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지관리 시나리오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nvestigations of Vulnerable Members and Collapse Risk for System Support Based on Damage Scenarios (손상시나리오 기반 시스템 동바리 취약부재 도출 및 붕괴 위험성 분석)

  • Park, Sae In;Park, Ju-Hyun;An, Hyojoon;Lee, Jong-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1
    • /
    • pp.33-40
    • /
    • 2021
  • In recent years, many construction projects become large and complicated, and construction accidents also steadily increase, which grows interest in the safety and maintenance during construction. Many of the construction accidents are related to temporary construction and structures, but the safety evaluation and management during construction are unclear and indefinite due to the short operating period and continuous change in the forma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The system support, which is one of the temporary structures to support the pouring load of concrete, was proposed to easily install and dismantle members with connection parts pre-manufactured. The use of the system support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temporary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However, the system support, which consists of multiple members, still has uncertainties in connectivity between members and supports of vertical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load, and accident cases of the system support to define the damage scenarios for member connection, support condition, and lateral displacement. The decrease rate of the critical load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amage scenarios based on the defined unit structure of the system suppor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vulnerable members for each damage scenario, which could induce instability of the temporary structures during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tructure.

Damage-Spread Analysis of Heterogeneous Damage with Crack Degradation Model of Deck in RC Slab Bridges (RC 슬래브교의 바닥판 균열 열화모델에 따른 이종손상 확산 분석)

  • Jung, Hyun-Jin;An, Hyo-Joon;Kim, Jae-Hwan;Part, Ki-Tae;Lee, Jong-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6 no.6
    • /
    • pp.93-101
    • /
    • 2022
  • RC Slab bridges in Korea account for more than 70% of the total bridges for more than 20 years of service. As the number of aging structures increases, the importance of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of structures increases. For highway bridges, cracks are a main cause of deck deterioration, which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decrease in bridge durability and service life. In addition, the damage rate of expansion joints and bearings accounts for approximately 73% higher than that of major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damage scenarios combined with devices damages and deck deterioration. The stress distribution and maximum stress on the deck were then evaluated using design vehicle load and daily temperature gradient for single and combined damage scenarios. Furthermore, this study performed damage-spread analysis and predicted condition ratings according to a deck deterioration model generated from the inspection and diagnosis history data of cracks. The heterogeneous damages combined with the member damages of expansion joints and bearings increased the rate of crack area and damage spread, which accelerated the time to reach the condition rating of C. Therefore, damage to bridge members requires proper and prompt repair and replacement, and otherwise it can cause the damage to bridge deck and the spread of the damage.

Derivation of BIM/GIS Platform Application Scenarios and Definition of Specific Functions in Construction Planning and Design (건설 기획 및 설계 단계 BIM/GIS 통합 플랫폼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 도출 및 상세기능 정의)

  • Youn, Junhee;Kang, Tae-Wook;Choi, Hyun-Sang;Kim, Changy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2
    • /
    • pp.7340-7349
    • /
    • 2014
  •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re applied widely to all stages (Planning - Design - Building - Maintenance) of construction. Recently, research for designing an integrated BIM/GIS platform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synergy effects. This paper reports the derivation of BIM/GIS platform application scenarios and definition of specific functions in construction planning and design phases. First, BIM/GIS application scenarios and platform functions are derived for each phase based on an analysis of business affairs. Second, SW functions, which compose platform function, are defined. In the construction planning phase, location selection and route location business affairs were analyzed. Preliminary design and detailed design business affairs were analyzed in the construction design phas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BIM/GIS integrated platform design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Hydrological Safety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Effects Factors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한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park, Jiyeon;Jung, ilwon;Kim, Mina;Kwon,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0-460
    • /
    • 2018
  • 댐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벌(이하 시특법)"에 따른 댐시설물의 정밀안전진단의 안전성평가 중 가장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댐 시설물을 평가 수행 시 주요한 평가 항목이다. 기존의 수문학적 안전성평가는 가능최대강수량 발생 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에 대한 평가 여부만 판단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는 장기적 관점의 추가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 가능최대강수량으로 event적 평가를 수행하는 수문학적 안전성 평가에서 기존평가항목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장기적 관점의 추가적인 기후영향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함께 적용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자한다. 장기적 관점의 기후영향인자라 함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결과에서 30년동안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상 댐의 운영에 부담을 야기할 것으로 판단되는 인자를 말하는 것이며,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일자료를 활용하여 기후인자의 장기적 변동성을 추정하고자 하며, 이때 활용한 지표로는 월최대강수량, 연강우강도 및 댐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소기온을 사용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월최대 강수량값을 산출하였고, 1년 동안 발생한 강우의 일수 및 강수량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연강우강도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댐의 월류 및 여유고 확보여부 평가 시 댐 상태에 대하여 고려하기 때문에 댐의 외부상태에 영향을 주는 최소기온을 활용하여 댐별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2011~2040년(S1), 2041년~2070년(S2), 2071년~2100년(S3)기간으로 나누어 장기간 기후에 대한 영향 평가를 수행하여 1종 댐 시설물의 기후영향인자 값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후영향인자를 기존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항목과 함께 평가 될 수 있도록 AHP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각 인자에 대한 가중치를 재산출하였고, 기후영향인자를 고려하는 수문학적 안전성평가 체계를 구축하였다.

