방법의 제안이 큰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체-고체 계면의 운동을 이동최소제곱 기반의 변절점 요소를 사용하여 모사함으로써 2차원 유체-고체의 상호작용(FSI)을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Hydrodynamic Behavior of a Slender Cylinder Falling in a Viscoelastic Fluid (점탄성 유체내에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주용기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4 no.1
    • /
    • pp.25-34
    • /
    • 1992
  • 저속으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유체역학적 거동에 대하여 점탄성 유체의 비 뉴우튼 성질의 영향에 관해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원통형 미소체의 직경 및 직경에 대한 길 이의 비 (Aspect Ratio)의 영향에 관해서도 또한 고찰하였으며 본 실험에서는 뉴우튼 유체 로서 99.5%의 글리세린용액과 점탄성 유체로서 1,000 wppm 의 polyacyla-mide(Separan AP-273) 수용액이 각각 사용되었다. 낙하하는 미소체의 Aspect Ratio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최종속도는 뉴우튼 유체내에서 보다 점탄성 유체내에서 그증가속도가 더욱 커짐을 보였다. 뉴우튼 유체 내에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마찰저항 계수는 실험데이타로부터 계산된 값과 이론치가 비교적 잘일치하나 점탄성 유체에 관한 마찰저항 계수는 본 실험의 결과치와 무한히 긴 원통형 미소체에 대한 기존연구의 이론값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수 있었 다, 이는 점탄성 유체내에서 수직으로 낙하하는 원통형 미소체의 저항계수가 k(즉 용기의 직경에 대한 미소체 직경의 비), power-law index 레이놀즈수 뿐아니라 aspect ratio를 포함 하는 새로운 관계식이 도출되어야 함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 PDF

Asymptotic Approach to Pressure Drop and Heat Transfer in a Rectangular Pipe with Shear-thickening Fluids (사각형 단면 파이프 내에서의 Shear-thickening 유체를 이용한 압력강하 및 열전달 예측에 대한 점근적 해석)

  • Lee, Dong-Ry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Technology
    • /
    • v.13 no.4
    • /
    • pp.23-30
    • /
    • 2011
  • 본 연구는 산업용 열교환기 및 상용 파이프의 최적 설계를 위하여 열교환기 내의 사각형 단면 파이프의 shear-thickening 비뉴톤 유체의 압력강하 및 대류 열전달률을 수치해석적으로 수행하였다. shear-thickening 유체의 구성 방정식은 기존의 비뉴톤 유체 멱법칙을 보완한 확장 멱법칙 모델을 채택하였다. 파이프 내의 압력강하를 의미하는 마찰계수와 확장 레이놀즈 수의 곱은 기존 연구의 비교자료와 비교할 때 뉴톤 유체 영역과 멱법칙 영역에서 각각 0.018% 및 0.06% 내에서 일치함을 보였고, 대류 열전달률을 의미하는 뉴셀트 수는 문헌치와 비교할 때 뉴톤 유체 영역과 멱법칙 영역에서 각각 0.025% 및 0.14% 내에서 일치함을 보였다. 비뉴톤 확장 멱법칙 유체 모델의 형태를 띠는 shear-thickening 유체를 열교환기 또는 상용파이프 내의 사각형 단면 파이프 내에서 사용하면 유동지수(n)에 따라서 뉴톤 유체보다 최대 160%의 압력강하를 증가시켰고 최대 14%의 대류 열전달 감소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Finite Element Analysis for Evaluation of Viscous and Eccentricity Effects on Fluid Added Mass and Damping (유체 부가질량 및 감쇠 결정시 점성 및 편심 영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 구경회;이재한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21-27
    • /
    • 2003
  • In general, simple fluid added mass method is used for the seismic and vibration analysis of the immersed structure to consider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effect. Actually, the structural response of the immersed structure can be affected by both the fluid added mass and damping caused by the fluid viscosity. These variables appeared as a consistent matrix form with the coupling terms. In this paper, finite element formula for the inviscid fluid case and viscous fluid case are derived from the linearized Navier Stoke's equations. Using the finite element program developed in this paper, the analyses of fluid added mass and damping for the hexagon core structure of the liquid metal reactor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uid viscosity with variation of the fluid gap and Reynolds number.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is verified that the viscosity significantly affects the fluid added mass and damping as the fluid gap size decrease.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eccentricity effect on the fluid added mass and damping of the concentric cylinders, the fluid added mass increase as the eccentricity increases, however the fluid damping increases only when the eccentricity is very severe.

