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량조절

Search Result 63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고층 아파트의 최적 열공급 시스템

  • 민만기;최영돈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3
    • /
    • pp.247-254
    • /
    • 1992
  • 이 글에서는 고충아파트에서 층간 열공급의 불균일성이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였고 이 불균일 성을 해소시키는 새로운 열공급 설비 기술을 설명하였으며 그 내용들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온수 난방 고층아파트의 층간 열공급의 불균일성은 온수공급관과 회수관의 정수압력의 차 이에 의한 유동저항에 의해서 발생한다. (2) 다구역배관망 시스템은 온수공급관과 회수관의 정수압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열공급 불균일성의 해소에 거의 기여하지 못한다. (3) 연속난방방식에서 서모스타트의 설치는 각세대의 열공급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에너지 절 약면에서 가장 유리한 방식이나 고장의 위험성이 가장 크며, 운전의 미숙에 의한 열공급 제어의 불균일성을 초래하기 쉬우며 외기온도가 매우 낮으면 층간 열공급제어가 되지 않을 수 있어서 자동유량조절밸브를 병용하거나 온수공급압력을 충분히 크게 할 필요가 있다. (4) 자동유량조절밸브에 부착하면 단구역 배관망 시스템에서도 층간의 유량공급의 불균일성을 없앨 수 있으나 순환 펌프유량이 부족하면 밸브의 자동유량조절 기능이 상실된다. (5) 수동유량조절밸브는 TAB에 의해서 충간의 유량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펌프 성능변화 관부식 등이 발생하면 TAB를 다시 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밸브의 고장이 적고 유 동저항을 적게 발생시키며 한 개의 밸브로 조절할 수 있는 유량의 범위가 큰 점에서는 가장 유 리하다.

  • PDF

Effect of Control Method and Plunger Profile of Variable Valve on Flow Control of a Liquid Rocket Engine (액체로켓엔진의 유량조절에 가변밸브의 조절기법과 플런저 형상이 미치는 영향)

  • Lee, Joong-Youp;Huh, Hwa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5 no.5
    • /
    • pp.35-47
    • /
    • 2011
  •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flow control valv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rust and O/F control of liquid rocket engines, have been analyzed by the AMESim simulator modeling. The speed control method was proposed for the control of the flow valve equipped with a BLDC motor.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systematical application as well as the performance of the speed control method. Moreover, the speed control method for BLDC motor is much simpler than the P control method in complex flow systems. With the speed control method, the control flow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plunger shapes. Consequently, same plunger shape proved to be more efficient in the mixture ratio control operated by two flow valves. It was also shown that the appropriate modification of plunger shapes could reduce the mixture ratio perturbation by 0.5%.

The Development of Discharge Control Apparatus in Unsteady Flow for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s in Detention Basin with Side Weir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유량조절장치 개발)

  • Hong, Sang-Jin;Kim, Seo-Ju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4-314
    • /
    • 2011
  • 강변저류지는 하천변에 위치한, off-line 형 치수구조물로 하천의 수위 변화에 따라 저류량이 변한다. 그러므로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는 부정류 흐름 상태를 재현하여 모의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는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주로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1차원 부정류 계산 결과에 대한 정확도 검증 없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검증하고 보완할 수 있는 부정류 수리실험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류 유입수문곡선을 재현할 수 있는 부정류 유량조절장치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유량조절장치의 재현 능력을 검증하고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분석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부정류 수리실험은 정규분포형 수문곡선과 이중 첨두를 가지는 수문곡선 및 다양한 첨두 지속시간을 갖는 수문곡선 형태에 대해 유량조절장치의 재현 능력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개발된 유량조절장치의 재현 수문곡선은 첨두 홍수량을 기준으로 약 1 % 이내의 오차를 보여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향후 강변저류지의 홍수 조절효과 분석에 사용한다면 좀 더 현실적이고 정량적인 치수능력 평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ensitivity according to Design factors in Detention Basin with Side Weir (강변저류지 설계인자별 유량계수의 민감도 분석)

