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증기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도장부스의 발화에 관한 연구

  • Guk, Jung-Gyun;O, Eun-Cheol;Heo, Seong-Gu;Park, Yeong-Geun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147-171
    • /
    • 2010
  • 도장작업은 기계 기구, 금속, 자동차, 전기 전자, 선박, 가구제조업 등 각종 사업장에서 많이 취급되고 있는 작업으로서 취급물질이 대부분 합성수지 유기용매 등 인화성 또는 가연성 액체이거나 가연성 분체로서 용매 또는 분진으로 인한 폭발 화재의 위험성이 아주 높은 실정이다. 보통 4류 위험물의 유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라는 생각으로 발생된 모든 유증기는 위험물 인근에 체류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만 상온에서 증발한 유증기 대부분은 인근의 대기와의 밀도차에 의해 주변으로 흩어지거나 연소하고 중량(重量)의 유증기만이 남아 화재조사에서 중요한 단서로 역할을 한다. 대부분분의 페인트 제품이 가열과 동시에 끊기 시작해서 비등점 측정이 어려웠고 발화점이 비슷한 다른 페인트에 비해 중량(重量)유증기 발생이 단시간 동안 낮은 온도에서 많이 발생한 것은 페인트의 안료가 유증기 발생을 방해해서 시너의 유증기 발생량과 동일한 양의 페인트 유증기 발생시간이 더 걸린 것 같다. 대부분의 유증기는 집진시설을 통해 A/C타워의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하지만 슬러지에 남아있는 희석제는 A/C타워를 정지하고 집진시설등의 배관에 있는 슬러지 청소 과정에서 주위 열원에 의해 많은 유증기를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존재함으로 작업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liquefaction equip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증기 액화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Park, Man-Kyu;Tack, Han-Ho;Kim, Gwan-H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3
    • /
    • pp.583-589
    • /
    • 2016
  •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re regarded as a harmful cause substance not only causing air pollutions but also causing global warming phenomenon. For this reason, VOCs are managed politically to reduce emissions by each country. In particular, the vapor from the gas station contains VOCs which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carcinogens benzene and pollute the atmospher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fined every gas station must install vapor recovery equipment to recov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cently, there are many accidents caused by existing vapor treatment methods, the liquefaction recovery technology is getting the spotlight to cool the vapor at the field. However, because the liquefaction recovery technology have risks of fire or explosion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the real time monitoring is critical factor. In this paper, we implement an Android-based monitoring application for liquified vapor recovery device which attached sensor module for temperature and power to monitoring real time information.

Evaluation of trends for sulfidizing corrosion in VOC treatment system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설비 내 황산화 현상에 따른 부식경향성 평가)

  • Park, Jae-Cheol;Choe, Yu-Yeol;Pyeon, Ga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37-37
    • /
    • 2014
  • 유증기 처리 설비에서 발생하는 황화합물의 황산화 현상에 따른 부식손상은 설비의 안전운영 및 유지보수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증기 가스 및 설비공정 상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채취하여 각각의 성상을 분석하고 부식을 일으킬 수 있는 황산화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발생 유증기의 액화에 따른 침출수의 배관부식 영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배관용 강관재료에 대한 무게감량시험 및 전기화학시험을 통해 침출수 pH 조건에 따른 부식경향성을 평가함으로써 유증기 처리설비의 부식방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Spontaneous Combustion Risk of M.E.K (M.E.K(경화제)의 자연발화 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Jung-Hyun;Yoo, Yong-Ho;Kweon, Oh-Sang;Yoo, Myong-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70-4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에폭시 강화촉진제, 도로용 첨가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경화제(M.E.K)의 혼합비에 따른 자연발화 위험성을 알아보고 산업 현장의 화재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M.E.K와 에포비아 수지를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한 상태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시료의 온도변화 와 유증기 발생 및 자연발화 여부를 관찰한 결과 합성수지와 경화제의 혼합시 경화제가 5%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혼합 수지의 내부온도가 약 $40^{\circ}C$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발포 현상과 함께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하였고, 유증기가 발생된 모든 조건에 대하여 자연발화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Remote Refrigeratio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냉동 공조 제어시스템)

  • Park, Jin-Su;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113-114
    • /
    • 2013
  • 일반적인 소규모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배출시설인 주유소, 세탁소, 도장시설 등의 환경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휘발유 유증기, 세탁용제(솔벤트유) 증기 등을 포집하여 포집된 유증기를 다시 액화처리 과정을 통하여 휘발유, 솔벤트로 재생산하는 기존의 PLC(Programable Logic Control) 방식의 처리과정을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스마트한 VOCs 액화장치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기존의 주유소 휘발유증기액화장치는 타이머와 릴레이 등을 조합하여 냉동 공조 장치로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전기제어로 동작하여 관리자가 항시 주의를 요하며 전력소비가 심해 생산량에 비해 손해가 발생하게 되며,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생산량과 현 상황을 확인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항상 관리자가 직접 수기로 기록하게 되어 많은 불편사항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을 대부분 유지하고 자동화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Assessment of Alternative Safety Devices Replacing Liquid Seal in Ship Vapor Recovery Unit (선박 유증기 회수설비의 Liquid Seal 대체 안전설비 안전성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 Park, Beom-Jin;Kang, Hee-Jin;Choi, Jin;Lee, D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0a
    • /
    • pp.114-116
    • /
    • 2011
  • By 33 CFR 154.828 regulation, a liquid seal must be installed on the inlet to vapor destruction unit in vapor control system. However, install and maintenance of liquid seal are subject to many problems in ship environment. Therefore, US Coastguard, which is the governing body of the regulation, have prepared another clause in the regulation for the exemption from previous clauses. In this paper, relevent regulation is reviewed, together with the requirements for exemption from liquid seal installation. A previous example case is also studied to propose how safety assessment for the alternative safety devices replacing liquid seal should be performed.

  • PDF

Analysis of Cause of Fire and Explosion in Internal Floating Roof Tank: Focusing on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at the OO Oil Pipeline Corporation (내부 부상형 저장탱크(IFRT) 화재·폭발사고 원인 분석: OO송유관공사 저유소 화재·폭발사건을 중심으로)

  • Koo, Chae-Chil;Choi, Jae-Wo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2
    • /
    • pp.86-93
    • /
    • 2020
  • This study aims to maintain the safety of an outdoor storage tank through the fundamental case analysis of explosion and fire accidents in the storage tank. We consider an accident caused by the explosion of fire inside the tank, as a result of the gradual spreading of the residual fire generated by wind lamps flying off a workplace in the storage tank yar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accident, atmospheric diffusion conditions were derived through CCTV image analysis, and the wind direction was analyze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dditionally, the amount of oil vapor inside the tank when the floating roof was at the lowest position, and the behavior of the vapor inside the tank when the floating roof was at the highest position were investigated. If the cause of the explosion in the storage tank is identified and the level of the storage tank is maintained below the internal floating roof, dangerous liquid fills the storage tank, and the vapor in the space may stagnate on the internal floating roof. We intend to improve the operation procedure such that the level of the storage tank is not under the Pontoon support, as well as provide measures to prevent flames from entering the storage tank by installing a flame arrester in the open vent of the t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