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량제어

검색결과 784건 처리시간 0.03초

파워 스티어링용 베인 펌프 유량 제어부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Flow Control Valve Attached to Vane Pump for Power Steering)

  • 이윤태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87-95
    • /
    • 2000
  • The numerical analysis and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develop the design program for the flow control valve attached to the vane pump for power ste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flow rat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the experiments and the nume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in factors affect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flow rate are the diameter of big and small rod of the spool. (2) the cut off is mainly affected by the main spring constant, the initial displacement of main spring and the small diameter of the spool. (3) the dropping slope characteristics are decided by the chamfer of spool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pool.

  • PDF

KSTAR 연료주입계 Piezoelectric Valve 및 제어기 개발

  • 송재인;김영옥;김광표;추용;박갑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5-205
    • /
    • 2012
  •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KSTAR) 장치는 국내 유일의 초전도 자석을 이용한 핵융합 연구 장치로서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생성하여 차세대 에너지원인 핵융합 에너지를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플라즈마를 생성부터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소 동위원소를 토카막 내부로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소동위원소를 "연료"라 부르며, 이 연료를 토카막 내부로 공급해 주는 시스템을 연료주입 시스템(Fueling System)이라고 한다. KSTAR에서는 토카막 내부로 고속의 연료 주입이 필요하고 정밀한 양의 연료를 공급하는 밸브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밸브를 제어 할 수 있는 제어기를 필요로 한다. 위의 사항에 적합한 피에조 밸브(Piezoelectric Valve)는 2 msec 이내의 개폐시간과 500 Torr ${\ell}$/s 이상의 유량을 흘려줄 수 있는 피에조 밸브로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전압(0~250 V)에 따라 변위의 양에 비례하여 연료가 진공용기 내로 유입된다. 압전소자의 변위는 최대 140 ${\mu}m$로 최적화되어 있어야 하며, 정전용량(Capacitance)는 30~40 nF이어야 한다. 또한 소자에 힘(Force)를 가해 최대 7 N으로 136 ${\mu}m$의 변위를 가진 소자를 사용해야 한다. 피에조 밸브의 특성으로는 아날로그 신호로 작동이 되어야 하며, 유량신호를 피드백하여 밸브의 구동 전압을 정밀하게 제어 되어야 한다. 피드백 제어를 위해 압력센서는 XCS-190 Series를 사용하여 낮은 유량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제작하였으며, 고전압이 유기 되었을 때 제어기를 보호하기 위한 정션박스를 설치하였다. 밸브 제어기는 피에조 밸브의 개방 속도를 높이기 위해 밸브 구동 전압을 순간적으로 높이는 POP 전압을 생성하는 기능과 유량 신호를 피드백해서 밸브 구동 전압을 정밀 제어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어장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제어회로의 전원용 +15 V DC와 밸브 구동용 +250 V DC 출력용의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펄스 및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Master Programmer unit), Pop 전압과 피드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Valve controller unit로 제작 되었다. 피에조 밸브와 제어기는 상호 작용하여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특성 실험을 진행하여야 하며, 진공상태에서 Lack의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현재 개발 제작된 밸브의 진공누설시험 및 특성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KSTAR 5차 캠페인에 적용할 계획이다.

  • PDF

퍼지 PI+D 제어기를 이용한 터보제트 엔진의 연료유량 제어 (Fuel Flow Control of Turbojet Engine Using the Fuzzy PI+D Controller)

  • 정병인;지민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49-45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연료유량이 제어 수단인 터보제트 엔진에 대해 압축기의 서지를 방지하면서 가속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퍼지이론과 PI+D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터보제트 엔진 제어기를 설계하였고 Mamdani의 추론법을 적용하여 추론하고, 비퍼지화는 무게 중심법을 사용하였다. 퍼지추론 결과는 터보제트 엔진의 가감속시 서지와 flame-out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 유량 제어 입력으로 사용되고, 신속하고 안전하게 원하는 속도로 수렴할 수 있도록 제어기를 설계한다. MATLAB을 사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제어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f Thrust Control Performance Improvement for Hybrid Rocket Applications)

  • 최재성;강완규;허환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 제어 연소실험을 통하여 추력 제어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력 제어 명령에 따라 니들밸브와 결합된 스텝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산화제 유량을 조절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이브리드 로켓 연소실험에서 사용된 산화제로는 기체산소($GO_2$)를 사용하였으며 추진제는 PE(Polyethylene)와 PC(Polycarbonate)를 사용하였다. 추력 제어 연소실험 초기에 발생되었던 추력섭동(Thrust Oscillation) 현상의 개선과 낮은 응답속도의 향상을 위해 연소실험 과정에서 산화제 배관의 유속 변화를 측정하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보완한 연소 실험을 통하여 추력명령의 ${\pm}1$ N 이내에서 추력이 안정적으로 제어되었다.

