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수실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xperimental Study for Wave Reflection of Partially Perforated Caisson by Slit Shape of Front Wall (부분 유공케이슨의 Slit 형상에 따른 반사특성 실험)

  • Lee, Jong-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4
    • /
    • pp.1455-1462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reflection of a partially perforated wall with single chamber by 2D and 3D hydraulic experiments. The effects of slit shape on the front wall, relative chamber width and wave steepness were discussed. For the normal incident wave condition, the reflections of horizontal slit cas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vertical slit with the similar porosity, but the differences are not significant. When the wave steepness is relatively small,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re large. In the oblique incidence, the normalized wave heights along a perforated wall with similar porosity are almost same for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lit walls and therefore the difference by slit shape can be ignored.

Wave Reflection of Perforated-Wall Caisson Breakwaters with Curtain-Wall (직립 유공케이슨 방파제의 현수판 사용에 따른 반사특성)

  • Lee, Seung Hyeob;Hwang, Jong Kil;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54-1458
    • /
    • 2004
  • 본 인구에서는 직립 유공 케이슨에 현수판을 설치함으로서 입사파의 반사율을 저감시키고자 하였다. 먼저 케이슨 단면의 적정 유공율을 선정하기 위해 횡 SLIT 케이슨식 2개안 및 종 SLIT 1개안 단면에 대한 단면 실험을 실시하였다. 선행된 실험에서 가장 반사율이 낮은 SLIT 케이슨을 선택하여 유수실에 현수판을 설치 하였으며 현수판의 설치유무 및 현수판의 길이에 따른 반사계수를 검토하였다. 설치된 현수판은 장주기파에 대해서 반사율 저감효과를 얻을 수 없었지만 단주기 파에서는 반사율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해역에따라 단주기가 주류를 이루는 해역에서 현수판을 설치하면 파랑내습시 소파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of Container Terminal (2-6 Stage) in Busan New Port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2-6단계) 축조공사 설계사례)

  • Kim, Yeong-Hak;Jeong, Uk-Jin;Yun, Gi-Seung;Hong, J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63-65
    • /
    • 2019
  •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은 선박 대형화와 완전 무인 자동화부두 구축이라는 설계컨셉에 따라 접안 가능한 최대선박은 3만 TEU 선박으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제반 시설들의 규격을 증대하였으며, 상부 자동화 설비들의 운영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형 유수실, 월파차단벽 등의 침수 방지시설과 크레인 및 AGV구간 부등침하 방지를 위해 41.5m의 광폭케이슨과 176m의 광폭 DCM기초를 적용하고, 최신 설계기준에 의거한 내진 I 등급 구조물로 계획하는 등 안전하고 이용성이 뛰어난 컨테이너 터미널이 구축되도록 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Wave Pressure of the Tsunami Acting on the Permeable Structure (투과성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해일파압에 관한 연구)

  • Lee, Kwang-Ho;Choi, Hyun-Seok;Kim, Chang-Hoon;Kim, Do-Sam;Cho,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1
    • /
    • pp.79-92
    • /
    • 2011
  • In this study, wave pressure of short-period gravity waves and tsunami acting on the upright section of the horizontal-slit type caisson placed on the impermeable or permeable seabed, which is a well-known permeable breakwater with a good wave controlling ability, are investigated via numerical simulations. Further, the permeable seabed was modeled as the porous media with porosity of 0.4. Using the numerical results, the effects of the seabed conditions on the wave pressure on the front wall and inside wall of the chamber have been studi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s, short-period gravity waves and tsunami(solitary wave or bore) with the same amplitude to the gravity wave are considered. A numerical wave tank is used, which is able to consider a gas-liquid two-phase flow in the same calculation zon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wave pressure of the tsunami was 3~5 times higher than the short-period gravity waves acting on the front wall and it was 2~4 times higher than the short-period gravity waves acting on the inner wall.

