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자과발현

Search Result 1,80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xpression of Fra1 and Fra2 Genes are regulated by Estrogen in the Mouse Uterus (생쥐자궁에서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되는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양상)

  • Lee, Ji-Yoon;Hong, Seok-Ho;Nah, Hee-Young;Kim, Sung-Hoon;Chae, Hee-Dong;Kim, Chung-Hoon;Kang, Byung-Moon;Kim, Moon-Ky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0 no.4
    • /
    • pp.309-316
    • /
    • 2003
  • 연구목적: 스테로이드 계통의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막 수용체와 결합하고 DNA에 부착되어, 자궁조직에서 발현되는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를 제거한 생쥐 모델을 이용하여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되는 전사 관련 유전자(transcription factor)들을 동정하고, early up-regulation gene으로 확인된 Fos related antigen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RT-PCR과 면역염색방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재료 및 방법: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생쥐에 에스트로겐을 피하주사하고 2, 4, 6, 12시간 간격으로 자궁조직을 적출하였다. 대조군으로는 sesame oil만을 주사한 후 2시간째에 수획한 자궁조직을 사용하였으며, 시간대별로 채취한 자궁조직(n=4)에서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을 통해 early response gene으로 확인된 Fra1과 Fra2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estrogen receptor antagonist인 ICI 182, 780을 주사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궁조직내에서의 단백질 발현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결 과: 생쥐 자궁조직에서 에스트로겐에 의해 발현 양상의 변화가 확인된 유전자는 early up-regulation genes (CREB2, Fra-1, 2, GATA5), late up-regulation gene (E2F1), no response genes (CREB1, ATF1, GLI3, E2F3), down-regulation genes (GLI2, E2F5, GATA-2, 3, 6)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 early up-regulation genes에 해당하는 Fra1과 Fra2 유전자는 ICI 182, 780에 의해 그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p < 0.01). 이들 단백질은 생쥐 자궁조직의 상피세포층, 기질층, 근육층에서 고루 발현되었으며, 특히 근육층에서 강한 염색정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Fra1과 Fra2 유전자의 발현은 에스트로겐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강한 발현이 자궁조직의 근육층에서 관찰되어 이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RAW Cells Treated with Carthami Flos Herbal Acupuncture Solution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RAW Cell 유전자발현(遺傳子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

  • Kang, Seung-Beom;Kim, Jong-In;Kim, Yong-Seok;Kang, Sung-Keel;Koh, Hyung-Kyu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5 no.1
    • /
    • pp.139-154
    • /
    • 2008
  • 목적 : 홍화(紅花)는 활혈거어(活血祛瘀), 해독지통(解毒止痛)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동맥경화(動脈硬化), 종양(腫瘍), 월경부조(月經不調), 뇌혈전(腦血栓)에 사용되어 왔다. 이에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의 분자생물학적 효능 분석을 하고자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을 유발한 RAW 264.7 cell의 유전자(遺傳子)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을 Microarray를 통하여 관찰하였다. 방법 : RAW cell을 배양하고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후 (1) LPS, (2)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 (3)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과 LPS를 처치했을 때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microarray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발현의 차이가 있는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과 : 8,170개의 유전자 중 (1) LPS를 처치하였을 경우 35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었고, (2)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을 처치하였을 경우 11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고 53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3)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과 LPS를 동시에 처치하였을 경우에는 47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상승되었고 11개의 유전자에서 발현이 억제되었다. LPS 자극으로 발현이 상승되었지만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을 처치할 때 발현이 억제되는 유전자는 SUMO1/sentrin specific protease 7(SENP7), Serine(or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lade B(ovalbumin), member 7(SERPINB7), M-phase phosphoprotein, mpp8(HSMPP8), Glycogenin 2(GYG2), InaD-like(Drosophila)(INADL), Copine III(CPNE3), Loss of heterozygosity, 11, chromosomal region 2, gene A(LOH11CR2A), Chromosome 9 open reading frame 33(SHC3), NADH dehydrogenase(ubiquinone) 1 beta subcomplex, 2, 8kDa(NDUFB2)로 9개가 있었다. 요약 :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cell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Microarray를 통해 분석하였다.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LPS로 발현을 항진시킨 35개의 유전자 중 9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염증 치료 기전을 시사하는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홍화약침액(紅花藥鍼液)이 발현을 항진시킨 유전자들을 통해 혈관생성과 종양억제 등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gulation of LIF Gene Expression by Interleukin-1 in the Mouse Peri-implantation Embryos and Uterine Endometrial Cells (생쥐의 착상시기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IL-1에 의한 LIF 유전자 발현 조절)

