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비쿼터스도시서비스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6초

계층화분석법을 이용한 저소득층 u-서비스 적용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U-Service Priority for Low-Income People Using AHP)

  • 변완희;양동석;기호영;정만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00-111
    • /
    • 2011
  • 도시기반시설에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하여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유비쿼터스도시는 구축과 운영에 있어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반면에 정보화 사회에서의 정보격차를 경험하고 있는 저소득층이 사용자로서의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실질적 u-서비스를 발굴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에 제안된 u-서비스 중 저소득층에게 적합한 항목을 선별한 후 계층화분석법(AHP)을 이용하여 법 제도적여건, 기술구현성, 범용성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한 중요도와 쌍대비교를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야 할 u-서비스로 치매노인 미아방지, 가로(街路)안전대응, 취업고용 정보지원 서비스 등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도출됨에 따라, 저소득층을 위한 실질적인 u-서비스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한 유비쿼터스 공간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Ubiquitous Space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n Case Studies)

  • 홍관선;이혁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91-400
    • /
    • 2003
  • 정보통신과 디지털기술의 변화가 진행되면서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이 결합된 새로운 공간개념으로서 유비쿼터스 공간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모든 곳에 동시에 존재 한다' 라 는 라틴어.의 의미 자체에서 보듯이 유비쿼터스 공간은 그동안 물리적인 속성보다 기술 분야와 같은 비 물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돼 왔다. 간혹 유비쿼터스 도시론을 제시 한 경우는 있었지만, 개별적인 정보서비스의 체계화나 네트워크화와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해 왔다. 그러나 마크와이저나 사카무라 겐 등의 학자들이 이러한 개념을 주창한 이면에는 기술에 의해 중심에서 밀려난 인간을 다시 중심에 두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선 휴먼인터페이스의 혁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유비쿼터스 공간' 구현이 실제 가능해지면서 이를 실제 공간에 적용시키려는 노력들이 등장하고 긴다. 본 연구의 사례들은 미국, 일본, 한국 등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물리공간에 전자공간을 자연스럽게 중첩시키는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을 목적으로 하고 여지만, 아직까지는 기술적인 측면이 중심이 되어 도시생활과 분리된 실험실의 성격을 지닌 공간의 성격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는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물들을 기능적 공간적으로 연결해 이를 현실 세계와 자연스럽게 효과적으로 결합해 유비쿼터스 공간 환경이 구현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외 프로젝트에 대한 조사와 이러한 연구와 병행되어져야 하는 유비쿼터스 공간개발 신공간 개발 방향에 관하여 이야기 하고자 한다.

  • PDF

기반시설 관점에서의 u-City 기술 분류에 대한 연구 (A Technology Classification Scheme of u-City Technology from Infrastructural point of view)

  • 임시영;조춘만;박주희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2-4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Eco City 건설을 위한 u-City 기술 연구의 첫걸음으로서 기반시설 관점에서 u-City기술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는 u-City를 구현할 때 기반시설에 u-City기술을 접목함으로써 u-City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 즉, "유비쿼터스 도시건설 등에 관한 법률"에서 언급하고 있는 u-기반시설의 개념을 도입하여 기술을 분류함으로써 서비스-기술-기반시설의 연계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하는 u-City 기술의 분류는 u-City기술의 범위를 정하고, 추후 기술개발의 전략적 목표 설정 및 기술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 도구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Tool for Analysis of Ubiquitous Sensor Network)

  • 한형욱;이정배;안성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37-238
    • /
    • 2009
  • u-City 통합 운영 센터의 목적은 다양한 u-City 서비스들의 정보를 수집, 분석,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u-City 통합 플랫폼 구축과 기술 표준화를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u-City 통합 플랫폼은 한 서비스에 종속적이지 않은 독립적인 서비스 플랫폼으로서 기존의 u-City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확장 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통합 플랫폼 구축을 위해서는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분석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의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들의 비교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지원도구를 설계 및 구현한다.

다중센서를 이용한 3차원 도시모델의 구축 (Generation of 3D City Models Multi-Sensors)

  • 최경아;강문권;김성준;이임평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6년도 GIS/RS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106-111
    • /
    • 2006
  • 텔레메틱스, 위치정보서비스, 유비쿼터스 등의 발전과 더불어 3차원 GIS의 활용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도시모델은 이러한 3D GIS의 근간을 이루며, 이에 도시모델의 획득과 지속적인 수정에 대한 수요 증가도 필연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도시모델 구축방법과 달리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도시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항공사진과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표면모델을 생성하고, 지상사진을 이용하여 건물의 정교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서울시립대학교를 실험대상지역으로 선택하여 전체 23개의 건물을 포함하는 27만 $600m^2$면적의 영역에 대한 도시모델을 구축하였다. 생성된 모델에 대한 검사를 통해 건물과 지표면의 기하학적 구조가 정확하게 재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건물의 외벽 texture는 영상 촬영 시 나무 등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 주변 지물들에 의한 그림자 영향 등으로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3차원 모델 구축에 있어 texture 추출에 대한 알고리즘 개선이 요구되었고, 건물 내부도 모델링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활용방안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

