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의값

검색결과 5,181건 처리시간 0.037초

옻 급여가 한우육의 해동후 냉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Rhus verniciflua Stokes on the Quality of Hanwoo (Korean Cattle) Beef during Cold Storage after Thawing)

  • 양성운;강선문;김용선;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6-202
    • /
    • 2005
  • 본 연구는 옻 급여가 한우육의 해동후 냉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2개월령 거세 한우를 4처리구로 3두씩 선정하였다. 도축 전 4개월 동안 옻나무 분말을 0(대조구), 2, 4 및 $6\%$씩 급여하였으며 우둔(M semmimembranous) 부위를 $-20^{\circ}C$에서 9개월 동안 저장하였다. 일반성분은 조지방 함량에서 옻 4 및 $6\%$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H는 저장 2일과 5일부터 옻 4 및 $6\%$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해동 감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드립 감량은 저장기간동안 옻 4 및 $6\%$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L^{\ast}$ 값은 저장기간동안 옻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p<0.05), $a^{\ast}$ 값은 옻 4및 $6\%$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b^{\ast}$ 값은 저장 0일에 대조구가 옻 $6\%$ 급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7일에는 옻 $4\%$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C^{\ast}$ 값은 저장기간동안 옻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p<0.05), $h^0$값은 옻 4 및 $h^0$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 2일에는 옻 4 및 $6\%$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p<0.05) 5일부터는 옻 $4\%$ 급여구가 다른 처리구들보라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MetMb 농도는 저장기간동안 옻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저장 7일에는 옻 $4\%$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R_{6.30}/R_{580}$ 값은 MetMb 농도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옻 급여로 인해 한우육의 해동후 냉장기간동안 pH, 드립 감량, 육색, TBARS, 표면육색소의 변화가 현저히 지연되어 품질이 향상되었으며 $4\%$ 급여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강황과 비트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Turmeric (Curcuma longa L.) and Beet (Beta vulgaris L.))

  • 조영;최미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81-4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황과 비트의 기능성을 살린 젤리를 실용화시키고 효과적인 배합비를 알아보기 위해 강황과 비트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해서 젤리를 제조한 후 pH, 산도, 당도, 색도, 투명도, 탁도, 물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젤리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강황 젤리는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와 당도가 유의적으로 높아지고(p<0.001), 산도는 낮아졌다(p< 0.001). 비트 젤리는 비트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유의적으로 낮아졌고(p<0.001), 산도와 당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색도는 강황 젤리의 경우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황색도(b)값과 적색도(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그리고 비트 젤리는 비트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과 황색도(b)값은 감소했고, 적색도(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투명도는 강황 젤리와 비트 젤리 모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탁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물성은 강황 젤리의 경우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탄력성은 낮아졌고, 부착성은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아주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검성도 강황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으며, 씹힘성은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낮아졌다. 또한 비트 젤리는 비트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도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부착성은 비트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01), 탄력성도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응집성은 낮아졌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검성은 비트 분말이 첨가되면서 낮아졌다. 씹힘성은 비트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01). 관능검사 결과는 강황 분말 첨가 젤리의 경우 색상은 T1(0.5%)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외관과 단맛도 T1(0.5%)가 가장 높았다(p<0.001). 씹힘성, 탄력성, 견고성, 투명도, 전반적인 수용도는 대조군이 모두 높았으나 그 다음으로는 T1(0.5%)가 높았다. 또한 비트 분말 첨가 젤리의 경우도 색상, 외관, 씹힘성, 탄력성은 B2(1%)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단맛은 대조군이 조금 높았으나,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견고성, 투명도는 대조군이 모두 높았으나 그 다음으로 B1(0.5%)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인 수용도는 B2(1%)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강황과 비트의 기능성을 살린 젤리를 실용화시키는 효과적인 배합비는 강황 분말의 경우 0.5%, 비트 분말은 1% 첨가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강황과 비트는 천연 색소와 기능성을 포함한 식품 소재로서 젤리에 강황과 비트 분말을 첨가 하는 것은 강황과 비트를 활용할 가치와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식빵의 굳기 측정을 위한 측정 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conditions for measuring the toughness of bread)

  • 신선화;최원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47-250
    • /
    • 2022
  • 노화 등으로 인한 식빵의 굳기(toughness) 정도를 측정하고자 Miller/Hoseney Toughness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측정조건(이동속도 및 침투율 변화)에서 절단력 최대값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식빵 겉껍질에서는 이동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절단력 최대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시료들 사이에서의 유의차는 일부 측정조건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식빵 내부에서의 측정값은 동일 침투율에서는 이동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의 시료에서 절단력 최대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시료들 사이에서의 유의차는 침투율에 상관없이 이동속도가 달라져도 변화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 방법으로 식빵 내부의 굳기를 측정할 경우 측정조건변화에 의해 절단력 최대값은 달라지나, 시료간 유의차는 변화하지 않아, 시료간 유의차를 판단하는 경우 본 실험 범위내에서 매우 편리하고 신뢰도가 높은 실험으로 사료된다.