  • Lee, Jung-Bok;Kim, Joung-Woul;Oh, Eun-Jeong;Yang, Hye-Young;Ryu, Hyoung-Eun;Lee, Ji-Youn;Gye, Myung-Chan;Yoon, Hyun-Soo;Kim, Moon-Ky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7 no.2
    • /
    • pp.183-190
    • /
    • 2000
  • 연구목적: 포유류의 착상은 배아가 모체의 자궁벽에 매몰되는 현상으로 부착과 침투 과정을 거쳐 진행되며, 이 과정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성장인자, 세포점착분자, 그리고 cytokine 등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Interleukin-1 (IL-1)과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등이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의 발현이 착상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착상 전후의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LIF 유전자의 발현양상과 $IL-1{\beta}$와 IL-1 receptor antagonist (IL-1ra)를 처리한 LIF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배아에서의 LIF 유전자 발현은 in vivo와 in vitro 모두에서 상실기와 포배기에 발현되었고, 자궁내막에서는 임신 1일과 4일째에 발현되었는데, 상실기보다는 포배기에, 그리고 임신 1일보다는 착상시기인 4일째의 자궁내막세포에서 발현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세포를 배양한 경우 LIF 유전자는 in vivo에서의 발현양상과 동일하게 임신 1일과 4일에 발현되었으며, 배양액에 $IL-1{\beta}$(500pgml)를 처리하였을 경우 LIF 유전자가 초기 임신 (1~5일) 중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세포기 배아의 배양시에 $IL-1{\beta}$를 처리한 경우 8-세포기부터 LIF 유전자가 발현되었으며, 또한 IL-1ea(60 ng/ml)를 배양액에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임신1일째 자궁내막에서는 LIF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은 반면, 임신 4일째의 자궁내막세포와 상실기, 포배기 배아 모두에서 LIF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착상 전후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IL-1에 의해 LIF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며, 그 결과 착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배아와 자궁내막세포에서 IL-1이 LIF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착상을 위해 IL-1과 LIF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Over-expression and Inactivation of Nuclear Factor I-C on the Dentin Matrix Gene Expression of MDPC-23 Odontoblasts (Nuclear Factor I-C 과발현과 발현억제가 MDPC-23 상아모세포주의 상아질 기질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Bae, Hyun-Sook;Cho, Young-Si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9 no.4
    • /
    • pp.427-433
    • /
    • 2009
  • Nuclear factor I-C (NFI-C) null mice demonstrated aberrant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abnormal dentin formation.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se changes,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dentin matrix gene after over-expression and inactivation of NFI-C in MDPC-23 cell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Collagen type I (Col I), osteocalcin (OC), and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expression was decreased after inactivation of NFI-C. However, bone sialoprotein (BSP) expression was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inactivation of NFI-C. ALP and DMP4 expression was not changed after inactivation of NFI-C. The expression of alkaline phoshatase (ALP) and dentin matrix protein 4 (DMP4) was increased after over-expression of NFI-C, while Col I, OC, DSPP, and BSP expression was decreas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dontoblasts after loss of NFI-C lost the phenotype of odontoblasts and acquired those of osteoblasts.

  • PDF

Searching for the regulated gene groups through temporal profiling of microarray expressions based on the latent variable learning model (은닉변수학습 모형에 기반한 시간적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절 유전자군의 탐색)

  • Yang Jin-San;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40-42
    • /
    • 2006
  •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의 조절작용은 유전자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기능적으로 연관된 유전자 군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단일 유전자보다는 복수의 유전자군의 발현패턴을 대상으로 하게 된다. 이 경우 발현패턴의 시간에 따른 다양하고 복잡한 특징들은 은닉변수학습 모형을 이용하므로서 보다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고, 유사한 기능을 가진 유전자 군을 탐색 하는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은닉변수학습 모형은 이스트 Cell Cycle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특정 조절유전자에 대하여 생물학적으로 연관된 유전자 군을 찾는 데에 다른 방법과 비교하여 효과적임을 보일 수 있었다.

  • PDF

Overexpressed HRD3 Protein Required for Excision Repair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is Toxic to the Host Cell (효모에서 절제회복에 관여하는 HRD3 유전자 과 발현이 숙주세포에 미치는 영향)

  • Choi In So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8 no.4
    • /
    • pp.287-294
    • /
    • 2003
  • 출아형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RAD3 유전자는 절제회복 및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DNA dependent ATPase와 DNA-RNA helicase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분열형 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절제회복과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출아형 효모 RADS유전자와 유사한 유전자를 S. pombe genomic DNA library에서 분리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리한 RADS 유사유전자를 HRD3 유전자라 명명하였다. 발현 vector pET3a를 이용하여 분리한 HRD3 유전자를 과 발현하였을 때 HRD3단백질은 숙주단백질의 합성 억제 또는 분해 촉진을 유발하여 숙주세포인 대장균에 독성 효과를 나타냄이 관찰되었다. HRD3유전자와 lacZ유전자를 융합시킨 여러 가지 재조합 vector를 만들어 이들 융합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 결과 HRD3단백질의 카르복실 말단 부위가 DNA회복기능과 대장균에서의 독성효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부위로 생각된다.

