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입각도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Lighting Energy Saving Method according to Uniformity Ratio by the Angle of Blind (블라인드의 각도별 균제도에 따른 조명에너지 절감방안)

  • Yu, Tae-Hwan;Im, Kyoung-Mi;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16-519
    • /
    • 2013
  • 최근 에너지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오피스 건물에 주광을 유입하여 조명에너지를 절감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직접적인 주광유입은 작업환경의 조도분포를 불균일하게 만들어 빛의 품질을 떨어 뜨리고 업무효율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논문은 창측에 주광을 조절할 수 있는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블라인드의 슬랫 각도(Open, $-60^{\circ}$, $-30^{\circ}$, $0^{\circ}$, $+30^{\circ}$, $+60^{\circ}$)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주광의 조도 및 균제도를 비교 분석하고, 작업환경의 조도분포가 가장 균일한 슬랫 각도로 블라인드를 제어한다. 이때 블라인드의 슬랫 각도별로 목표조도에 부합하기 위해 LED가 소모하는 누적 전력량을 산출한다. 슬랫 각도별로 산출된 균제도, 전력량을 기준으로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성능이 우수한 슬랫 각도를 확인한다.

Application of CCHE2D Model for Analysis of Tributary Confluence (지류 합류부 해석을 위한 CCHE2D 모형의 적용)

  • Kim, Sang Ho;Cho, Ah Ra;Hwang, Shin Bum;Min, Sang Ki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0-210
    • /
    • 2011
  • 자연 상태의 하천은 대부분 다수의 지류가 본류로 유입되는 복잡한 하천형태를 보이고 있다. 두 개의 수로가 합쳐지는 합류부에서의 수리특성은 홍수 시 제방붕괴나 범람 등의 피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가 급격히 변하거나, 지류의 접근 각도에 따른 유속차이로 인해 생기는 합류부 정체구간의 특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와 지류의 유입각도에 따라 발생하는 합류부의 흐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수위, 유속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류의 유입량은 본류의 10%, 20%, 30%, 40%, 50%로 변화를 주었으며, 지류의 합류 각도를 $45^{\circ}$, $90^{\circ}$, $135^{\circ}$로 변화를 주었다. 이와 같은 합류부에서 발생 가능한 수리특성의 분석 결과는 집중호우로 인한 하천의 재해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같은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상하도로 이루어진 합류부에 대해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을 적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유입각도와 유량비에 따라 발생 가능한 본류와 지류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PIV를 이용한 액체 램재트 엔진 연소실의 유동 계측

  • 양근수;조동우;김규남;손창현;이충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5-15
    • /
    • 2000
  • 두 개의 사각형 유입구가 $90^{\cire}$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액체 램제트 엔진의 연소실 형상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수조를 이용한 연소실 유동 계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기 유입구의 연소실 유입 각도는 $30^{\cire}$, $45^{\cire}$$60^{\cire}$인 세 가지 형상의 연소실 모형을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유입 각도에 대하여 연소실 재순환 영역의 크기를 5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모형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연소실의 배면은 돔의 형태로 하여 재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유입구에서 연소실로 들어가는 유동의 안정화를 위해 안내깃을 세 개 설치하여 실험하였다.(중략)

  • PDF

Numerical Analysi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High-Pressure Injection Nozzle for Machine Tools (공작기계용 HP Holder 분사노즐 유동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 Yi, Chung-Seob;Yun, Ji-Hun;Jeong, In-Guk;Song, Chul-Ki;Suh, Jeong-S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10
    • /
    • pp.1061-1066
    • /
    • 2011
  •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n injection nozzle installed in a high-pressure holder for improving productivity were determined. The inlet velocity, nozzle inflow angle, and nozzle outlet diameter were selected as design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se factors. As the inlet velocity is high and the nozzle outlet diameter is small, the pressure and velocity of the injected flow are high. In the case of the nozzle inflow angle, the vari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gle was slight, but the highest pressure and velocity were found at $15^{\circ}$.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chip elimination by the injected flow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numerical results.

A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Axis Tidal Turbine Considering Nose Shape, Angle of Inflow and Tower Structure (수평축 조류발전 터빈의 노즈 형상 및 유입각도, 타워 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터빈 성능특성 분석)

  • Heo, Man-Woong;Kim, Dong-Hwan;Yi, Jin-Ha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1
    • /
    • pp.17-25
    • /
    • 2020
  • In this study, three-dimensional fluid flow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horizontal axis tidal turbine (HATT) by solving three-dimensional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utilizing the shear-stress-transport turbulence model. The computational domain for the flow analysis has been composed of hexahedral grids, and the grid dependency test has been carried out so as to determine the optimum grid siz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HATT have been investigat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hub nose geometry, inflow angle, and the tow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power output can be enhanced along with an increase of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diameter of the turbine nose, and the power of HATT has been reduced by approximately 10% when the primary fluid flow had an inflow angle of 15°. The power output of downstream HATT i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upstream HATT by about 1%.

Hydraulic Characteristics Analysis by Lateral Inflow (횡유입에 의한 수리 특성 분석)

  • Kim, Sung Hoon;Jo, Min Suk;Choi, H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71-1375
    • /
    • 2004
  • 하천은 대부분이 단일하천이 아닌 몇 개의 지류가 본류와 만나는 복잡한 하천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지류와 본류가 만나는 합류부는 단일하천내 통상의 단면에 비하여 수위, 유속등의 수리학적 특성이 복잡한 현상을 보이게 되려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합류 각도 등에 따라 합류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은 매우 민감하게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본류 및 지류에 의한 배수효과도 발생된다. 합류부의 배수효과는 합류점뿐만 아니라 합류점 상류의 본류와 지류의 수위 및 유속변화를 유발하여 홍수피해를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류부의 정확한 수리특성의 파악은 안정적인 하천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합류후 정체구간의 수리 특성분석과 그에 따른 통수능의 저하가 본류에 미치는 배수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Numerical Study for the Reacting Characteristics of Orimulsion Gasification (오리멀젼의 가스화 반응 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나혜령;이진욱;윤용승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2
    • /
    • pp.309-316
    • /
    • 1999
  • A numerical study for the turbulent reacting flow in an orimulsion gasifier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reaction by orimulsion droplets. In this study, our interest has been focused on the effect of oxidizer to orimulsion ratio, which is one of the key parameters of gasification operation, as well as on the distribution of chemical species. In addition, we have conducted numerical calculation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roplet size, spray angle and injection velocity of fuel so as to acquir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range of orimulsion gasifier. The result of numerical calculations showed that the gas composition of CO and H$_2$concentrations was the highest when the oxidizer to orimulsion ratio was about 0.88 and the reactivity of orimulsion increased as the droplet size reduced with proper spray angle. Also, we have carried out the analysis on the orimulsion gasification in the 100 ton/day-scale gasifier based upon the prior study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proper operating condition using orimulsion f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