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방간호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5초

산욕기 산모의 유방간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Breast Care for Postpartum Mothers)

  • 송지아;허명행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8-27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postpartum breast care of mothers and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breast pain and engorgement by systematic review. Methods: Eight national and international databases were reviewed to retrieve and colle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 literature published up to March 2015.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elected the studies and performed data abstraction and validation.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Cochrane criteria. A meta-analysis of the studie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breast massage, along with routine breast care, resulted in a 3.52-point reduction in pain on a 10-point visual analogue scale. Meta-analysis of therapy with cold cabbage leaves and routine breast care showed a pain reduction of 0.54 points. Meta-analysis of cold cabbage leaf applic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versus cold compress therapy in the comparison group showed a pain reduction of 0.44 points. Meta-analysis of cold cabbage leaf application and routine breast care showed an engorgement reduction of 0.67 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12 articles showed that hot and cold compresses, breast massage, and cabbage application were effective for postpartum breast pain and engorgement.

간호대학생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Breast self-examination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박은희;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81-29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4월 12일부터 4월 26일이었고, 간호대학생 240명을 편의 추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통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유방자가검진 여부와 식행동이었고, 설명력은 14.2%이었다(F=19.53, 𝜌<.001). 간호대학생의 유방자가검진의 지속적인 수행을 도울 수 있는 교육과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간호대학생 스스로 올바른 식행동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도록 식생활을 평가하고,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Revised Piper Fatigue Scale의 구성타당도 : 한국여성 유방암 환자를 중심으로 (Construct Validity of th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 Lee, Eun-Hyun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5-493
    • /
    • 1999
  •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iper et al., 1998)은 미국에서 개발된 암환자의 피로를 측정하는 자가보고서 형식의 도구이다. 이 도구는 총 22문항으로 네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국인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Revised Piper Fatigue Scale의 구성타당도를 재평가하기 위함이다. 총 122명의 유방암 환자가 번역-역번역 과정을 거쳐 한국어로 번역된 Revised Piper Fatigue Scale에 응답을 하였고 그 자료는 요인분석 (principal axis analysis with oblique rotation)에 의해 분석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총 19문항으로 이루어진 네 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총문항의 Cronbach's alpha는 .93이었고, 도출된 네 요인들의 alpha는 .84에서 .91이었다. 한국어로 번역된 총 19문항의 Revised Piper Fatigue Scale(revised PFS-K)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한국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계속해서 도구 검증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 PDF

유방암 여성의 유방보존술 후 경험에 대한 임상 간호사의 인지 (Clinical Nurses' Interpretation of the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Women after Breast Conservative Operation)

  • 전명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84-291
    • /
    • 2007
  • Purpose: Even though the breast is not removed, women with a breast conservative operation(BCO) are suffering from the psychosocial distress comparable with mastectom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clinical nurses view essential nursing problems and nursing approaches to post operative breast cancer experiences. Method: To identify the clinical nurses's interpretation,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a case involving a woman struggling with breast cancer. The nurses'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manifest content analysis strategy to determine themes in problem identification and nursing care strategies. Result: The clinical nurses recognized that most of the patient's experiences originated from a psycho-social problem. Fifteen nurses(83%) interpreted the breast cancer woman's experience derived from her psychosocial problem. They identified the most effective nursing approaches for breast cancer women following surgery as counsel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 psychosocial skill including an empathic communication skill is essential for excellent nursing in post operative patient care.

  • PDF

건강행위이론의 사회문화적 적합성에 대한 논의;한인여성의 유방암 방사선 검사 행위와 관련하여 (An Examination of Theories of Health Behaviors for Guiding Research on Mammogram Screening Practices for Korean Immigrant Women)

  • 서은영
    • 종양간호연구
    • /
    • 제7권1호
    • /
    • pp.79-89
    • /
    • 2007
  • 연구 목적: 1980년대 이후 미국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 진단을 위한 방사선 검진율은 급속히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색 인종의 여성들은 여전히 조기 검진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유색인종 여성들의 낮은 검진율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건강행위이론을 이용한 관련 요인들이 연구되어 왔다. 이 논문은 미국 보건 의료관련 연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다섯 건강행위 이론을 유색 인종 여성, 특히 한국 이민 여성들의 유방암 조기검진 이행에 적용하기 위해 사회문화적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네 종류의 데이터 베이스(CINAHL, MEDLINE, PsycINFO, Sociological Abstracts)를 이용한 심층적 문헌 고찰을 통해 각각의 이론으로 유방암 조기 검진을 설명한 연구들을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이론들의 배경, 주요 요인, 그리고 유색인종의 유방암 조기 검진에서의 적용 연구 등을 분석하였다. 결론: 서양 문화권 속에서 개발된 각 이론들이 한국적 정서와 행동을 설명하는데 명확한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들을 면밀하게 재분석하여 한국적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의 도출이 요구된다.

  • PDF

유방 마사지가 가임기 여성의 월경 전 주기적 유방통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eriodic breast massage on the cyclical mastalgia of fertile women before their menstrual period)

  • 강경애;이지아;허명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53-362
    • /
    • 2022
  • 본 연구는 주기적 유방 동통을 가진 가임기 여성에게 유방 마사지를 적용하여 유방 동통, 유방 경도, 유두 신전성, 유방 크기 및 유방의 혈액순환에 미치는 효과의 검증을 위한 무작위 통제군 전·후 실험 연구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M여성병원, C의료원, D시 소재의 백화점 및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모집한 주기적 유방 동통을 가진 여성 54명이었다. 실험 처치는 주기적 유방 동통이 있는 시기에 총 30분간 오른쪽과 왼쪽의 유방을 각각 15분씩 유방 마사지를 적용하였다. 실험 처치 후 실험군의 유방 동통(F=49.16, p<.001), 좌우 유방 경도(우측 t=-8.93, p<.001; 좌측 t=-10.34, p<.001), 좌우 유두 신전성(우측 t=3.58, p<.001 ; 좌측 t=4.66, p<.001), 좌우 유방 크기(우측 F=60.59, p<.001; 좌측 F=51.05, p<.001) 및 좌우 유방 혈액 순환 (우측 t=-1.30, p=.201; 좌측 t=-2.82, p=.007)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유방 마사지는 주기적 유방 동통이 있는 참여자의 유방 동통 완화, 유방 경도 완화, 유방혈액순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