  • PDF

Water Resources Management based on K-WEAPq (K-WEAPq를 통한 유역관리)

  • Choi, Si-Jung;Seo, Jae-Seung;Moon, Jang-Won;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82-1986
    • /
    • 2007
  •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수량뿐만 아니라 수질에 대한 분석이 동반되어야 한다. 최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으로서 K-WEAPq(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linked Qual2K)는 기존의 K-WEAP 모형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하천수질모의를 하기 위해 Qual2K 모형을 연계시킨 모형으로써 유역관리를 위한 수량-수질 연계모의가 가능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K-WEAPq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물수지 및 수질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낙동강 권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월별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중권역별 배출부하량을 산출하여 Qual2K와의 연계시스템을 통해 하천수질모의를 수행하였다. 낙동강뿐만 아니라 11개의 지류들에 대한 수질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오염총량제와 같은 여러가지 정책에 대한 수질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강권역의 지류 하천에 대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USN Based Integrated Open Server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USN 기반 개방형 방재관리 통합시스템 개발)

  • Lee, Jeong-Kyoon;Lee, K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929-932
    • /
    • 2007
  • The integrated preven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collected prevention of disaster data from prevention of disaster relation other systems and smart sensor in USN. This system manages fire fighting facility effectively. The relation equipment which is used in existing and network using "Open Protocols" about under using the support system which is integrated effectively as the destroyer. It connects CCTV, the sensitivity environmental sensor,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nd security equipment and air flow equipment system using Internet. The System Server was collected monitoring data at the each equipment and processing by operational scenario. It will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operational scenario and integrated preven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 PDF

A Study on the Status of Energy Usage and Maintenance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n School Facilities (학교시설의 에너지사용 및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유지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 Kim, Sung-Joong;Lee, Seung-Mi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1 no.2
    • /
    • pp.25-35
    • /
    • 2022
  • With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to Cope with Climate Crisis," various sector-specific plans are being implement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School facilities are mandatory buildings for the "Zero 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and are the buildings that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public institution buildings. Therefore, they play a major role in achieving carbon neutrality in the construction sector. This study analyzed the recent energy use trends and zero energy levels in varied ways to promote the spread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operation management and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and user opinions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applied to school facilities.

Development of a Effective Water Supply Networks Management Technique Fault Tree Analysis (결함수 분석기법을 이용한 효율적 상수관망 유지관리 기법의 개발)