급성 폐손상 소아 환자에서 조기 예후 인자로서의 antithrombin-III (Antithrombin-III as an early prognostic factor in children with acute lung injury)

  • 이영승;김성국;강은경;박준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5호
    • /
    • pp.443-448
    • /
    • 2007
  • 목 적 : 급성 폐손상이 있는 소아에서 혈액 응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III의 예후인자로서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대상 환자에서 진단 초기의 AT-III 값을 측정하고 사망여부에 따라 AT-III 값을 비교 분석하고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예후인자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4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18개월 동안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198명의 환자 중 급성 폐손상의 정의를 만족하고 기계적 환기요법을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인구의학적인 변수와 기저질환, 초기 안정화 이후의 호흡지수들, 기계적 환기요법의 여러 설정 등을 측정하였다. 중환자실 입원 24시간 이내의 PRISM-III 점수, LIS 점수를 측정하였고 입원 3시간 내의 AT-III 값을 측정하였다. 사망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한 후 예후인자를 비교분석하였고, PRISM-III 값과 AT-III 값에 대해서는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함께 시행하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사망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에 대해서 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상대위험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8개월 동안 198명이 입원하였고 21명의 환자가 진단기준을 만족하였다. 남자가 13명(61.9%)였고 연령은 5(1-14)세였다. 급성 폐손상이 발생한 장소가 병원이 아닌 경우가 33.3%였고 기저질환이 폐 병변인 경우가 66.7%였다. 대상 환자 중 AT-III 값이 70% 이하인 경우가 10명(42.9%)이였고 8명의 환자가 사망하여 사망률은 38.1%였다. 사망에 따른 두 군 간의 비교에서 초기 안정화 이후 동맥혈 pH와 $PaO_2/FiO_2$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고, OI와 호기말 양압은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폐 유순도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 LIS와 PRISM-III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 AT-III는 사망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낮았다. AT-III와 PRISM-III 값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회귀분석에서 PRISM-III, LIS, OI는 모두 다른 변수에 독립적으로 유의한 사망의 위험인자였으며 70% 미만으로 정의한 AT-III 감소는 급성 폐손상 환자에서 다른 변수에 독립적으로 사망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OR 2.725, 95% CI 1.284-4.119). 결 론 : 급성 폐손상으로 기계적 환기요법을 시행 받은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초기 AT-III 값은 PRISM-III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사망한 환자군에서 AT-III 값이 유의하게 더 낮았고 이것은 다른 위험인자의 영향을 보정한 상태에서도 독립적인 사망의 위험인자였다. 이로써 AT-III가 급성 폐손상의 유의한 조기 예후 예측인자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급성 폐손상/급성 호흡부전증후군 환자에서 응고장애를 정상화 할 수 있는 처치들이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계피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of Sponge Cakes Supplemented with Cinnamon)

  • 이수빈;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50-654
    • /
    • 2013
  • 계피분말의 첨가량을 0~4%로 달리하여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계피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의 pH, 수분함량, 비체적, 굽기 손실률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계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crust에서는 계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4% 첨가군이 최소값을 나타낸 반면 crumb의 $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4% 대조군이 8.59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케이크의 경도는 계피분말 첨가량에 따라 $0.17{\sim}0.42kg_f$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2% 첨가군까지 단계적인 유의적 증가경향을 보였으나(p<0.05), 이후 2~4% 첨가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맛, 향 및 부드러운 정도에서 대조군과 1%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p>0.05), 전체적인 기호도 또한 대조군과 1%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p>0.05), 관능품질을 저해하지 않고 계피분말의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최적첨가농도는 1%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데치기 시간에 따른 참취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 (Effect of blanching tim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Aster scaber)

  • 범서우;강귀훈;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1-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데치기 시간에 따른 참취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 하였다. 색도 $L^*$값에서는 3분 데치기 한 실험구를 제외한 다른 실험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a^*$값에서는 3분, 5분, 데치기한 실험구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b^*$값에서는 5분 데치기 처리한 실험구가 3분 데치기한 실험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에서 경도는 참취를 데치기 처리 2, 3분 한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데치기 1분부터 4분까지는 유의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가 5분 후에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참취의 색, 향, 외관에서는 2분 데치기 처리한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3분 데치기 처리한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크랜베리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Attribut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Cranberry Powder)

  • 최지은;이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32-135
    • /
    • 2015
  • 크랜베리 분말을 0, 2, 4, 6, 8%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이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pH는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2-4%, 6-8%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크랜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함량과 퍼짐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밀도는 대조군이 첨가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대조군의 경도는 8%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그 외의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시료의 $L^*$값과 $b^*$값은 각각 52.26-76.65, 17.69-35.69 범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반면 $a^*$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은 크랜베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소비자 선호도 검사 결과, 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4% 첨가군이 다른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p<0.05), 따라서 관능적 품질 및 기능성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의 첨가농도는 4%가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베이즈 p-값의 제안 및 그 성질에 대한 연구

  • 황형태;오희정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9-162
    • /
    • 2002
  • 일반적으로 p-값은 귀무가설에 의하여 주어지는 통계적 모형과 현재 관측치 사이의 호환성의 측도로써 가장 널리 쓰이는 개념중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전통계학에서의 고전적 p-값에 대응하는 베이즈 관점에서의 베이즈 p-값을 제안하고 그 성질에 대하여 고찰한다.