적응형 TMS 면적식 유량계 (Adaptive TMS Variable Area Flow Meters)

  • 곽두성;김온;조기량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90-59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적응형 TMS(굴뚝배출가스 감시시스템) 면적식 유량계를 제안하였다. 이 유량계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 테이퍼관 내부에 흐르는 유량의 증감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플로트의 위치를 테이퍼관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광센서로 검지하고, 설정한 값에 대응한 가스 유량이 가스 분석기에 인입되도록 실시간으로 서보모터 구동회로를 최적 제어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제안한 유량계는 테이퍼 관에 흐르는 유량을 단계별로 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유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튜브라인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신경망 튜우닝에 의한 유량계통 동력 제어용 다변수 2-자유도 PID의 제어기 설계 (Design of Multivariable 2-DOF PID for Electrical Power of Flow System by Neural Network Tuning Method)

  • 김동화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78-84
    • /
    • 1998
  • 발전소나 화학플랜트의 급수 및 순환수 계통은 물론 건물의 공조설비 유체계통, 정수 또는 폐수설비에서의 원수유량 및 약품 주입제어 등과 같은 유체계통은 대부분 밸브와 동력 펌프를 이용해 유량 제어를 한다. 따라서 이들 유체계통의 제어방법 및 정밀도에 따라 그 시스템의 성능 및 에너지 절약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금까지 이들 계통은 주로 PI제어기를 이용하였으나 이 제어 방법으로는 루프간의 간섭현상으로 정밀하게 유량부하를 제어 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체계통 동력부하 설비를 다변수로 구성하여 2-자유 PID제어를 적용하고 신경망을 이용해 튜우닝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정밀하게 제어 할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설정치를 잘 추종하고 외란에 대해서는 강인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高溫高壓 流體試驗設備의 運轉制御에 대한 技術的 考察

  • 김병구;정장환
    • 기계저널
    • /
    • 제23권5호
    • /
    • pp.349-354
    • /
    • 1983
  • 본 시험설비에서 수행되는 각종 시험마다 시험조건, 즉, 온도, 압력 및 유량등이 크게 다를 뿐만 아니라, 고온고압에 수반되는 제반 문제들이 뒤따름으로서 이들 변수의 측정 및 제어에 있어서는 특별한 어려운 점이 뒤따른다. 본 해설에서는 고온고압 유체시험설비에서 수행되는 각종 시험의 주요 변수가 되는 온도, 압력 및 유량등 시험변수의 측정 및 제어방법과 운전경험등을 기술코저 한다.

  • PDF

인공위성 자세제어를 위한 Direct Acting 정밀 유량 제어 밸브내의 유동해석 (Flow Analysis in Precision Control Valve for Satellite Attitude Control)

  • 배영우;오주영;이재우;이성택;변영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27-43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인공위성 소형추력기의 핵심 부품인 유량제어용 밸브내의 유동현상을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밸브 내에서 직접적인 유량 제어를 담당하는 Plunger에 작용하는 힘을 계산하였고, Plunger의 개폐에 소요되는 힘을 최소화 시키는 밸브의 설계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PDF

P/R Coater공정용 Exhaust Flow Controller의 개발 (Development of Exhaust Flow Controller for P/R Coater Process)

  • 박찬원;김현식;주용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185-218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photo resister를 도포하고 제거하는 coater와 developer 장치에서 도포막의 균일화를 위한 배기장치의 정밀한 유량제어기술을 소개 하고자 한다. 개발된 배기 제어장치는 차압식 유량계로서 차동 압력센싱 방식을 이용하고 One chip microprocessor로 A/D변환과 피드백 서보제어로 장치를 구현하였으며 제어 유량은 최대 2000${\ell}$/min로서 개발 후 성능과 안정성 평가가 우수하여 실제장비에의 장착이 가능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제어를 위한 산화제 유량제어 연구 (Oxidizer Flow Rate Throttling for Thrust Control of Hybrid Rocket)

  • 김계환;문근환;김진곤;문희장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3-98
    • /
    • 2014
  • In this study, control of oxidizer mass flow rate and verification of control system were performed for hybrid rocket thrust control application. Oxidizer flow control system consists of ball valve and stepping motor where gaseous oxygen was used for oxidizer at feeding pressure of 10, 20 and 30 bar.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the oxidizer mass flow rate showed a relatively linear increment as ball valve open angle increases regardless of feeding pressure.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oxidizer flow rate was kept almost constant at each sequence of flow control with ball valve during the 20 seconds of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