Comparison of Wave Pressure Acting on the Front Wall According to the Porosity of Caisson Breakwater Having the Cap of Wave Chamber (유수실 상부 덮개가 있는 케이슨 방파제의 유공률에 따른 전면벽 작용 파압 비교)

  • Oh, Sang-Ho;Ji, Chang-Hwan;Oh, Young Min;Jang, Se-Chu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2
    • /
    • pp.573-584
    • /
    • 2013
  • This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change in distribution of wave pressure on the front wall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front wall porosity of the caisson breakwater having the cap of wave chamber. First, the wave pressure for the non-porous caissson corresponding to zero porosity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pressure formula suggested by Goda(1974).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sured pressure distribution fairly well agreed with the Goda formula, which confirmed the accurate measurement of wave pressure in the present experiment. In case of the porous caisson, meanwhil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varying the front wall porosity as 0.2, 0.25, and 0.3. The wave pressure distribution at the front wall showed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rosity for most of the test wave conditions, whereas the pressure slightly increased with the porosity for some test waves whose wave heights and periods were relatively large. Howeve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rsosity was insignificant for the wave force at the front wall.

A Study on Improving Estimation of Recurrence Rate of Public Water -Jungnangcheon Watershed-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방법의 개선연구 -중랑천 유역을 대상으로-)

  • Jung, Chung Gil;Ahn, So Ra;Joh, Hyung Kyung;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9-509
    • /
    • 2015
  • 물 수요관리측면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재 또는 장래에 대한 용수수급의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용수 수요량 및 공급량뿐만 아니라 여러 산정요소를 필요로 하는데, 그 중 회귀수량은 물이 이용되고 다시 하천으로 회귀되어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수량으로 정의되며, 용수수급 및 용수절약 측면에서 회귀 수량은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회귀수량 조사는 유역조사 사업 이래, 10년간 생?공용수를 중심으로 미시적, 거시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측정 자료의 신뢰도, 조사방법 및 지점선정 등의 문제로 인하여 조사 성과의 활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등에서는 수자원관련 계획 수립시 생?공용수의 회귀율을 65 %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1970년대 말의 사회적 여건 및 경제적 상황이 반연된 결과로 현재 상황에 적용되기 곤란하다. 따라서, 현재 실정에 맞는 회귀율 산정은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생활용수 회귀수량 산정 연구 한계를 보완하고 유역조사 시행을 위한 개선된 회귀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 처리구역을 기반으로 중랑천유역을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다. 기존 회귀수량 산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시험유역 회귀수량 산정을 위한 가용 자료 분석 및 용수흐름 네트워크 공간분석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가용자료로 시험 유역내 상수공급자료(정수장 공급량, 상수계통도, 유수 및 누수율), 하수처리자료(하수처리구역도, 하수처리계통도, 유입량 및 방류량) 및 기상자료(기상청 지점 및 AWS 강우자료)를 구축하였고 각각의 상수계통도 및 하수처리계통도로부터 용수 흐름 네트워크망을 구축하였다. 상수공급자료로부터 상수계통도 공급지역을 구분하여 월별 유수율에 따른 월별 실 공급량을 산정하였다. 하수처리자료로부터 시험유역에서의 월별하수처리 유입량 및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회귀율(하수처리 방류량/실 공급량)을 산정한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93.97 %(2011년), 95.02%(2012년)로 과잉 추정 되었으며 7 ~ 9월의 회귀율은 110 ~ 120 %로 유입량을 초과하였다. 이는, 하수처리로 유입되는 유입량의 하수관거는 합류식으로 구축되어 7 ~ 9월에 많은 양의 강우량이 우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이송되어 생활용수 이외에 자연적인 공급량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월별 회귀율 산정을 위해서는 불투수층에서의 면적강우량(mm)을 유입량(m3/s)으로 환산된 값을 고려하여 회귀율을 재산정하였다. 그 결과 연평균 회귀율은 각각 78.27 %(2011년), 77.58 %(2012년)로 나타났다.각각의 월별 회귀율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과거 관용적으로 사용된 65 % 회귀율보다 약 12 ~ 13%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하수처리시설 구축 및 처리효율의 증가와 상수처리시설의 관로시설의 개량으로 인한 유수율 및 누수율 감소로 회귀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동주택 전용 유수검지장치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 Gang, Won-Seon;Son, Bong-Se;Jeong, J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169-170
    • /
    • 2013
  • 공동주택은 단독주택과는 달리 대지와 건물의 계단, 벽 등을 공동으로 사용하지만 각 세대별로는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건축된 소방대상물로서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및 기숙사 등이 이에 해당된다. 공동주택은 대부분 단지 내 기계실에서 전 세대에 소화수를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부재중인 세대와 사생활침해 등의 이유로 출입이 자유롭지 못한 세대로 인하여 스프링클러의 점검 작업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 PDF

