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성음 문장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clinical utility of voiced sentences in acoustic analysis for pathological voice evaluation (장애음성의 음향학적 분석에서 유성음 문장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 Ji-sung Kim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4
    • /
    • pp.298-30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tility of voiced sentence tasks for voice evaluation.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perturbation-based acoustic measurements [jitter percent (jitter), shimmer percent (shimmer), Noise to Harmonic Ratio (NHR)] using sustained vowel phonation, and cepstrum-based acoustic measurements [Cepstral Peak Prominence (CPP), Low/High spectral ratio (L/H ratio)] using voiced sent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65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PP and jitter (r = -.624, p = .000), shimmer (r = -.530, p = .000), NHR (r = -.469, p = .000).This suggests that the cepstrum measurement of voiced sentence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analysis limitations of the pathological voice such as not possible perturbation-based acoustic measurement, and resul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section.

Speech Enhancement Based on Voice/Unvoice Classification (유성음/무성음 분리를 이용한 잡음처리)

  • 유창동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74-379
    • /
    • 2002
  • In this paper, a nobel method to reduce noise using voice/unvoice classification is proposed. Voice and unvoice are an important feature of speech and the proposed method processes noisy speech differently for each voice/unvoice part. Speech is classified into voice/unvoice using zero-crossing rate and energy, and a modified speech/noise dominant-decision is proposed based on voice/unvoice classification.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on conditions of white noise and airplane noise, and on the basis of comparing segmental SNR with the existing method and listening to the enhanced speech, a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superior to that of the existing method.

An Acoustic study of Korean Lenis Stop Voicing -in relation to Prosodic Structures- (한국어 파열연자음 유성화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고찰 -운율구조와 관련하여-)

  • Kim Hyo Sook;Kim Sun Ju;Kim Sunm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83-386
    • /
    • 1999
  • 이 논문은 한국어 파열연자음이 유성음 환경에서 유성음화하는 현상을 운율구조와 관련해서 음향음성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음성적 자질로서나 청각적인 판단에 의해서나 무성음과 유성음의 이분법으로 나뉘는 것을 음향적 고찰을 통하여 각각을 하위의 범주로 나누었다. 문장 안에서 파열연자음이 음향적으로 실현될 때 각각의 범주가 어느 정도의 빈도수로 출현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어 파열연자음은 어절 초에서는 무성음으로 실현되나 앞뒤에 유성음이 오는 경우에는 유성화되는 음운규칙이 있는데, 음향적인 분석을 통하여 앞뒤에 유성음이 온다는 조건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예들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인접음절(특히 앞음절에 오는 분절음의 특성)과 운율구조(액센트구 내에서의 위치, 억양구경계의 유무)를 함께 고려하는 파열연자음 유성화규칙의 조건을 제안하였다.

  • PDF

On the speaker identification using the informations contained in the voiced intervals (유성음의 정보를 이용한 화자식별에 관한 연구)

  • Oh Chang-Hwan;Park Dae-Sung;Choi Hong-Su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75-178
    • /
    • 2000
  • GMM을 기반으로 하는 화자식별 시스템은 입력음성의 길이의 장단에 의해서 인식률에 차이가 생긴다. 이는 가우시안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때, 않은 데이터를 사용할수록 추정이 정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자식별에 사용하는 입력데이터는 화자가 발성한 모든 음성신호에서 잡음구간만을 제거한 유,무성음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서 실시간 처리에 어려움이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음성구간을 이용하는 대신 유성음 구간만을 추출하여 이 구간의 켑스트럼과 피치 값들을 특징파라미터로 이용하여 화자식별에 이용하였다. 특히 피치성분은 일반적으로 통신채널과 핸드셋의 영향에 상대적으로 강한 장점이 있다. 실험을 위하여 20대의 남성 및 여성화자 40명으로부터 얻은 음성데이터에서 유성음구간을 추출하여 GMM을 이용한 문장독립 화자식별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결과 스펙트럼정보와 함께 피치 정보가 화자식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 algorithm of the Non-uniform synthesis unit selection for concatenative speech synthesis system (연결형 합성시스템을 위한 문맥종속 단위 기반의 비정형 합성단위 추출 알고리즘)

  • 김영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273.2-277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음소단위 비정형 연결합성 시, 접합점에서 포만트 불연속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웃음소간 경계강도 예측모델과 합성단위 검색시 음소단위 최장일치 검색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합성단위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_C_”환경에서 자음이 유성음화된 경우, “_V_”환경에서 모음이 무성음화된 경우, 그리고 유성음 사이의 포만트 주파수 차이에 대한 모델을 생성하여, 음소간의 조음강도가 약한 부분이 합성단위 경계로 설정되도록 하였다. 합성단위 경계가 결정되면 주어진 문장의 문맥정보만을 이용하여 코포스로부터 후보를 선택한다. 선택된 후보를 사이의 연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합성 경계를 기준으로 전, 후 음소에 대한 음성적 특성과 포만트 천이 특성을 고려하였다. 실험은 K-ToBI 레이블링된 200문장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코퍼스로부터 한 문장을 선택하여 이를 목적치 패턴으로 선정 한 후, 목적치 패턴과 후보사이의 단위비용과 후보들 간의 연결비용을 계산하여 최적의 합성단위열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맥종속 단위 기반의 합성단위 추출 알고리즘과 실험 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 PDF

Real-Time Recognition of the Korean Spingle Vowels Using the Speech Spectrum Anaysis (음성 스펙트럼 분석에 의한 한국어 단모음 실시간 인식)

  • 김엄준;성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26-23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에 계산이 가능하며, 음성을 특징 지울 수 있는 파라미터로서 영 교차율(zero crossing rate), 단 구간 에너지(short-term, energy) 그리고 포만트(formant)를 사용하였다. 특정 화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서 단모음인 'ㅏ, ㅐ, ㅓ, ㅔ, ㅗ, ㅜ, ㅡ. ㅣ'에 대한 인식을 위해 위의 세가지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영 교차율과 단 구간 에너지 파라미터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과 음성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데 사용하였다. 포만트 파라미터는 10차 켑스트럼(cepstrum)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각 단모음을 판별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하나의 단모음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텍스트로 출력하는데 평균 0.065sec에 처리하며, 각각의 단모음에 대해 93%, 10개의 테스트 문장에 대해 72%의 인식률을 보이고 있다.

