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연한 형상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Hand Gesture Recognition Using Shape Decomposition (형상 분해를 이용한 손동작 인식)

  • Choi, Junyeong;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23-2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형상 분해(Shape Decomposition)를 이용한 손동작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형상 분해 방법을 손동작 인식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동작에 대해서 유연한 인식이 가능하며, 기존의 형상 분해 방법을 손 형상 분해에 적합하게 효율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실시간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Form-finding Analysis of Cable Networks Considering a Flexibility of the Structures for Mesh Reflector Antennas (구조 유연도를 고려한 메쉬 반사판 안테나의 케이블 네트워크 형상 설계)

  • Roh, Jin-Ho;Choi, Hye-Yoon;Jung, Hwa-Young;Kim, Hyo-Tae;Yun, Ji-Hyeon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6 no.4
    • /
    • pp.68-7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ign the cable networks for mesh reflector antennas, considering the flexibility of structures. An effective form-find methodology is proposed. The whole parts of the cable networks are described by the absolute nodal coordinate formulation. Additionally, nonlinear deformation of the cable can be obtained. The form-finding analysis of the reflector with standard configuration is performed,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truss ring structure is numerically modeled using the frame elements. To consider the flexibility of the truss ring as well as the cable net structure, an iteration analysis between the truss ring and the cable net under tensional forces is also performed in the form-finding process. The finial configuration of the reflector with tensioned cable networks is demonstrated.

물리적 인간 기계 상호작용을 위한 근육의 기하학적 형상 변화를 이용한 상지부 움직임 예측

  • Han, Hyo-Nyeong;Kim, Jeong
    • ICROS
    • /
    • v.16 no.3
    • /
    • pp.34-39
    • /
    • 2010
  • 근육 활성화시 나타나는 근육의 기하학적 형상인 단면적 변화를 움직임 의도 예측에 사용했다. 밴드 형태로 구성한 유연한 압전 케이블(flexible piezoelectric cable)을 이용하여 단면적을 측정하는 착용형 근육 활성도 측정 센서(pMAS, piezo cable muscle activation sensor)를 설계했고, 상완부에 적용하여 팔꿈치의 움직임을 예측했다.

CAD 시스템을 이용한 주조 골격형 목형 제작 자동화 시스템

  • 김화영;이지형;백챵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341-346
    • /
    • 1991
  • 주물이 대형이고 난이한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목형 제작에는 기준이 되는 각 단면의 도형 정보를 기초로 골격을 세워 그 틈새를 유연한 재료(모래, 시맨트, 스티로폴, 목재)로 메워 모형을 만드는 골격형 목형(Skeleton pattern)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기준 단면사이의 형상보간 및 필요단면 정보는 틈새 메움시 현장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작업되므로 제품 완성시 두께 분표불량등 정확한 주물을 제작할 수 없었다. 그러나 3차원 CAC 시스템의 발전과 더불어 자유곡면의 생성 및 조작이 손쉽게 이루어 짐으로써 정확한 형상 정의 및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기존 목형방법을 개선할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프로펠라 목형을 대상으로하여 적용하였다.

조업과정중 선망어구의 거동 시뮬레이션

  • 김현영;이춘우;권병국;원성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34
    • /
    • 2001
  • 지금까지 이러한 선망 어구의 조업시 형상에 관해 많은 연구 결과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해상실험 또는 모형실험으로서 실험자체의 어려움과 번거러움 등으로 다양한 실험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실험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구이다. 하지만, 선망어구는 매우 대형의 어구 시스템이며 대부분 그물이라는 유연한 물체에 의해 구성되어있어 외력에 대해 그 형상이 비선형적이므로 그 형상과 운동을 정의하기가 어렵다. (중략)

  • PDF

Geometrically Non-linear Model in Flexibility Method (유연도법에서의 기하학적 비선형 모델)

  • Kwon, Min-Ho;Kim, Jin-Sup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3-66
    • /
    • 2011
  • 유연도법 기반의 공식화에서는 변위영역의 형상함수를 라그랑지언(Lagrangian)보간법에 의한 곡률로부터 횡방향 변위를 유도한다. 곡률변위보간법으로 유도한 매트릭스를 사용한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방법과 강성도법을 기반으로 한 비선형 기존의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의 결과를 비교하여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Spacone의 이론을 확장시켜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유연도법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예제를 통하여 실제 문제에 대한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Iterative Polynomial Fitting Technique for the Nonlinear Array Shape Estimation (비선형 선배열 형상 추정을 위한 반복 다항 근사화 기법)

  • 조요한;조치영;서희선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8
    • /
    • pp.74-80
    • /
    • 2001
  • Because of ocean waves, swell, steering corrections, etc, the hydrophones of a towed array will not live along a straight line. However the degradation of bearing estimation performance occurs when beamforming is carried out on the hydrophone outputs of an acoustic towed array which is not straight. So it is required to estimate the shape of the array for the improved beamformer output. In this paper, an iterative array shape estimation technique is presented, which is based on the use of the least squares polynomial fitting to the data from heading sensors. The estimation error and the influence of deformations on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beamformer output are investigated. Finally, the suggested method is applied to the real syst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 PDF

Two-dimensional isotropic patterns for core materials in applications to sandwich structures (샌드위치 구조물 내에서의 응용과 관련된 2차원 단위 셀 형상을 지닌 심재에 대한 연구)

  • Kim, Beom-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8
    • /
    • pp.82-90
    • /
    • 2004
  •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types of core with two-dimensional isotropic patterns-triangular, hexagonal and starcell-were studied in applications to sandwich structures. The Young's modulus and shear modulus were calculated for the three core types in the direction normal to the faces. The compressive buckling strength and shear buckling strength were calculated by modeling each cell wall of the core as a plate under compressive or shear load. To verify this model, tests were conducted on scaled specimens to measure the compressive buckling strength of each core. The bending flexibilites of the three cores were also studied. Compliances for the three cores were measured using biaxial flexural tests. The three isotropic core patterns exhibited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direction normal to the faces, all three cores had the same stiffness. However, the starcell core exhibited high flexibility compared to the other cores, indicating potential for application to curved sandwich structures.

Transparent and flexible nanogerator based on ZnO nanowires (산화아연 나노선 기반의 투명하고 유연한 나노발전소자)

  • Choi, Min-Yeol;Oh, Yeong-Hwan;Lee, Do-Kyeong;Kim, Sang-Woo;Kim, Sung-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626-626
    • /
    • 2009
  • 외부의 전기적인 에너지원 없이 기계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투명하고, 유연한 에너지 발생 압력센서를 제작하기 위하여 일차원 산화아연 나노선 기반의 압전소자를 제작하였다1). 산화아연 나노선은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에 습식화학 방법을 이용하여 성장시켰다. 이 방법은 간단한 공정과, 저온 성장공정, 대면적 성장, 대량생산이 가능한 방법이다. 산화아연 나노선의 끝 부분과의 접촉을 위한 상부 전극으로는 PdAu 와 ITO가 증착된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였다. 90 %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가진 산화아연 나노선과 ITO 상부전극을 이용하여 투명하고 유연한 에너지 발생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상부전극의 형상 및 일함수와 나노발전소자의 출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제작된 투명하고 유연한 나노발전소자의 경우 0.9 kgf에서 1A/$cm^2$ 의 전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