  • Hong, Sang-Jin;Kim, Seo-Jun;Lee, Jin-Ho;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3-153
    • /
    • 2011
  • 강변저류지 설계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의 Storage 기법이다. HEC - RAS의 Storage 기법을 이용할 경우 설계자는 유입부 설계제원과 저류용량 외에 두 개의 매개변수를 결정해 주어야 한다. 하나는 하천의 조도계수이며, 다른 하나는 횡월류 위어의 유량계수이다. 그 중 횡월류 위어 유량계수는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저류량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저류량을 결정하기 위한 유량계수는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산정식들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횡월류 유량계수가 동일한 흐름 조건에서도 산정식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설계자가 어떤 유량계수를 선택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발생 가능한 유량계수의 범위를 결정한 후 설계 인자별로 유량계수의 변화에 따른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량계수에 따라 크게는 최대홍수량 대비 약 5 ~ 6%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가장 작게 산정된 홍수조절효과의 범위가 약 15 ~ 20%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산정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유량계수를 적용하여 보수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ultipurposed Detention Pond Design for Best Management Practice in Urban Watershed Using SWMM 5.0 (SWMM 5.0을 이용한 도시 소유역 다목적 저류지 BMPs 설계)

  • Park, Woong-Seo;Jang, Suk-Hwa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6-120
    • /
    • 2007
  • 도시 지역 소규모 단지 개발 후 유출량 증가로 인한 하류지역의 첨두유량의 조절은 도시 호우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 대상중의 하나이다. 최적관리를 위한 단지 내 유수지는 오리피스와 위어를 이용하여 높은 첨두율을 개발전의 첨두유량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 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 개발에 따른 단지 내 다목적 저류지를 설치하여 첨두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오리피스와 위어가 설치된 저류지를 어떻게 설계하는지 검토하였다. 적용 대상은 전형적인 도시소유역 단지개발지역에 적용하였다. 저류지는 재현기간 2년 10년 그리고 100년 설계 강우에 대한 첨두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에 따른 예민도 분석을 실시하여 유출량의 증가와 하류단에서 나타나는 첨두유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설계 저류지 모의를 위하여 SWMM 5.0을 사용하였다.

  • PDF

Flood Control Effects by Parallel Reservoirs System Operation (병렬저수지 연계에 의한 홍수조절효과)

  • Ryu, Jae-Uk;Choe, Hyeon-Il;Ji, H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42-345
    • /
    • 2010
  • 본 연구는 인접한 저수지 간의 연계운영을 통한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저수용량 공유기법 개발의 일환으로 영주댐과 안동댐 및 임하댐의 병렬저수지 시스템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홍수조절에 의한 병렬저수지의 연계운영기법으로서 병렬저수지 시스템인 영주/안동/임하댐 유역에서 홍수시 영주/임하댐의 저수량을 안동댐으로 전환시켜 영주/임하댐의 홍수조절능력을 제고시키고 안동댐의 저수량을 확보시켜 용수공급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최적화계수(유량전환비:a)는 영주댐의 경우 1999년 9월 22일 ~ 26일 호우, 태풍 루사 및 태풍 매미일 때 모두 a=1.000, 임하댐의 경우 1999년 9월 22일 ~ 26일 호우, 태풍 루사 및 태풍 매미일 때 각각의 유량전환비는 $a_{1999}$=0.135, $a_{2002}$=0.372 및 $a_{2003}$=0.420으로 산정되었다. 영주댐에서 안동댐으로 그리고 임하댐에서 안동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유량은 실제 호우적용시 전환유량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량전환시 댐하류 안동, 지보, 달지지점에서 홍수 조절효과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s according to Discharge Coefficient Change in Designing Washlands (강변저류지 설계시 유량계수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Hong, Sang-Jin;Kim, Seo-Ju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53-1057
    • /
    • 2010
  • 최근 이상홍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홍수방어대책으로 강변저류지 설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강변저류지는 하도에 집중된 홍수량의 일부를 하천변에 위치한 저류지로 배제시킴으로서 저류지 하류지역에 부담되는 홍수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수리구조물이다. 그러므로 강변저류지의 설계에 있어서 홍수조절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는 월류제의 위치, 폭, 높이와 본류 수위변화에 따라 변하는 월류량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월류량 산정을 위한 적절한 유량계수 선정 방법 및 범위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강변저류지의 설계 및 치수능력평가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강변저류지 월류제의 횡월류 유량계수 산정 방법 및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변저류지 설계에 적용 가능한 횡월류 유량계산식들과 유량계수 산정식들을 조사하여 월류량 산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1차원 부정류 수치 모의를 이용하여 실제 설계 사례를 기초로 유입부 제원과 본류 수위를 변화시키면서 횡월류위어의 유량 계수와 월류량을 산정 및 비교 분석 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와 강변저류지의 부정류 수리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좀 더 정확한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의 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ultipurposed Detention Pond Design for Improve Watershed Management