  • PDF

마늘즙 투여가 납중독 Rat에 미치는 효과를 N-Acetyl Penicillamine 해독 효과와 비교 (Effect of Garlic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Compared with N-Acetyl Penicillamine Action)

  • 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3
    • /
    • 1996
  • 납중독에 대한 마늘의 antidotic effect를 조사하기 위한 4주간의 실험에서 , rat 체중 kg 당 중 (7일간) 1회초산납 100mg을 투여한 rat에 매일 마늘즙을 식이의 4%로 투여한 실험군(LG)과 초산납과 함께 중금속 해독제인 N-acetyl penicillamine을 매일 rat 체중 kg당 100mg 투여한 실험군 (LP)의 체중 증가율 비교에서 초산납만을 투여한 실험군(L)보다 LG군과 LP군 모두 유의성 있는 rat 성장률 개선효과 (각각 +13.3%과 +22.3%)를 보였다. L군 rat의 외관과 해부검사에서는 장기들(위, 간장, 신장)의 병변(damage)이 매우 미미하게 관찰되었으나 혈액검사에서 GOT, alkaline phos-phatase, blood uric acid,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bilitrubin 값이 유의적을 증가하여 납중독에 의한 장기(organs) 특히 신장 기능의 현저한 장해를 보였다. 그러나 LG군이 이들 측정값이 L군보다 유의성의 차로 낮은 값을 보여 LP군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특히 L군에서는 Pb 중독으로 인하여 hemo-globin 량이 정상 이하(10.37g/dl)로 감소되었으나 LG군에서는 L군에서와 같이 거의 정산 (12.32g/dl)을 유지하였다. L군의 혈액, 간장 및 신장의 납 합량은 각각 0.281, 0.250, 0.403ppm으로 대조군 보다 매우 높았으나 LG군은 대조군에 가깝게 그리고 LP군과는 거의 같은 수준(각각 0.182, 0.131, 0.253ppm)으로 낮아졌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마늘이 rat의 납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N-acetyl penicillamine의 해독 효과와 비교할 때 마늘의 해독 효과라고 볼 수 있는 유의성있는 측정값들이 관찰되었다.

  • PDF

IRMA 검사법 중 알고리즘 변경에 따른 장비 간 결과값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The results of IRMA Test among Different Equipment According to Algorithm change.)

  • 김정인;권원현;이경재
    • 핵의학기술
    • /
    • 제23권2호
    • /
    • pp.43-50
    • /
    • 2019
  • 목적: 분당서울대병원 검체 검사실에서는 노후화된 전자동방사면역측정기의 교체로 인하여 새로운 자동화 장비가 도입이 되어, 검사원리가 IRMA법인 Insulin 검사로 장비 간 비교실험을 하게 되었다. 실험결과 장비간에 동일한 알고리즘인 선형 보간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저농도값에서 현저한 값 차이를 보였다. 이에 실험실내 보유중인 SR300, Gamma 10, Gamma Pro, Cobra 감마카운터 각각의 장비에 2가지의 알고리즘을 다르게 적용시켰을 때 값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검사원리가 IRMA법인 검사법 중 주로 자동화 장비에 검사가 시행 되고 있는 TSH, Ferritin, C-peptide, Insulin 4종목을 각각 10검체씩 저, 중, 고농도 값으로 선별하여 총 30개씩 동일한 검사항목에 대해서 SR300, Gamma 10, Gamma Pro, Cobra 카운터 장비에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으로 적용했을 때의 결과 값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TSH, Ferritin, C-Peptide, Insulin 항목의 결과값에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을 다르게 적용시켜 장비간 상관성 검사를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 $R^2$ 값은 0.9이상으로 모든 장비에서 상관성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 검증결과 장비간 비교에서는 TSH를 제외하고 Ferritin, C-Peptide, Insulin 항목은 P값의 유의성이 0.001 미만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 간의 결과값 비교에서는 TSH, ferritin, insulin을 제외하고 C-peptide 항목만 P값의 유의성이 0.03으로 보간법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sulin 낮은 값 영역에서 장비간 비교한 결과 P값의 유의성이 0.001 미만으로 Gamma Pro, Gamma 10, Cobra, SR300 카운터 장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 간의 결과값 비교에서도 P값의 유의성이 0.001 미만으로 보간법간에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 검사원리가 IRMA법이면서 linear 보간법인 검사결과를 살펴보면 장비마다 Curve Fitting 방식 차이에 따라 Standard 0값을 설정해주는 기대치와 실측치의 값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서 저농도 결과값에 영향을 미치고 장비 간에 차이가 유발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