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초

운영연속성관리(OCM)관점에서 위기관리통합시스템 구축 (Comprehensive Crisis Management System of Operational Continuity Management)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27-133
    • /
    • 2010
  • 운영연속성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프로세스는 비즈니스 위험 평가, 취약성 분석, 업무영향분석, 업무복구전략수립, 상세계획수립, 계획실행, 테스트 및 유지관리(모니터링 포함)의 반복적인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관리체계는 조직에 발생하는 재난 관리 체계를 개발, 수행, 개선, 유지와 업무 연속성 확보 체계를 위한 책임 의무사항 제공과 함께 재난예방, 재난대비, 재난대응, 재난복구를 위한 재난관리체계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사회 안전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의 극대화를 위하여 운영연속성관리, 위기관리체제 구축 및 위기관리통합체제 구축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기술하고 조직 내에서 운영연속성관리를 이해하고 발전시켜 실행하기 위한 기틀을 제공하고자 운영연속성관리 관점에서의 위기관리통합시스템 구축 방법을 제안하였다.

임대아파트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 및 데이터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cess and Data Models for the Maintenance of Rental Apartments)

  • 정영한;정재영;이재승;조봉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55-67
    • /
    • 2010
  • 본 논문은 임대아파트의 유지관리 프로세스 및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였다. TO-BE 모델은 프로세스, 취해질 활동, 어떤 정보가 활동 사이에서 어떻게 교류되어야 하는가 하는 방법을 표준화 하는데 기여하며 IDEF0 모델의 형태로 제시되었다. 데이터 모델은 TO-BE 모델에서 추출한 유지관리시스템 프로세스를 근간으로 DB 구축을 위한 ERD를 제시하였다. 유지관리 분야 연구 성과로서 임대아파트의 유지관리 업무에 대한 구조적이고 그에 대한 기준을 설명할 수 있는 프로세스 모델이 개발되었다. 또한 본 모델은 유지관리에 참여하는 조직 내에서 정책의 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TO-BE 모델은 수명 주기 동안 임대자산에 투자되는 자본을 유지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행되는 효과적인 전략과 절차(개념적 모델을 통한 데이터와 지식의 통합)와 별도로 유지관리 관행 전반에 관한 방법을 규정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스 모델을 근간으로 설계된 데이터 모델에 대한 활용을 보여준다.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An Analysis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Special Libraries)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7-271
    • /
    • 2017
  • 현재와 장래에 이용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를 유지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디지털 큐레이션은 전문도서관에서의 중요한 업무로 인지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정보 환경 하에서 전문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와 현재 전문도서관에서 수행되는 큐레이션 업무 수준 및 전문도서관 사서가 인지하는 큐레이션 업무의 중요도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를 대표할 수 있는 활동범주와 이에 해당되는 세부업무를 도출한 후, 이에 대한 전문도서관의 수행정도와 중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문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은 전반적으로 미흡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도 인식도 그다지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도서관 사서들이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장기적인 정책 및 업무절차를 수립하지 못하여 체계적인 디지털 큐레이션을 못하고 있으며, 셋째, 사서들은 여전히 도서관의 전통적인 업무 사이클인 정보조직-소장-이용을 중요시 여기고 이 업무들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큐레이션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개념으로 새로운 실무와 기술을 익혀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보존에 대한 중요도 인지와 이와 관련된 기술적 역량을 확장시키는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IDEF0를 이용한 콘크리트 내구성 진단 프로세스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crete Indurance Inspections Processes)

  • 이동운;이상범;임남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3-120
    • /
    • 2005
  • 콘크리트 내구성의 손상정도는 건물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내구성에 대한 다각적이고 효율적인 분석은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각 안전진단기관에 따라 얻어지는 조사 결과의 변동이 심하여 전반적인 재건축 안전진단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저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DEF0 (Integration DEFinition0)기법을 사용하여 진단 업무를 분석하여 관리시스템 구축시 필요한 정보를 업무순서에 따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보 교환시스템을 작성한다. 제안된 정보 분류는 효율적인 정보 공유를 위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며 결과적으로 안전진단의 신뢰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 된다.

B2B 협업상태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한 BSI(Business Service Interfac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SI(Business Service Interface) for Resolving Inconsistency of Collaboration Status in B2B)

  • 이영곤;윤현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15-418
    • /
    • 2004
  •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국제표준인 ebXML 은 ebBPSS(ebXML Business Process Specification Schema)와 CPA(Collaboration Protocol Profile)에 기반하여 거래 당사자들이 협업 형태의 업무 처리 절차에 따라 문서 및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거래 당사자들의 내부 업무처리 시스템에 연동되어 B2B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을 BSI(Business Service Interface)라 하며, 이는 트랜잭션 관리, 업무 프로세스의 코레오그래피(Choreography), 문서 관리, 보안 관리 등 협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기업간 협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어떤 상황에서도 양쪽의 협업상태 정보는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거래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사항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ebXML 프로토콜에 따라 거래행위시 협업상태 정보가 양측 거래파트너에서 각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을 살펴 보고 이에 따른 BSI 시스템의 대처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중소기업을 위한 웹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b Based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 서창갑;박영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53-162
    • /
    • 2009
  • 오늘날 경영환경은 기술혁신 등으로 인해 경쟁 압력이 커져 가는 불확실성의 환경하에 놓여 있다. 회사 내부에 수많은 정보들이 다양한 채널로 통해 입수되고 변경되기 때문에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렵고, 정보의 유지보수 관리에 어려움이 많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기업환경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기업의 업무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중심으로, 기업의 정보시스템은 BPMS(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중심으로 구축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BPMS 솔루션들은 대부분 대기업 위주여서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이러한 BPMS를 도입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고 실행, 통제, 분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웹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해당 업무를 자동으로 알려주고 업무별 흐름에 따른 양식과 설명서를 제공한다. 중소기업의 BPM 툴로서 사용할 수 있게 경량화하여 구현하였다.

