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량지속함수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Hydrologic Analysis Methods fo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 Power Plant (소수력발전소의 수문학적 성능특성 분석)

  • Park, Wan Soon;Lee, Chul Hyung;Shim, Myung P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5
    • /
    • pp.1159-1166
    • /
    • 1994
  •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ology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and prediction of small hydro power plants(SHP). Rainfall data are characterized to estimate the flow duration curve of SHP, using the cumulative density function of Weibull distribution. The model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SHP is developed. Also,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Anheung Plant located in Han River basin are analyzed by using the developed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del is suitable to analyz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HP and to predict the primary design performance such as the design flowrate, capacity, rate of operation and annual electricity production of SHP.

  • PDF

Derivation of Flow Duration Curve and Sensitivity analysis using LSTM deep learning prediction technique and SWAT (LSTM 딥러닝 예측기법과 SWAT을 이용한 유량지속곡선 도출 및 민감도 분석)

  • An, Sung Wook;Choi, Jung Ryel;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4-354
    • /
    • 2022
  • 딥러닝(Deep Learning)은 일반적으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를 의미하는데, 이에 따른 결과는 데이터의 양, 변수, 학습모델의 학습횟수, 은닉층(Hidden Layer)의 개수 등 여러 요소로 인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장기유출 모형인 SWAT의 결과를 참값으로 LSTM모형의 매개변수인 은닉층 갯수와 학습횟수등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최적의 목적함수를 갖는 매개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유량지속곡선을 도출한결과를 SWAT의 결과와 비교해본 결과 매우 높은 상관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자원분야에서 인공신경망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Optimum Design Flowrate for Tunnel-Type Small Hydro-Power Plants (터널식 소수력 발전소의 최적 설계유량에 관한 연구)

  • 이철형;박완순
    • Water for future
    • /
    • v.24 no.1
    • /
    • pp.63-71
    • /
    • 1991
  • This study represents the methodology for feasibility analysis of small hydro power plants. Cumulative density function of Weibull distribution and Thi-essen method were adopted to beside flow duration curve at candidate sites. The performance prediction model and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 for tunnel-type small hydro power plants were developed. Eight candidate sites existing on Han river selected and surveyed for actual sites reconnaissanc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economical feasibility for these sites were analyzed by using developed model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design flowrates with the lowest unit generation cost for tunnel-type small hydro power plants were the flowrate concerning with between 20 % and 30 % of time ratio on the flow duration curve. Additionally, primary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design flowrate, effective head, capacity, annual average load factor, annual electricity production were estimated and discussed for surveyed sites.

  • PDF

Drought frequency analysis for multi-purpose dam inflow using bivariate Copula model (이변량 Copula 모형을 활용한 다목적댐 유입량 가뭄빈도해석)

  • Sung, Jiyoung;Kim, Eunji;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0-340
    • /
    • 2021
  • 가뭄의 특성상 시점과 종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준수문량을 설정하고 부족량과 지속기간을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상 수문량은 강우나 유출량을 사용할 수 있지만, 두 성분간 지체와 감쇄효과로 인하여 빈도해석의 결과는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어, 사용 목적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가뭄빈도해석은 강우를 기반으로 지속기간과 심도를 정의하여 빈도를 해석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왔지만, 기본적으로 강우의 간헐적 발생특성과 체감도의 한계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유입량의 Run 시계열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황을 기준유량으로 활용하여 가뭄의 시점과 종점에 대한 가뭄사상을 추출하고 지속기간과 누적부족량을 계산하여 가뭄빈도해석의 변수로 설정하였다. 두 변수간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Copula 함수를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소양강댐('74-'19) 유입량, 충주댐('86-'19) 유입량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여, 두 유역의 유입량의 추세분석을 통해 시간의존성을 파악하였다. 유황분석에 사용되는 분위량중 평수량을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각 년별 최대 지속기간과 누적부족량을 추출하였다. Copula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기 전에 지속기간에는 GEV, 누적 부족량에는 Log-normal 분포를 적용해 단변량 누적확률분포를 계산하여 재현기간을 도출하였다. 이변량 빈도해석에 Clayton Copula 함수를 적용하여 가뭄빈도해석을 진행하였고, Copula 이변량 재현기간과 SDF곡선을 도출하였다. Clayton Copula를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의 결과로 소양강댐의 가장 극심한 가뭄은 1996년으로 단변량 재현기간은 지속기간 기준 9.11년, 누적부족량 기준 17.26년, Copula 재현기간은 141.19년 이며 충주댐의 가장 극심한 가뭄은 2014년으로 단변량 재현기간은 지속기간 기준 17.76년, 누적부족량 기준 18.72년, Copula 재현기간은 184.19년으로 단변량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재현기간보다 Copula 재현기간이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Run 시계열을 바탕으로 한 기준유량의 임계값 기준 Event 산정과 Copula를 이용한 빈도해석은 가뭄분석에 이용되는 자료의 상관관계와 분포특성을 재현하는데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이를 미루어 보아 Copula 함수를 이용한 가뭄빈도해석의 재현기간은 보다 현실적인 재현기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임계값의 조정을 통해 가뭄빈도해석의 변수의 양이 늘어나면, 보다 정확도 높은 재현기간을 도출하여 수문학적 가뭄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the Critical Duration According to Hydrologic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 (도시유역에서 수문학적 특성에 따른 임계지속기간의 변화 연구)