  • PDF

An improved automatic segmentation algorithm (자동 음성 분할 시스템의 성능 향상)

  • Kim Mu Jung;Kwon Chul Ho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5-4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음성 합성기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HMM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소경계를 추출하고, 음성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보정하는 반자동 음성분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16KHz로 샘플링된 음성을 대상으로 삼았고, 레이블링 단위인 음소는 39개를 선정하였고, 음운현상을 고려한 확장 모노폰도 선정하였다. 그리고 언어학적 입력방식으로는 음소표기와 철자표기를 사용하였으며, 패턴 매칭 방법으로는 HMM을 이용하였다. 유성음/무성음/묵음 구간 분류에는 ZCR, Log Energy, 주파수 대역별 에너지 분포 등의 파라미터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훈련된 음성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날씨 등의 코퍼스를 사용하였으며, 성능평가를 위해 훈련에 사용되지 않은 문장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자동 음성 분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수작업에 의해서 분할된 음소경계 위치와의 오차가 10ms 이내가 $87\%$, 30ms 이내가 $91\%$가 포함되었다.

  • PDF

Automatic detection and severity predic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using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머신러닝 분류기를 사용한 만성콩팥병 자동 진단 및 중증도 예측 연구)

  • Jihyun Mun;Sunhee Kim;Myeong Ju Kim;Jiwon Ryu;Sejoong Kim;Minhwa Chung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4 no.4
    • /
    • pp.45-56
    • /
    • 2022
  •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methodology for automatically diagnosing and predicting the severity of the chronic kidney disease (CKD) using patients' utterances. In patients with CKD, the voice changes due to the weakening of respiratory and laryngeal muscles and vocal fold edema. Previous studies have phonetically analyzed the voices of patients with CKD, but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lassify the voices of patients. In this paper, the utterances of patients with CKD were classified using the variety of utterance types (sustained vowel, sentence, general sentence), the feature sets [handcrafted features, extended Geneva Minimalistic Acoustic Parameter Set (eGeMAPS), CNN extracted features], and the classifiers (SVM, XGBoost). Total of 1,523 utterances which are 3 hours, 26 minutes, and 25 seconds long, are used. F1-score of 0.93 for automatically diagnosing a disease, 0.89 for a 3-classes problem, and 0.84 for a 5-classes problem were achieved. The highest performance was obtained when the combination of general sentence utterances, handcrafted feature set, and XGBoost was used. The result suggests that a general sentence utterance that can reflect all speakers' speech characteristics and an appropriate feature set extracted from there are adequate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CKD patients' utteranc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mple Text-to-Speech System using Phoneme Units (음소단위를 이용한 소규모 문자-음성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Ae-Hee;Yang, Jin-Woo;Kim, Soon-Hyob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3
    • /
    • pp.49-60
    • /
    • 1995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Text-to-Speech system which is used for a small and simple system. In this paper, a parameter synthesis method is chosen for speech syntheiss method, we use PARCOR(PARtial auto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is one of the LPC analysis. And we use phoneme for synthesis unit which is the basic unit for speech synthesis. We use PARCOR, pitch, amplitude as synthesis parameter of voice, we use residual signal, PARCOR coefficients as synthesis parameter of unvoice. In this paper, we could obtain the 60% intelligibility by using the residual signal as excitation signal of unvoiced sound. The result of synthesis experiment, synthesis of a word unit is available. The controlling of phoneme duration is necessary for synthesizing of a sentence unit. For setting up the synthesis system, PC 486, a 70[Hz]-4.5[KHz] band pass filter for speech input/output, amplifier, and TMS320C30 DSP board was used.

  • PDF

A Study on ACFBD-MPC in 8kbps (8kbps에 있어서 ACFBD-MPC에 관한 연구)

  • Lee, See-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7
    • /
    • pp.49-53
    • /
    • 2016
  • Recently, the use of signal compression metho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ireless networks have increased. In particular, the MPC system was used in the pitch extraction method and the excitation source of voiced and unvoiced to reduce the bit rate. In general, the MPC system using an excitation source of voiced and unvoiced would result in a distortion of the synthesis speech waveform in the case of voiced and unvoiced consonants in a frame. This is caused by normalization of the synthesis speech waveform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multi-pulses of the representation segment. This paper presents an ACFBD-MPC (Amplitude Compensation Frequency Band Division-Multi Pulse Coding) using amplitude compensation in a multi-pulses each pitch interval and specific frequency to reduce the distortion of the synthesis speech waveform.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16 sentences of male and female voices. The voice signal was A/D converted to 10kHz 12bit. In addition, the ACFBD-MPC system was realized and the SNR of the ACFBD-MPC estimated in the coding condition of 8kbps. As a result, the SNR of ACFBD-MPC was 13.6dB for the female voice and 14.2dB for the male voice. The ACFBD-MPC improved the male and female voice by 1 dB and 0.9 dB,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PC.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for cellular telephones and smartphones using the excitation source with a low bit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