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수율

Search Result 226,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nalysi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Loss Management using Evaluation Index in District Metered Area (소블럭별 평가지표를 이용한 물손실관리 수행능 지표 비교분석)

  • Kim, Dae Woong;Jang, Ji Yun;Choi, Ye Ji;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3-423
    • /
    • 2021
  • 국내에서는 '물손실(누수)을 얼마나 잘 관리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물손실관리 수행능 지표를 '유수율(누수율)' 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유수율은 실제 관리자의 의지와 무관한 인자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지역의 여건상 유수율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지역의 여건 상 유수율이 낮게 나올 수밖에 없는 지역이 있다. 따라서 유수율만을 이용하여 물손실관리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미흡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뿐만 아니라 IWA에서는 전통적인 백분율을 이용한 지표(손실율, 유수율, 무수율 등)의 문제를 언급하면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혹은 상수도사업의 경제성을 나타내는 목적 외에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현재까지의 연구를 보면, 국내 실정에 맞는 다양한 물손실관리 수행능 지표들이 언급되면서 이에 대한 적합성 및 적용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들은 지자체 단위로 물손실관리 수행능 지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소블럭 단위로 수도통계자료를 분석하여 물손실관리를 위한 어떠한 지표를 이용하는 것이 타당한 방법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교분석을 하기 위한 지표인 소블럭별 유수율, 실손실율(누수율), 1인당 실손실량, 급수전당 실손실량, 누수평가지표(ILI)를 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소블럭별 순위를 결정하였다. 유수율과 급수인구를 고려한 1인당 실손실량과의 비교분석에서 높은 R2 (결정계수)값과 소블럭별 순위변동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수율과 급수전수를 고려한 급수전당 실손실량 및 배수관의 연장과 급수전수, 평균압력을 고려한 누수평가지표와의 비교분석에서는 낮은 R2값과 소블럭별 순위 변동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유수율만을 이용하여 물손실관리 수행능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며, 유수율 외에도 다양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가장 바람직한 물손실관리 수행능 평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rate of Water Supply using AMR System (AMR System을 활용한 유수율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주일;연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9-175
    • /
    • 2004
  • 현재 우리나라의 수돗물 생산 대비 부과요금, 즉 유수율은 전국 평균 약 75%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생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어 결국은 시민의 요금부담을 가중시킴은 물론 지자체의 재정압박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는 효율적인 검침개선과 유수율 향상을 위해 AMR(자동검침시스템)을 활용한 시간적, 공간적 각종 경비절감과 과금현실화, 민원감소 등을 통한 효율적 물관리와 사용으로 유수율의 향상 및 개선을 위한 방법과 대안을 청주시를 중심으로 GIS와 연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venue Water Ratio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유수율 통합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Soo-yeong;Kang, Sin-cheon;Kim, Chang-seok;Jeong, Jong-in;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666-669
    • /
    • 2017
  • We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ystem, develop and apply the revenue water ratio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blem solving, and present the analysis of the effect.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revenue water ratio through systematic and efficient revenue water ratio management and reduction of the workload of the person in charge through the oil revenue water ratio integration system.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revenue water ratio through systematic and efficient revenue water ratio management and reduction of the workload of the person in charge through the revenue water ratio integration system.

  • PDF

Water Count Management System of Water Service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

  • Seak-Jae Lee;Jeong-Hee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304-306
    • /
    • 2008
  • 일상 생활 및 제반 활동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사회 기반 시설은 상수도이다. 이 논문에서는 상수도 관리의 기본이 되는 유량의 계측과 분배, 관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이 되는 상수도를 최적으로 관리하는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상수도 유수율 관리 시스템의 개발은 국민생활의 질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양질의 도시문화시설제공 및 수요자에 대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수도 기반 시설의 설계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ater Count System (유수율 제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Young-Su;Shin Y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589-592
    • /
    • 2006
  • 상수도는 도시의 일상생활 및 제반 활동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사회기반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시설 확대 이외의 종합적 관리 대책이 제시되지 않아 시설 노후화 및 불량으로 인한 낭비 요소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상수도의 생산에서 각 수용가에서 사용되는 부분에 대한 다양한 성격의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무효수량 발생 원인을 쉽게 찾아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적은 노력으로 유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에서 개발한 유수율 제고 시스템은 상수도 시설에 대한 직접 탐사 이전에 누수 및 무효수량 발생 원인을 정량적으로 분석 평가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유수율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st Structure by Remote Inspection for Water Supply System based on GIS (GIS 기반의 상수도 원격검침에 의한 비용구조개선에 관한 연구)

