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지관리 체계

Search Result 1,368, Processing Time 0.05 seconds

Identification of Breakdown Structure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Repair, and Rehabilitation Technologies using Comparative Case Study (비교사례 연구를 통한 인프라 유지관리 기술 분류체계 도출)

  • Kim, Du Yon;Cha, Yongwoon;Park, Wonyoung;Park, Tae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0
    • /
    • pp.248-258
    • /
    • 2020
  • This study proposed a breakdown structure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technologies under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asset management at the life cycle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benchmarking with other developed countries. For this purpose, a comparative case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and analyze the existing definitions and hierarchies for infrastructure maintenance, repair, and rehabilitation (MR&R) systems under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maintenance costs to GDP, the U.S., U.K, and Japan were selected to review their systems. The classifications and definitions of MR&R technologies under the laws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most developed countries differentiate maintenance and repair from improvement and constitute a system centered on preventive maintenanc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Korea's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is not definitely classified and still focused on reactive structures, which need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as proposed, a breakdown structure established the concept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Maintenance & Repair, and Performance Improvement. Consequent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ve MR&R activities and reasonable resource allocations from an asset management point of view.

A Method of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BIM (BIM을 이용한 시설물 유지관리 방안)

  • Nah, Hei-Sook;Choi, Won-Sik;Kim, Nam-Gon;Moon, Hyoun-Seok;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5-436
    • /
    • 2013
  • 최근 유지관리 단계에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시설물 유지관리 효율성과 성능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현행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에서는 준공도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유지관리 단계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체계 미흡, 자산관리 체계 미흡 등으로 효율성 측면에서 유지관리 운영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3차원 형상정보 관리체계와 능동적 의사결정 모델 등 BIM기술을 활용한 유지관리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론의 핵심인 BIM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시설물의 유지관리 정보의 통합관리와 시설물 성능관리에 대한 효율적 의사결정을 지금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Strategies and Feasibility Evaluation of Maintenance Operation System for Railway Bridge Based on Ubiquitous-BIM Technology (Ubiquitous-BIM 기술 기반의 철도교량 유지관리 운영체계 구축 전략 및 타당성 평가)

  • Moon, Hyoun-Seok;Kim, Hyeon-Seung;Kang, Leen-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5 no.5
    • /
    • pp.459-466
    • /
    • 2012
  • Due to the issues such as omission of data, document based management, maintenance based on measurement data and wire-based network, it is difficult existing maintenance system for railway bridges to act to diverse characteristics of site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real time. With these reasons, there are many constraints in establishing active maintenance strategies for railway bridges. To 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s an integrated maintenance business model based on practical utiliz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BIM technology to build a smart maintenance operation system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for railway bridges. To secure its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s, a quantitative evaluation by questionnaire analysis was perform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uggested model will be utilized as a framework model in order to build the smart maintenance operation system from collection of maintenance data to action for railway bridges.

Development of A Process Which Integrates Maintenance Considerations In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Parks (도시공원에 있어서 유지관리를 고려한 계획 및 설계 방법론 개발)

  • Kim, Yong-Soo;Jot D. Carpenter;Yi, Gi-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7 no.1
    • /
    • pp.29-42
    • /
    • 1989
  • 도시공원의 합리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관리체계 및 비용의 주의깊은 분석이 요구된다. 공원의 유지관리문제를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여 처리할 수 있는 방법론이 개발되어짐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계획 및 설계가 이루어 짐과 동시에 이상적인 유지관리가 행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Columbus시의 도시공원을 Sampling 하여 유지관리비용(maintenance cost)을 분석하고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유지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한 시도로써 Simulation Model을 개발해 보았다. 앞으로 컴퓨터 정보교환체계(Interactive computer information system)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도시공원계획 및 유지 관리에 보다 큰 발전이 예상된다. 이와같은 연구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1)상세한 유지관리비용의 분석, 2) 관리비용을 절감시킬수 있는 설계기준(Criteria)의 설정, 3)계획·설계·관리를 연결시킬 수 있는 컴퓨터 정보교환체계(Interactive computer Information system)의 개발등이 더욱 연구되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Classification Standard for Efficient Maintenance System of Educational Facilities (교육시설물의 효율적 유지관리 체계정립을 위한 분류 기준연구)