  • Park, Su wan;Kim, Ki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86-186
    • /
    • 2016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결함수 분석기법(Fault Tree Analysis, FTA)은 주로, 설계 또는 운전단계에 있는 공정 위험성 평가 시 사고의 발생빈도와 예상사고 시나리오를 추정하는데 적용되어왔다. 따라서 일반적인 결함수 분석에서 정상 사상은 시스템 자체의 사용불능을 야기하는 가장 큰 원인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수도의 유지관리를 위해 FTA를 적용한 경우 정상 사상은 일반적인 FTA에서의 정상 사상과는 다르게 정의되어야 한다. 즉, 용수공급의 경우 관망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정상 사상이란 수원지의 오염이나, 수원지에서 직접적으로 나오는 관로에 문제가 생겼다거나 하는 사건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방식의 정상 사건 정의는 관망의 관로 및 절점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분석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망의 특정 지점에 용수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를 FTA의 정상사상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개개의 관로 노후도 평가 점수와 FTA를 이용하여 관망의 특정 절점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들의 노후도 평가 평균 점수를 산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에서는 평균 노후도 평가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서, 특정 절점 값을 입력 받고 각 파이프와 그로 인해 생기는 고립구간(세그먼트 + 비의도적 고립구간) 에 포함되는 절점들의 관계를 나타낸 자료를 이용하여 파이프에 문제가 생길 시 단수되는 절점을 역으로 검색해서 각 파이프의 노후도 평가 점수를 산술평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지점에 용수 공급이 원활하지 못 한 정상사상에 대하여 관로의 수리 또는 교체를 해야 하는 구간을 찾아 노후도 평가 점수를 산정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특정 절점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지나가는 관로들에 대해서 평균 점수를 구함으로써, 절점에 용수가 원활히 공급 될 가능성을 산정하여 FTA와 관로 노후도 평가 점수를 이용하고 특정 절점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지나가는 관로들에 대해서 평균 점수를 산정하였다. 절점에서 용수를 공급하는 중요도에 따라 절점으로 이어지는 관로의 평균 노후도를 일정 점수 이하로 유지시키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관로의 유지관리 필요성에 대해 지표로써 사용할 수 있다.

  • PDF

Intelligent Schedule Management Agent with Mixed Initiative Conversation and Context-awareness (상호주도형 대화와 상황인식을 통한 지능형 일정관리 에이전트)

  • Lim, Sung-Soo;Hong, Jin-Hyuk;Song, In-Jee;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83-87
    • /
    • 2006
  • 업무 능률을 높이기 위해 일정의 입력이나 변경 및 삭제를 체계적인 관리하는 일정관리 에이전트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사용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며, 사용자에게 적절한 일정을 추천하거나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함께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주도형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능동적으로 추론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를 제공하며, 상황인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일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일정관리 에이전트를 제안한다. 대화의 문맥 유지와 상호주도적 문제해결을 위한 반응형 스크립트를 설계하고, 동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로 일정과 관련된 사용자의 상태를 추론한다. 사용자에게 적절한 일정시간이나 장소를 추천하기 위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상식 DB인 ConceptNet을 도입하여 지능적인 일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종 시나리오를 통해 제안하는 에이전트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n Bias Correction Method of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 편의보정 기법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 분석)

  • Kum, Donghyuk;Jung, Young Hun;Yang, Jae E;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38-438
    • /
    • 2015
  •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다양한 자연조건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 연산능력 등의 제한으로 매우 높은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으며, 국내의 다양한 연구에서도 제시되어 있듯이 매우 과소 추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편의보정 기법을 통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편의보정 기법은 적용 방법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보정에 따른 강우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보정 기법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을 갑천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Change Factor(CF)와 Quantile Mapping(QM) 그리고 CF와 QM을 연계한 편의보정기법(CQ)에 따른 강우-유출 특성을 갑천유역을 대상으로 Change Factor(CF)에서 연평균(CF_Y)/월평균(CF_M) 교정계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Quantile Mapping(QM)을 총 편의보정기간(QM_E)과 우기와 비우기(QM_P)를 구분하여 누적확률분포를 고려하는 방법, 그리고 CF와 QM을 연계한 편의보정기법(CQ) 총 5가지에 대해서 편의보정을 수행하고 유출특성을 SWAT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과거 기간에 대해 CF_M과 QM_P는 첨두유량이 실측 첨두유량에 비해 2배 이상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QM_P는 최대 강우 발생 월이 다른 편의보정 기법과는 다르게 나타나 월별 유출 분석시 큰 오류가 발생될 것으로 판단된다. 5가지의 편의보정 기법 중에 CQ가 과거 강수 크기, 발생 분포 및 빈도 재현을 가장 잘 반영하며, 미래기간에 대한 기간별(2030s, 2050s, 2070s, 2090s) 평균유량을 비교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SRES A1B 시나리오의 이산화탄소 배출 시나리오의 특성을 유지한 미래 강우-유출해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편의보정 기법 적용으로 자연적인 현상을 정확하게 모의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불확실성 역시 매우 크지만, 과거 강수발생 경향이나 편의보정의 특성을 알고 활용목적에 맞는 편의보정을 수행한다면 수자원 관리 계획 수립 등에 큰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