  • Lee, Jung-Sik;Shin, Chang-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5 no.3 s.18
    • /
    • pp.29-39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of critical duration according to hydrologic characteristics in urban areas. RRL, ILLUDAS, SWMM, and SMADA urban runoff models were applied to the Seongnae and Banpo watershed and experiment area of the Dong-Eui University. Also, hydrologic characteristics such as temporal pattern of rainfall, rainfall intensity formula,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return period, and urban runoff model were used to simulate the critical duration of the tes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ype of temporal pattern of rainfall which causes maximum peak discharge in urban area has resulted in Huff's 4th quartile distribution. (2) The critical duration in urban areas were not influenced by hydrological factors except urban runoff model. (3) Peak discharge and critical duration in urban areas were influenced by the urban runoff model, and the SWMM model using Huff's 4th quartile distribution shows maximum critical duration.

Analysis of the Hwacheon dam inflow using hydrological sensitivity method (수문학적 민감도분석기법을 이용한 화천댐 유입량 분석)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6-276
    • /
    • 2020
  • 공유하천유역에서의 수자원 관리는 두 국가의 제도적 및 기술적 차이로 인하여 다른 유역에서의 수자원 관리보다 복잡하고 어렵다. 특히 두 국가 사이의 공유하천에서의 유량의 변화는 실질적인 측정을 이용하여 면밀하게 측정됨으로써 신뢰도 높은 자료를 통해 지속적으로 분석되어야 궁극적으로 공유하천에 대한 두 국가 간의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북한강 유역의 상류유역은 북한에 속해 있고, 특히 임남댐 건설 이후 화천댐 유입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이에 대한 물순환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물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강우-유출모형을 사용하고 있어 모형의 구축 및 매개변수의 보정과 검증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기상자료만을 이용하여 유량의 변동성분을 정량화할 수 있는 수문학적 민감도 분석기법을 화천댐 상류유역에 적용하고 화천댐 유입량에 대한 1967년~017년 동안의 변동량을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다양한 변동점 탐색기법을 사용한 결과 1999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동점으로 탐색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수문학적 민감도 분석을 5가지의 Budyko 함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18.99 억 ㎥/y의 유입량 감소가 임남댐 건설로 인하여 발생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 연구자들의 화천댐 유입량 감소량에 비해 다소 크게 산정된 결과이며, 이는 2000년대 이후 증가된 강우량 및 화천댐유입량의 감소가 주된 영향을 미친 결과로 추정된다. 향후 월별, 계절별 단위의 분석이 추가로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미래의 기후변화 상황을 고려한 예측을 통한 실효성 있는 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for Small Hydro Power at Exist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물관련 설비를 이용한 소수력발전 성능분석)

  • Park, Wan-Soon;Lee, Chul-Hy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134-137
    • /
    • 2008
  • A methodolog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alysis for small hydropower at exist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has been studied. It consists of two main parts; flow duration function which can describe exist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performance analysis to estimat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 power plants. The outpu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or Mi-ho reservoir, Sum-kang low dam, Sun-cheon sewage treatment plant and Nam-dong purification plant were analyzed, using developed model.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edicted data show that the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measured results. Also,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ed model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analyze the output characteristics for small hydro power at exist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 PDF

