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속도

Search Result 1,99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egmentation based fast digital hologram generation method (분할방식 기반의 고속 디지털 홀로그램 생성 알고리즘 연구)

  • Hwang, Leehwan;Kim, Seunghyeon;Hong, Sung-Hee;Shin, Choon-Sung;Kim, Young-Min;Hong, Ji-Soo;Kang, Hoon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38-239
    • /
    • 2018
  • 본 논문은 기존에 홀로그램 생성에 사용하던 R-S알고리즘과 유사한 품질을 지니며 빠른 속도의 연산으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와 프린팅 시스템을 위한 콘텐츠의 생성에 필요한 고속 연산 알고리즘인 FPAS에 대한 소개이다. 소개 될 연산방법은 기존의 홀로그램 분할 방식을 일반화함으로써 미세한 빔의 조종으로 개선된 알고리즘으로 제안하며, 생성된 프린지 패턴에서 회절된 파면을 R-S알고리즘으로 계산한 결과와 매우 유사한 재구성 품질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각 오브젝트 포인트의 기여도로부터 분할단계에서 보다 빠르게 계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접근법으로 디지털 홀로그램 생성의 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소개하여 홀로그램을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milar Document Merging System (유사 문서 병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Woo-Ri;Kwon, In-Teak;Kim, Jo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64-167
    • /
    • 2011
  • 인터넷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출처와 경로를 통해 많은 정보가 빠른 속도로 생산,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복되거나 유사한 정보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내용이 유사한 문서를 찾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유사 문서 병합에서 유사 문서를 판별하기 위해 문서 간 공통된 단어의 비율을 이용한다. 하지만 동일한 단어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어 공통된 단어의 비율만을 가지고 유사 문서를 판단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들을 동일한 단어로 변환하여 유사 문서들을 병합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uter Engineering Technical Interview Support System (컴퓨터 공학 기술 면접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Dong-Hyun Lee;Seung-Min Park;Dong-Hyun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9 no.3
    • /
    • pp.603-608
    • /
    • 2024
  • Recently, the frequency of computer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terviews ha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hiring developers, and accordingly, the burden of technical interviews among interviewees has also increased. However, during computer engineering technical interview practice,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one's answers are correct, and to measure the appropriate vocalization speed by oneself.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uter engineering technical interview support system using similarity measurement technology. The proposed system measures the technical accuracy of the interviewee's answers through a sentence similarity evaluation procedure using cosine similarity to measure the technical accuracy of the interviewee's answers. It also measures the speech rate and provides it to the interviewee.

Modified Sequential Algorithm schema for Efficient Digital Image retrieval (Modified Sequential Algorithmic Schema를 이용한 디지털 사진의 효율적인 분류)

  • Lee, Sang-Ly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237-240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수정된 Sequential Algorithmic Schema를 이용해서 여러 장소를 이동하면서 찍은 디지털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이웃 패턴들과 특징 정보의 연속성, 유사성을 가지며 들어오는 입력 패턴에 대해 기존의 모든 군집과 유사도를 비교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전 군집의 정보와 유사도를 비교하여 군집에 포함시키거나 동적으로 군집을 생성하는 효율적인 군집화 방법이다. 제안한 방법은 실험을 통해서 기존의 군집화 기법에 성능 및 속도의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 PDF

Dichotomy of Viscoelastic Fluids by Their behavior in An Extensional Flow (신장 유동장에서의 거동에 의한 점탄성 유체의 양분)

  • 김병민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1
    • /
    • pp.14-22
    • /
    • 1993
  • 신장유동의 예로 등온 방사공정을 구성방식의 예로 변형률속도에 따라 변하는 풀림 시간을 가지는 White-Metz-ner 모델을 사용해서 점탄성유체의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했다, 그결과 풀림시간의 변형률속도에 대한 의존도에 따라 점탄성유체를 두가지로 구 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말해서 풀림시간이 변형률속도에 대해서 작은 의존도를 가지는 그룹I의 유체의 경우는 변형률속도가 커짐에 따라 신장점도가 증가하며 Weissen-berg수 (무차원 풀림시간)가 커짐에 따라 방사사선의 속도가 증가한다, 반면에 풀 림시간이 변형률속도에 대해서 큰 의존도를 가지는 그룹 II의 유체의 경우는 변형률 속도가 커짐에 따라 신장점도가 감소하며 Weissenberg수가 커짐에 따라 방사사선의속도가 감소한 다. 이렇게 대조적딘 점탄성유체에 관한 결과는 유사한 거동을 보고한 다른 연구자들의 결 과와 잘 부합한다. 또한 Weissenberg수가 다른경우의 신장점도 곡선들을 무차원 변형률속 도를 Weis-senberg수에 비례하게 Shift 시키면 master Curve를 얻을수 있었다.