프라이버시 참조 구조 국제표준화 동향

  • 신용녀;김학일;전명근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2-57
    • /
    • 2012
  • 프라이버시 참조구조(privacy reference architecture)는 구현 및 배치 상황을 바탕으로 해야 하며,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구조 설치는 프라이버시 인지 및 가능 ICT 시스템을 배치할 구조와 조화를 이루어 운영되며 정책을 반영하는 업무 관리 기능, 프로세스 및 절차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업무 및 데이터 처리 모델 또는 인벤토리의 공식적인 구축 및 유지는 해당 조직에 적용되는 모든 프라이버시 및 정보 보호 요건에 부합해야 한다. 업무 프로세스 모델이 구축되고 데이터 처리 모델과의 비교가 완료되면 동의 취득 기능, 개인식별정보 범주화 및 태깅 기능, 감사 및 기록 절차, 보존 일정, 고지 및 보안 경보와 같은 프라이버시 통제수단을 정하고 필수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요건과 비교할 수 있다. ISO/IEC JTC1 SC27 WG5의 프라이버시 표준화는 프라이버시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 기반 구현을 위한 프라이버시 레퍼런스 아키텍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라이버시 표준화를 위한 국외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추진해야할 중점 표준화 항목을 도출한다.

설계 DATA 의 통합을 위한 EDB 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DB System Structure for Integration of Design Data)

  • 김철호;임종균;정운영;김우승
    • 산업공학
    • /
    • 제7권3호
    • /
    • pp.137-145
    • /
    • 1994
  • 현재까지의 EDB 시스템이 Data를 중심으로 한 관리나 프로세스 관리 같은 것들을 프로그램으로는 Hard Coding되어 있었던 관계로 인하여 단위업무의 성력화 또는 순수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는 효율성을 가졌으나, 기업의 무한경쟁시대에 생존 수간으로서 행해지고 있는 BPR(Business Process Restructure) 또는 CE(Concurrent Engineering)에 대응 할 수 있는 유연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따라서 프로세스나 데이터에 관련된 규칙 또는 데이터가 있는 위치등과 같은 프로세스 및 데이터의 속성에 대한 정보를 Meta Database에 저장하여 보다 유연성이 있고 일관성 있게 데이터를 취급해 줄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이러한 Meta Database를 사용자 시각에서 바라보면 프로세스가 변화 된다하더라도 일관된 실제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EDB의 단위 Application을 사용하면 새로 정의된 프로세스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를 Release하고 시방변경, 삭제, 의뢰 등을 처리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EDB 시스템들의 개발이 전체의 개발 프로세스 중에서 일부만을 부분부문으로 개발하고 통합 할 뿐 실제 일관된 데이터의 유지나 공유가 매우 힘들었던 것을 부분적인 형태로 시스템이 구축된다하더라도 Meta Database를 통하여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다양한 PART 시스템간의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EDB 시스템구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PDF

국방시설에 적합한 선진 유지관리예산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pplication of Advanced Maintenance and RePairBudgeting Model for Domestic Military Facilities)

  • 박찬식;홍성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23-131
    • /
    • 2002
  • 공공 시설물별 특성을 반영하기 힘든 Incremental Budgeting 모델에 근거한 유지관리예산의 산정 및 배정은 유지관리 요구와 투자예산간의 관련성을 더욱 격리시켜, 시설물의 조기 노후화를 발생시키고 있다. Incremental Budgeting 모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일부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 모델의 테두리에서 이루어져 근본적인 처방이라 보기 힘들다. 공공 시설물 유지관리예산모델의 해결방안은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50\%$ 이상이 80년대 이전에 축조되었으며, 최근 대형화$\cdot$현대화되는 추세인 국방시설을 대상으로 문헌연구와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해 적합한 유지관리예산모델을 선정하고, 이에 따른 현행 업무프로세스를 개선하였다.

공공기관 표준업무관리시스템(e-DURE) 구현을 위한 시스템간 정보교환 및 동기화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echanism of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Synchronization for e-DURE System)

  • 강은숙;이장수;김동혁;심장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6-50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에서 개발하여 구축한 e-DURE시스템(정보통신부 산하/유관기관용 표준업무관리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시 반영된 정보교환 및 동기화 방안을 연구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정부와 산하기관의 구조와 업무처리방식을 반영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축적되는 데이터의 실시간 공유를 위해 Web Services와 SO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를 교환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효성 검증 모듈을 설계/개발하였으며, 패키지 및 ASP시스템에서 포털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오류를 찾아내어 필터링하고 동기화해 주는 방안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관간 공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유통되었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이 유지되어 업무 프로세스의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