Positive Expression of EGFP Gene in Bovine Embryos after ICSI using Spermatozoa Co-cultured with Exogenous DNA (외래 유전자와 공배양한 정자를 이용해 난자내 직접 주입술한 후 EGFP의 발현)

  • 윤효진;이훈택;정길생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6 no.3
    • /
    • pp.205-214
    • /
    • 2002
  • There are many methods to introduce exogenous DNA into embryo to produce transgenic animals. Exogenous gene can be integrated into oocyte by sperm vector. In this study, sperm was used as a vector for a transgene, which is encoding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exogenous gene in bovine embryos after injection of spermatozoa cocultured with EGFP DNA fragment. Spermatozoa were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and thawed several times or shook in 0.2% Triton X-100 to remove sperm membrane followed by DTT treatment. The injected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vero cells in CR1aa, and expression of EGFP gene was observed under fluorescent microscope. Blastocyst formation rates of oocytes injected with sperm treated with DTT, DTT-freezing or DTT-Triton X-100 were 34.7, 39.4 and 31.9%, respectively. The rates of EGFP expression in oocytes injected with 54 ng DNA after DTT-treated, DTT-freezing and DTT-Triton X-100-treated sperm were 0, 19.1 and 13.9%. On the other hands, expression rate of oocytes injected with sperm cocultured with 13.5, 27 and 63.5 ng of EFGP DNA were 6.7, 9.0 and 5.1%, respectively. When intact sperm was mixed with 63.5 ng/${mu}ell$ EGFP DNA fragment, and then electroporated before injection, the expression rate of injected oocyte was 2%. Unexpectedly, electro-poration could not increase the expression 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rm can be used as a transgene vector, even if the efficiency was low (19.1%).

TFAP2C Promotes Cell Proliferation by Upregulating CDC20 and TRIB3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비소세포폐암 발달 과정에서 TFAP2C에 의해 발현되는 CDC20과 TRIB3의 원암유전자 기능에 관한 연구)

  • Kim, Dain;Do, Hyunhee;Kang, JiHoon;Youn, BuHyun;Kim, Wanye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6
    • /
    • pp.645-652
    • /
    • 2019
  •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as the infamous distinction of being the leading cause of global cancer-related death over the past decade, and novel molecular targets are urgently required to change this status. We previously conducted a microarray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activating enhancer-binding protein 2C (TFAP2C) with NSCLC and revealed its oncogenic roles in NSCLC development. In this study, to identify new biomarkers for NSCLC, we focused on several oncogenes from the microarray analysis that are transcriptionally regulated by TFAP2C. Here, the cell division cycle 20 (CDC20) and tribbles pseudokinase 3 (TRIB3) were subsequently found as potential potent oncogenes as they are positively regulated by TFAP2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CDC20 and TRIB3 were down-regulated in two NSCLC cell lines (NCI-H292 and NCI-H838), which were treated with TFAP2C siRNA, and that the overexpression of either CDC20 or TRIB3 was responsible for promoting cell viability in both NSCLC cell lines. In addition, apoptotic levels of NCI-H292 and NCI-H838 cells treated with TFAP2C siRNA were found to be suppressed by the overexpression of either CDC20 or TRIB3.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DC20 and TRIB3 are positively related to NSCLC tumorigenesis and that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potential prognostic markers for developing an NSCLC therapy.

Generation and Expression of Amino-Terminal Domain of the Gene Coding for the Lumazine Protein from Photobacterium phosphoreum (발광 박테리아 Photobacterium phosphoreum의 Lumazine Protein을 코드 하는 유전자의 염기 서열 분석 및 발현)

  • Woo Young-Eun;Kim So-Young;Lee Chan-Yong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1 no.4
    • /
    • pp.306-311
    • /
    • 2005
  • In this study, the amino-terminal half truncated lump and the whole lump genes from Photobacterium phosphoreum coding for the lumazine protein were clo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o identifiy of the binding site of the ligand or substrate, the amino acid identities from the sequences of the lumazine protein, yellow fluorescent protein, and riboflavin synthase from different organisms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Double Clustering of Gene Expression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Bottleneck Method (정보병목기법에 기반한 유전자 발현 데이터의 이중 클러스터링)

  • 김병희;황규백;장정호;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362-364
    • /
    • 2003
  • 기능 유전체학에서 클러스터링 기법은 고차원의 마이크로 어레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주된 도구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병목(information bottleneck)기법 기반의 이중 클러스터링에 의한, 유전자 발현 데이터의 계층적 병합방식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정보병목기법은, 두 랜덤변수의 결합확률분포가 주어진 경우 두 변수의 상호 정보량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한 변수를 압축하는 기법이며, 두 변수를 차례로 압축하는 것이 이중 클러스터링이다. 실제 마이크로 어레이 데이터인 NC160 데이터(암세포 내 유전자 발현 데이터)에 대한 실험에서, 먼저 유전자를 그 발현패턴에 따라 클러스터링 한 후 이를 이용하여 표본들을 클러스터링하고 그 성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상호 정보량과 유전자 및 표본 클러스터 수와 엔트로피 척도에 의한 성능을 검토해 본 결과, 표본이 추출 조직에 따라 구분 가능할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적절한 클러스터의 수를 결정할 수 있는 임계점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