  • PDF

Estimating Distribution of Human Mobility Speed (인간 이동속도의 분포 추정)

  • Lee, Jun-Seok;Song, Ha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309-312
    • /
    • 2014
  • 학문적 및 사회적으로 인간의 위치 예측이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위치 예측을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의 기본으로 인간 이동 속도의 분포가 요구된다. 이 논문에서 단순위치, 장소 데이터 분석이 아닌 위치 데이터에서 파생된 인간의 이동속도를 전체구간, 즉 정지상태의 속도부터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최대속도까지가 아닌 이동 시 나올 수 있는 유효한 속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간 속도의 빈도를 계산하여 속도가 어떠한 확률분포를 따르는지, 그리고 확률 분포들 중 비교적 계산이 용이한 지수 분포와 어느 정도의 유사도를 가지는지 분석할 것이다.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한 toilet의 flushing에 의한 오염 분석과 수치 모델링

  • Do, U-Ri;No, Ji-Hyeon;Yang, Won-Gyun;Ju,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75-75
    • /
    • 2010
  • 배변 후 toilet flushing 시 다량의 세균을 포함한 물방울들이 화장실 곳곳으로 퍼지는 현상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변기 뚜껑에 자기 세정 효과를 갖는 초발수 표면을 위해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처리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 연구의 일환으로 flushing시의 변기내의 유동 분석을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Toilet flushing 시 물 튀김 현상은 육안으로는 잘 관찰하기 어렵지만 최고 1000 frame/sec의 속도를 갖는 CCD camera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물 튀김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촬영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소변 시의 변기 표면에서의 튀김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변의 발사각도 및 속도를 가장 실제와 유사한 조건으로 설정하고 이를 상용 전산 유체 역학 소프트웨어인 CFD- ACE+의 자유 표면 계산 기능과 두 가지 유체(액체 및 기체)의 혼합 계산 모델을 사용한 계산 결과와 비교 하였다. 그 결과 변기 표면의 표면장력을 아주 작게 설정한 경우(작은 접촉각, 친수성)에는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변이 변기에 충돌 후 상부로 상당부분 튀어 올라가는 결과를 얻었다. 여러 가지 각도와 발사 속도, 실제의 인체와 유사한 발사 부위의 형상 변화로 인한 유체 표면의 난류 발생과 이에 따른 변기 표면 충돌 현상 변화 등을 수치적으로 고찰하였다. 한 예로 5.6 mm 직경의 노즐에서 소변이 나오는 경우를 발사 속도 3 m/s, 각도 $10^{\circ}$로 주고 중력을 고려하여 10초 동안을 계산하면, 방뇨 시 toilet bowl 내부에서의 물의 유동과 toilet 표면을 맞고 튀기는 현상을 그림 1과 같이 볼 수 있었다.

  • PDF

Image Quality Assessment Considering both Computing Speed and Robustness to Distortions (계산 속도와 왜곡 강인성을 동시 고려한 이미지 품질 평가)

  • Kim, Suk-Won;Hong, Seongwoo;Jin, Jeong-Chan;Kim, Young-Jin
    • Journal of KIISE
    • /
    • v.44 no.9
    • /
    • pp.992-1004
    • /
    • 2017
  • To assess image quality accurately, an image quality assessment (IQA) metric is required to reflect the human visual system (HVS) properly.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color, and contrast ratio of the image should be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In addition, as mobile embedded devices such as smartphone become popular, a fast computing speed is important. In this paper, the proposed IQA metric combines color similarity, gradient similarity, and phase similarity synergistically to satisfy the HVS and is designed by using optimized pooling and quantization for fast computation. The proposed IQA metric is compared against existing 13 methods using 4 kinds of evaluation method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IQA metric ranks the first on 3 evaluation methods and the first on the remaining method, next to VSI which is the most remarkable IQA metric. Its computing speed is on average about 20% faster than VSI's.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proposed IQA metric has a bigger amount of correlation with the HVS than existing IQA metrics.