  • Park, Dae-Ryong;Jang, Suk-Hwan;Roesner Larry 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80-1884
    • /
    • 2006
  • 도시 지역 개발후 하류지역에 유출량의 증가로 인해, 첨두유량의 완화는 도시 호우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 대상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설계기준의 호우에 대해서 개발지역의 첨두유량이 개발전의 첨두유량을 넘지 않도록 설계한다. 유수지는 오리피스와 위어를 이용하여 높은첨두율을 개발전의 첨두유량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비싼 토지비용 때문에 한국에서 도시지역의 유수지 사용은 그렇게 일반적이지 않다. 따라서, 많은 도시 지역이 개발로 인한 유량의 증가를 겪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한국의 울산 화봉지역의 11 ha 소유역에서 첨두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어떻게 유수지와 오리피스와 위어를 설계하는지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새로 개발된 한국의 도시지역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지역으로 고려됐으며, 유수지는 2년 빈도, 10년 빈도 그리고 100년 빈도의 설계 강우에 대한 첨두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설계 유수지 모의를 위하여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의 윈도우 최신 버전인 5.006a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얼마만큼의 유수지 면적이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제시하려 하였다.

  • PDF

Numerical Study of Fluidic Device in APR1400 Using Free-Surface Model (자유수면모델을 활용한 APR1400 유량조절장치의 수치해석 연구)

  • Lim, Sang-Gyu;You, Sung-Chang;Kim, Han-G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7
    • /
    • pp.767-774
    • /
    • 2012
  • A fluidic device (FD) has been adopted in the safety injection tanks (SITs) of APR1400. A flow control mechanism of the FD was used to vary the flow regime in the vortex chamber corresponding to the SITs water level. The flow regime in the vortex chamber has a different pressure loss from low to high in accordance with the SITs water level. Nitrogen at the top of the SIT could be released owing to inertia of discharge flow when changing from a high flow rate to a low flow rate. This phenomenon is important to design improvement perspective because it can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FD. This paper shows a result of a preliminary numerical study to obtain the transient data related to air release in the flow turn-down period using a two-fluid free-surface model provided from ANSYS CFX 13.0. In conclusion,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FD, though a small quantity of air is released during the flow turn-down period.

Flood Control Effects by Water Transfer in Parallel Reservoirs (유역변경방식에 의한 병렬저수지 시스템의 홍수조절효과)

  • Jang, Kwang-Jin;Yeo, Woon-Ki;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19-323
    • /
    • 2008
  • 본 연구는 인접한 저수지 간의 연계운영을 통해 홍수조절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저수용량 공유기법 개발의 일환으로서 안동댐과 임하댐의 병렬저수지 시스템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홍수조절에 의한 병렬저수지의 연계운영기법으로서 홍수시 임하댐의 저수량을 안동댐으로 전환시켜 임하댐의 홍수조절능력을 제고시키고 안동댐의 저수량을 확보하여 용수공급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임하댐의 유입량 중 안동댐으로 전환되는 유량비를 최적화계수 a로 두고 재현기간별로 유량전환비를 산정한 결과 최적화계수로 제안한 유량전환비 a는 재현기간 T=50년일 때 $a_{50}=0.310$, T=80년일 때 $a_{80}=0.185$, T=100년일 때 $a_{100}=0.130$, T=150년일 때 $a_{150}=0.035$로 산정되었으며, T=200년일때는 유량전환에 의한 홍수조절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계산결과는 홍수규모가 클 경우에 안동댐 저수량(위) 증가로 인하여 임하댐의 유량전환비가 감소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유량전환비가 거의 0이 될 경우는 홍수규모가 재현기간 T=200년 빈도 이상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한 홍수조절효과는 임하댐의 경우 재현기간 T=50년 일 때 4.1%, T=80년일 때 2.8%, T=100년일 때 2.1% 및 T=150년일 때 0.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동댐의 경우 재현기간 T=50년일 때 14.4%, T=80년일 때 8.6%, T=100년일 때 6.0% 및 T=150년일 때 1.6%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