  • 김주일;연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02-406
    • /
    • 2003
  • 우리나라의 물의 공급을 위한 수도역사가 1백년을 넘어서고 있는데 반해 전체 물 생산량은60%에서 70% 초반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1999년 기준 1일 평균생산 한 물 432만 7천톤에서 요금 부과한 물의 양은 조5만 1천톤으로 137만 6천톤이 유실되어 증발한 것이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천문학적인 젓으로 유수율이 현저히 낮은 것이다. 이렇게 유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요인에는 시설물 관리의 어려움과 자원 및 세수관리의 어려움으로 나누어 볼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 및 원격검침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유수율 제고 및 누수율 감소를 위한 대책을 제시함으로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매시간 자동 검침을 함으로써 효율적 검침 가능은 물론 소요비용을 비교하여 GIS 기반의 원격검침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Water Supply Meter Inspection using Wireless Technology at Cheungjoo City (Wireless Technology를 활용한 상수도 검침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주일;연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260-267
    • /
    • 2003
  • 우리나라의 물의 공급을 위한 수도역사가 1백년을 넘어서고 있는데 반해 전체 물 생산량은 60%에서 70% 초반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99년 기준 1일 평균생산 f한 물 432만 7천톤에서 요금 부과한 물의 양은 295만 1천톤으로 137만 6천톤이 증발한 것이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천문학적인 것으로 다른 표현으로 유수율이 현저히 낮은 것이다. 이렇게 유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요인에는 시설물 관리의 어려움과 자원 및 세수관리의 어려움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 및 검침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유수율 제고 및 누수율 감소를 위한 대책을 제시함으로서 무선검침시스템의 안정성과 계측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검증을 위해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 일부 지역을 선정하여 1시간 마다 자동 검침을 통해 효율적 검침 가능 여부와 설치 대비 경제성 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MA monitoring system to reduce water losses in water supply network (상수도 관망의 유수율 향상을 위한 블록감시제어시스템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Yoon, Moon-Jung;Lee, Chang-G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8
    • /
    • pp.2989-2998
    • /
    • 2010
  • This study proposes the DMA(District Metered Area) operation technologies to reduce water losses in water supply network, such as development of DMA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DMA water flow and pressure analysis. DMA boundary analysis and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s of J city was studied in advance, and some problems to be improved was presented. Water losses analysis program was develop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is study.

Reduction Techniques of the Pipe Line net Using According to DVGW (DVGW이론에 따른 상수관망의 부식방지를 위한 정수처리방안)

  • Choo Tai-Ho;Kim Ha-I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5-118
    • /
    • 2005
  • Leakage of waterworks pipe line net cause loss of water resources, additional foundation of pressurization facilities from pressure loss and soil weakening near leaked pipe line, etc. This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manage waterworks pipe line net and to cause serious economic loss. Rate of accounted water is better by monitoring always water pressure and flux, etc. from isolated region, positively dealing with leakage accident and preventing leakage from occurring. Actually after isolating region, average rate of accounted water in this region is 88.94% by continuously monitering control of water pressure and inflow rate. It is about 9.44% more than tha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2003, 79.5%.

  • PDF

Corrosion Reduction Techniques of Pipe Line Net Using DVGW (DVGW이론에 따른 상수관망의 부식방지에 관한 연구)

  • Choo, Tai-Ho;Kim, Ha-Il;Je, Sung-Jin;Ok, Chi-Yo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1
    • /
    • pp.310-316
    • /
    • 2006
  • Leakage of waterworks pipe line net cause loss of water resources, additional foundation of pressurization facilities from pressure loss and soil weakening near leaked pipe line, etc.. This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and manage waterworks pipe line net and so cause serious economic loss. The rate of accounted water can be improved by monitoring always water pressure and flux, and so on. from isolated region, preparing positively against leakage accident and preventing leakage from occurring. Actually after isolating region, average rate of accounted water in this region went up 88.94% by continuously monitoring control of water pressure and inflow rate. It is about 9.44% higher than tha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2003, 79.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