Improvement and Applications of the Turbidity Flow Predictive Model in Extreme Rainfall Event (극한 사상의 탁수 예측 모델 개선 및 적용)

  • Park, Hyung Seok;Chung, S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35-435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라 강우 패턴이 변화하며, 집중호우 발생 빈도의 증가가 예상된다. 이로 인해 저수지 상류에서 유실된 토사는 저수지로 유입하여 정수 처리비용 증가, 1차생산성 감소, 어류폐사, 하천경관 악화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탁수 피해 저감을 위해 과학적인 모니터링과 예측, 저수지 운영과 관리기술 개발 등의 대응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극한 탁수사상 발생시 대응 기술의 일환으로 저수지 탁수예측 모델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기존 탁수예측 모형인 CE-QUAL-W2(이하 W2)의 탁수 예측 알고리즘을 개선하고 소양강댐 저수지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최근 W2모델 3.72 버전까지 출시되었으나, 모델은 단순 침강속도만 고려하여 저수지 밀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TSS 모의시 독립침강을 가정하여 응집 침강 및 장기탁수 예측에 취약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거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수온에 따른 점성계수 변화(Stoke's), 다중 부유 입자별 침강속도 고려 기능을 추가하였으며, 새롭게 점착성유사의 응집 침강을 고려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모델을 개선하였다. 모델에 점착성 유사 모의 전략은 입자 크기 $63{\mu}m$를 기준으로 비점착성유사(NCS)와 점착성유사(CS)로 구분하고, 비점착성유사는 독립침강, 점착성 유사는 응집침강을 가정하였다. 응집 후 중간 입경의 추정은 Gailani et al(1991)의 식을 사용하였으며, 침강속도 계산 공식은 Hwang and Mehta(1989)식을 적용하였다. 수정된 모델은 소양강댐 운영이후 최대 탁수사상이 발생했던 2006년을 대상으로 기존 탁수해석 결과와 수정된 모델의 모의결과를 실측값과 비교 분석 하였다. Stoke's 식 적용시 기존의 모의결과 대비 AME 평균 23%, RMSE 평균 18%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wang and Metha식 적용시에 SS 모의값이 전반적으로 과소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측 방류 탁수 농도와 모의값을 비교하여 평가 하였으며, 모의기간인 Julian Day 173~365(192일) 동안 모의 결과의 총 TSS 부하량은 실측값의 약 80%수준을 보였으며, TSS 방류 부하기준 Stoke's 식 적용시 기존 모의대비 오차가 1.3%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ischarge and sediment at the Seok-hwa Station in the Mi-ho River (미호천 석화지점의 유량 및 유사량 분석)

  • Yeon, Gyu-Bang;Lee, Sam-Hee;Cho, Yong-Soo;Hwang,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72-976
    • /
    • 2008
  • 본 연구는 유량과 하천유사를 현장에서 직접 관측하여 분석한 연구로서 그 동안 하천에서 유사량을 산정할 때 부유사만을 측정하던 방법과 달리 미호천 석화수위표는 유역특성상 소류사량의 이송이 상당할 것으로 판단되어 미호천유역의 소류사를 부유사와 동시에 관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량의 측정 방법은 간략법인 삼선법을 이용하였고 부유사 관측에는 수심적분 채취법을 적용, 채취기의 이동속도를 모든 채취선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이동속도법을 이용하고 소류사 관측은 부유사 관측과 동일한 채취선에서 이루어졌다. 각각 부유사량과 소류사량을 15회 측정하여 더한 값을 유사량으로 산출하였고 이를 그 동안 많은 연구에 이용되었던 수정아인슈타인 방법으로 추정한 값과 실측된 유사량의 값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소류사량과 부유사량의 관계를 비교할 수 있는 연구로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