  • PDF

USN 기반 지상시설물 관리를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Ground Facility Management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 정진석;김의명;이용주;남상관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519-52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기초적인 연구수준에 머물러 있는 지상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반 지상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용은 도시내 지상시설물중 USN 기반으로 관리가 가능한 대상 시설물을 도출하고, 관리대상 지상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와 특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관리대상 지상시설물의 지능화 레벨을 분석하여 지능화 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위한 서비스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 PDF

u-City에서의 정보보안 설계 방안 (Design of Information Security in Ubiquitous City)

  • 윤석규;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7-4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 u-City) 건설시 고려해야 하는 정보보안의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u-City에 대한 정의, 개념 및 주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정리한다. 그리고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u-City 통합운영센터의 주요 구성요소 및 기능을 제시하고, 정보 수집, 가공, 교환시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 준수해야 하는 관련 법률을 분석하며 통합운영센터에서의 네트워크 보안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하여 통합운영센터에서는 Router/Switch, Firewall/VPN(Virtual Private Network),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의 3단계 보안을 적용해야 하며, 1단계에서는 비정상적 패킷의 유입 차단, 2단계에서는 서비스별 접근 통제, 3단계에서는 실시간 네트워크 침입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끝으로, 제시된 3단계 보안 방법론의 검증을 위하여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u-City에서의 효율적인 개인 정보보호 방안을 제시한다.

지자체 U-City 수준진단체계 평가지표 (Evaluation Index for U-city Status Diagnostic Assessment System based on Local Governments)

  • 이미영;신주호;이재용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0-28
    • /
    • 2016
  •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 U-City)는 도시건설에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되어 시민 삶의 질을 제고하고 도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한 도시의 개념을 내포한다.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U-City의 구성요소로 도시통합운영센터, 지능화시설, U-City 기반시설 등을 제시하나 구체적 기준이 부재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지자체들이 자의적 판단과 현실적 제약으로 U-City를 차별적으로 구축하고 있어 지자체 U-City의 질적 향상 및 품질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지난 1-2차 연구단계에서는 U-City의 구성요소인 유비쿼터스 계획, 기술, 기반시설, 서비스 수준진단목표로서 안정성, 연결성, 목적부합성, 발전성을 기반으로 전반적 평가항목들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3차 단계로 지역현실에 맞게 지자체의 U-City 수준을 진단하기 위해 갱신 및 시범 적용이 가능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지표를 단계별로 소개한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U-City의 스마트화를 위한 지속적인 발전 및 고도화를 촉진하기 위해 자생적인 지역단위의 U-City로 정착할 수 있고 U-City의 재활성화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u-Eco City에서의 정보보호 정책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Ubiquitous-Ecological City)

  • 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3-4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u-Eco(ubiquitous ecological) City에서의 정보보호 정책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양한 유비쿼터스 도시의 정의를 살펴보고 u-Eco City의 개념, 주요 서비스 및 추진 과제를 정리한다. 그리고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통합운영센터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센터에서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 보호, 데이터 보호, 망설비 보호와 관련된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기존 정보보호 알고리즘과 달리 u-Eco City에서 운영되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에서 정보의 수집, 가공 및 제공시 경량화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정보보호 기술(블록/스트림 암호화, 의사난수 생성기, 해쉬함수 및 공개키 암호화 등)이 요구되며 개인정보의 기밀성과 인증성을 보장해주기 위한 정책이 사전에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유비쿼터스 에코시티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Assess the Quality of Ubiquitous-Ecological Cities)

  • 김한샘;정연우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2호
    • /
    • pp.111-123
    • /
    • 2011
  • 유비쿼터스 에코시티(U-Eco City)는 첨단 IT기술을 도시공간과 접목시킨 유비쿼터스 도시(U-City)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Eco-City)의 개념이 융 복합된 새로운 도시패러다임이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처음 시도되고 있기 때문에 U-Eco City에 대한 개발목표, 계획안, 실시설계안, 기술 및 서비스 요소 등이 혼재하여 명확히 정립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U-Eco City의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U-Eco City의 도시 질과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외에서 논의가 미흡했던 U-Eco City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의 질을 달성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U-Eco City의 개념은 기존도시의 경제적 발전과 성장위주 개발방식에서 도시의 질적 환경과 지속성 차원의 복합적인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향후 도시개발에서 관리체계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평가체계는 의식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로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도시의 질적 측면은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시의 지속성 측면에서는 사회, 환경, 경제 모두 중요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그 중에서 환경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 도시개발시 우선요소로 안전성과 경제성을 둔 반면 현대에 들어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저탄소 녹색성장'과 같은 각종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평가체계를 기반으로 사례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실시설계안을 중심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안전성'과 '경제성' 부문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의식조사에서는 환경적 지속성이 중요시 된 반면 설계안에서는 아직까지 경제성장 위주의 개발계획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도시개발시 환경적 측면의 보완이 필요하며, 경제성장과 환경적 지속성간의 연계방안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