  • Kim, Song-Hwa;Kim, Sung-Kyum;Cho, Chang-Yeon;Son, Jae-Ho;Kim, Ja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403-407
    • /
    • 2007
  • Korean Government conducted "a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suggested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first and second level in terms of the complexity in May, 2001.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nounced a standard of the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using previous research in August, 2001. Since 2005, many BTL projects have been constructed for the educational facility. However, there is mixed official standard of the system for the educational facility. Moreover, it is difficult for the SPC to use the current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since the item in the educational facility cannot be easily located in the current system. Thus, this research suggests an efficient maintenance system for the educational facility. Two classification systems, space-oriented and element-oriented systems, are suggested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 PDF

Application of BIM technologies for maintenance of subway structures (지하철 구조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기술 활용)

  • Shim, Chang-Su;Kim, Seong-Wook;Yun, Nu-Ri;Song, Hyun-Hy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91-94
    • /
    • 2011
  • 시설물 전생애주기에 걸쳐 정보가 공유되고 피드백 될 수 있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의 등장은 유지보수 관리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유지관리점검 도구의 의미를 지님과 동시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주요 기술영역 및 사업주체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효율적인 지하철 터널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조직된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별로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유기적인 단일 모델이 요구된다. BIM기반의 지하철 터널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건설정보분류체계 및 이를 보안한 유지관리점검 표준분류체계를 적용한 정보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C4I Maintenance Priority Decision using fault analysis methods (결함분석 기법을 활용한 C4I체계 유지보수 관리 우선순위 선정)

  • Kim, Kiwang;Kang,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5-28
    • /
    • 2017
  • 네트워크 중심전에서 C4I체계의 안정적 운용을 통한 전장에서의 정보우위 달성을 위해 체계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여 각 군 C4I체계는 외주 용역업체를 통해 유지보수를 수행 중에 있다. 유지보수는 C4I체계의 수명 주기 중 가장 오랜 기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결함 데이터 등의 실증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기간이다. 따라서 유지보수 기간 중 수집한 결함 데이터를 결함분석기법을 통해 분석(치명도, 발생빈도)하고, 주요기능별 활용도를 이용하여 C4I체계 유지보수 관리 우선순위 선정기법을 제안한다. 이 후 제안 기법을 해군 C4I체계의 군적용 사례연구를 통해 유지보수 관리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제한된 자원(예산, 인력, 시간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판단의 근거로 사용이 가능함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체계화된 결함분석과정을 통해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유지보수의 연속성 보장과 향후 성능개량사업간 시스템 분석의 참고자료로 활용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C4I체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Maintenance System for Introducing the Asset Management System of Power Generation Companies (발전사의 자산관리체계 도입을 위한 유지관리체계 현황분석)

  • Kim, Chang-Hak;Jeon, Seok-Hye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2 no.1
    • /
    • pp.165-175
    • /
    • 2021
  •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asset management in developing maintenance strategies for public facilitie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analyze public institutions' maintenance status, thereby leading to an asset management system. The survey identified the maintenance priorities for the asset management system, evaluated the weight factor in selecting facilities, and analyzed the current maintenance syst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system transitioning to asset management systems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the facilities from safety management-oriented maintenance policies. As a consequence of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presents data for establishing an asset management system.

The Design about Data Component for Develop of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System (공공시설 자산관리 체계 프레임워크 구성을 위한 데이터 구성요소 설계)

  • Myoung-Bae Seo;Seong-Yun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90-592
    • /
    • 2008
  • 정부와 시설물유지관리 기관에서는 공공시설의 안전성 확보와 유지관리 업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으나 대응적 유지보수 체계의 한계로 인하여 합리적인 예산수립을 위한 최적의 의사결정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지관리의 효율성 증대 및 예산 절약을 위해 공공시설에 예방적 개념의 자산관리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자산관리는 시설물의 최적화된 관리를 위한 경영전략으로 시설물 상태에 대한 공학적, 해석적 분석을 넘어 대상물을 자산으로 인식·평가하고 가치유지 및 향상을 목표로 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최대만족을 얻기 위한 전략이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자산관리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본 논문에서는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해외 사례조사를 통해 시스템 핵심 기능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 항목 분류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국내 안전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Sun Woong;Ahn, Kye 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3 no.4 s.56
    • /
    • pp.101-106
    • /
    • 2009
  • In order to build an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structures and to propose national policy and vision for advance of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Fundamental Scheme of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for Structures' has been established and promoted. As developed countries adopt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which is preventive as well as aggressive repair/strengthening for structures, it is needed to introduce life-cycle analysis method for improvement of economical efficiency.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not only analysis of domestic conditions and problems related to system for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policies and costs for structures but an improvement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