Flow Resistance of Model Cage Net (모형 우리 그물의 유수저항)

  • KIM Tae-Ho;KIM Dae-An;RYU Cheong-Ro;KIM Jae-O;JEONG Eui-Cheo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3 no.6
    • /
    • pp.514-519
    • /
    • 2000
  • In order to develop the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flow resistance acting on cage net, the relation between the velocity reduction factor and $S_n/S$, the ratio of total area of netting projected to the perpendicular to the water flow $S_n$ to wall area of netting S, was derived based on the numerical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wake flow through a netting twine simplified by a cylinder and a netting panel. The velocity wa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velocity reduction factor when the flow passed the netting panel upstream of a cage net. The proposed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fluid force acting on a square cage net wa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it could be divided into four side panels and one bottom panel. It was proved that the force could be calculated by the sum of the drag forces acting on the individual netting panels.

  • PDF

Comparison of the Net Inflow Rates of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of Different Shapes (해수교환방파제의 형상별 순유입유량 특성 비교)

  • Lee, Dal-Soo;Lee, Chang-Hoon;Oh, Young-Min;Chun, In-Sik;Kim, Chang-I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25 no.spc3
    • /
    • pp.393-397
    • /
    • 2003
  • The seawater exchange breakwaters can be effectively employed to conserve or enhance the water quality inside harbors by transmitting the exterior water into the harbor. In the present study, three shapes of the breakwater, that is, the flow conduit embedded type, the wave chamber type and the oscillating water channel type are compared far their water exchanging capability through regular wave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net influx of water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wave period for each breakwater type. The net influx of the wave chamber type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the flow conduit embedded type. It is also ascertained that the influx of the oscillating water channel type can be greatly enhanced by attaining the resonance condition inside the channel at the wave periods frequently occurring at the fields where the breakwaters are to be installed.

Study on the Hydraulic Stability of Multilayer Porous River-Bed Protection using Biopolymer (바이오폴리머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공의 수리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 Ahn, Hong-Kyu;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7-217
    • /
    • 2020
  • 인간 물이용 중심의 하천 관리로 하천에 인위적으로 설치되는 횡단구조물은 물의 흐름을 막아 수질환경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하천의 연속성을 단절하여 생물의 이동을 차단하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인위적인 구조물로서 약 34000여개의 농업용 보와 약 16000여개로 추정되는 낙차공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유수에 의하여 하상으로 전달되는 유수에너지를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하상보호공을 설치하여 하천횡단구조물을 보호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하상보호공에 사용되는 기술 중 사석 및 돌망태와 같은 기술은 시공비용이 적고 빠른 시간에 시공 할 수 있지만 급격한 홍수에 쉽게 파괴 및 유실이 되는 단점이 있으며, 콘크리트 소재 공법은 세굴방지에 좋은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을 지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변형되거나 포락/유실되어 하상을 지속적으로 보호하지 못하게 되며 과도한 세굴은 구조물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돌발호우 및 강우량의 증가로 돌변하는 하천환경에 대한 적용기술은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하여 자연친화적 생태복원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폴리머를 다층다공성 하상보호기술에 대하여 에너지 저감 효율, 고유속에서 한계 소류력, 소재 이탈 실험을 최대유량 10 ㎥/s, 유속 8m/s를 재현할 수 있는 실규모 하천실험장에서 진행하여 과학적인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