LIQUID FLOW AND EVAPORATION SIMULATION OF CRYOGENIC FLUID IN THE WALL OF CRYOGENIC FLUID CARGO CONTAINMENT SYSTEM (극저온 유체 화물창 방벽 내의 액체유동 및 기화 시뮬레이션)

  • Lee, Hee-Bum;Park, Bum-Jin;Rhee, Shin-Hyung;Bae, Jun-Hong;Lee, Kyung-Won;Jeong, Wang-Jo;An, Sang-Ju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3a
    • /
    • pp.308-315
    • /
    • 2008
  •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은 보통 1차 방벽과 2차 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생기더라도, 액밀이 되는 2차 방벽에서 추가적인 극저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 방벽에 추가적인 손상이 생길 경우 유리솜으로 만들어진 Flat Joint를 거쳐 선체내벽까지 극저온 유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2차 방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그리고 누출되는 극저온 유체의 양에 따라, 내측선체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을 구성하는 2차 방벽에 구멍을 뚫어 Flat Joint 사이로 극저온 유체가 흘러 들어가도록 격자를 생성한 후,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극저온 유체의 누출에 대한 계산을 수행 하였으며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과 계산 결과를 살펴보면, 극저온 유체량에 따라 내측 선체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LIQUID FLOW AND EVAPORATION SIMULATION OF CRYOGENIC FLUID IN THE WALL OF CRYOGENIC FLUID CARGO CONTAINMENT SYSTEM (극저온 유체 화물창 방벽 내의 액체유동 및 기화 시뮬레이션)

  • Lee, Hee-Bum;Park, Bum-Jin;Rhee, Shin-Hyung;Bae, Jun-Hong;Lee, Kyung-Won;Jeong, Wang-Jo;An, Sang-Ju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308-315
    • /
    • 2008
  •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은 보통 1차 방벽과 2차 방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방벽에 소량의 극저온 유체의 누출이 생기더라도, 액밀이 되는 2차 방벽에서 추가적인 극저온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차 방벽에 추가적인 손상이 생길 경우 유리솜으로 만들어진 Flat Joint를 거쳐 선체내벽까지 극저온 유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2차 방벽의 손상 정도에 따라, 그리고 누출되는 극저온 유체의 양에 따라, 내측선체에 얼마나 영향이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극저온 유체를 운반하는 선박의 화물창을 구성하는 2차 방벽에 구멍을 뚫어 Flat Joint 사이로 극저온 유체가 흘러 들어가도록 격자를 생성한 후, CF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극저온 유체의 누출에 대한 계산을 수행 하였으며 이를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과 계산 결과를 살펴보면, 극저온 유체량에 따라 내측 선체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he Comparison of Properties of ER and MR Fluids Using a Rotational Viscometer (회전식 점도측정기를 이용한 ER 및 MR유체의 특성 비교)

  • 이영록;전도영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1 no.2
    • /
    • pp.73-81
    • /
    • 1999
  •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is to give criteria of designing devices using ER fluids and MR fluids. The Properties of commercial ER fluids and MR fluids are compared using a rotational viscometer. The yield strength is compared upon changes of shear rate, temperature and applied fields. MR fluids seem less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 than ER fluids. In cases of MR and ER fluid dampers, the time delay and damping force are measured in tension and compression mode when the applied field changes.

  • PDF

Pressure Drop Reduction and Heat Transfer Increase with Rheological Fluid Flows in a Circular Conduit (원형 도관 내에서의 유변 유체에 대한 압력손실 감소 및 열전달 증가)

  • Lee, D.R.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1
    • /
    • pp.51-57
    • /
    • 2012
  • 본 연구는 컴팩트한 열교환기의 설계를 위하여 열교환기 내의 원형 단면 도관의 유변 유체의 압력 강하 및 대류 열전달률을 수치해석적으로 수행하였다. 유변 유체의 구성방정식은 기존의 비뉴톤 유체 멱법칙을 보완한 수정 멱법칙 모델을 채택하였다. 도관 내의 압력강하를 의미하는 마찰계수와 수정 레이놀즈 수의 곱은 기존 문헌치와 비교할 때 뉴톤 유체 영역과 유변 멱법칙 영역에서 각각 0.01% 및 0.004% 내에서 일치함을 보였고 유변 수정멱법칙 유체 모델의 형태를 띠는 유변 유체를 열교환기 내의 원형 단면 도관 내에서 사용하면 뉴톤 유체보다 최대 58%의 압력강하를 감소시켰고 최대 9%의 대류 열전달 증가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