Seepage Behavior with Unsaturated Soil-Water Characteristic in Reclaimed Deep Excavation Area (해안매립지 대심도 굴착지역의 불포화 함수특성에 따른 침투류 거동)

  • Shin, Bang-Woong;Lee, Heung-Gi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4
    • /
    • pp.47-58
    • /
    • 2005
  •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is conducted for various useful facility and underground structures and deep excavation technology for reclaimed area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he seepage flow and behavior of phreatic line in reclaimed area was predominated by transient flow caused by tidal action. Also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relation is most important factor for transient flow analysis, therefore the research about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is strongly required. In this paper, laboratory tests (pressure cell, desiccator, and tensiometer test) and theore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such as air-entry value, metric suction, and residual water content. And the feasibility of prediction method for soil-water characteristic are presented by transient seepag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analysis results and in-situ measured seepage flux in LNG TK-00 storage tank. Based on the result of laboratory and theoretical analysis, Fredlund and Xing's method provide to work out well for reclaimed ground soils. Also, the transient analysis result is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for design of deep excavation work in coastal and reclaimed ground.

  • PDF

Application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based Intensity-Duration-Quantity Curve for Unagaged Basin Flood warning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를 위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의 활용)

  • Kim, Jingyeom;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5-645
    • /
    • 2015
  • 기존 홍수예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절차는 관측되는 강우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량을 계산하고 댐 저수량과 현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천의 수위와 유량을 판단한 뒤 홍수예보 및 경보를 발령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형의 구동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한 의사결정 시간의 단축, 모형의 성능에 의존하는 홍수예측 결과 등의 단점이 존재하며, 관련 전문가가 상주하며 홍수 유무를 판단하고 상황을 전파해야하는 인적 재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기반의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을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 홍수예보에 활용하는 기법을 평가하였다. 계측된 유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모형의 검보정을 실시하고 하천의 예경보 홍수량에 준하는 한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때. 다양한 지속시간의 강우를 적용하였으며 토양함수상태에 따른 IDQ 곡선을 산정하여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에 대비할 수 있는 홍수예보 기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홍수예경보지점에 적절한 IDQ 곡선을 보유하게 된다면 비전문가도 신속한 홍수예경보 의사결정이 가능하여 각 지자체와 유관기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muddy water generation status using R (R을 이용한 흙탕물 발생현황 분석)

  • Park, Woon Ji;Oh, Seung Mi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0-350
    • /
    • 2022
  • R은 통계 및 빅데이터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언어로, 통계와 그래픽스에 관련된 기능을 확정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수자원 분야의 연구에서 그 활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다양한 수자원 관련 R 패키지가 발표되고 있다. 이중, 미국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 USGS)이 개발한 EGRET은 수질 및 유출량 자료의 장기 추세 변화 분석을 위한 패키지로 R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구동되며, 분석·처리한 데이터에 대하여 광범위한 그래픽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여 탐색적 자료 분석에 매우 효과적인 도구이다. 특히, EGRET 패키지는 농도와 유출 사이의 관계 특성, 수집된 자료의 계절성 존재 및 특성, 점진적 또는 급격한 경향의 존재를 검토할 수 있는 그래픽 결과를 제시하며, 가중 회귀(Weighted Regressions on Time, Discharge, and Season, 이하 WRTDS) 모델을 적용하여 농도와 부하의 상태와 경향을 특성화한다. 시간, 유량 및 계절에 대한 WRTDS 모델은 농도 및 부하의 상태와 경향을 특성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수질 데이터 세트의 분석 방법으로, 근본적으로 탐색적 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다양한 유형의 트렌드 시나리오에 민감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선형 또는 2차 함수형에 맞지 않을 수 있는 시간적 추세를 탐지하여 설명할 수 있고, 불규칙한 간격의 자료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 상류의 지속적인 흙탕물 발생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자운지구의 자운천을 대상으로 흙탕물 발생 현황을 분석하기 R을 이용하여 탐색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EGRET 패키지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2016년 4월 - 2021년 7월까지 수집된 191개의 SS 자료와 인근 유량측정망의 유량자료)의 유량과 SS 농도 간의 관계, 시간에 따른 SS 농도 분포, SS 농도의 월별 특성 분석 및 유황별 SS 농도 변화 등을 검토하였으며, WRTDS 모델로 SS와 부하량을 예측하고 검토하여 자운천 유역의 흙탕물 부하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