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동적 공간

Search Result 5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mparative Analysis of Wind Flows in Wind Corridor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 SEO, Bo-Yong;JUNG, 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2
    • /
    • pp.75-88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wind flows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 three-stage analysis was performed, starting with a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local wind direction (synoptic wind) and local wind flow. In the second stage the study area was subdivided into districts and suburban districts to analyze the relative change of local wind flow. In stage three, the formation of wind corridor for local wind flow, wind flow for the entire urba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flows were verified comparatively using KLAM_21. Three results are notable, the first of which is a low correlation between synoptic wind of a region, and local wind, flow in terms of meteorology. Secondly, observations of local wind flow at five downtown districts and two suburban districts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e wind directions at each measurement point.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eas neighboring the measurement points could affect the local wind flow. Thirdly, verifying the results analyzed using KLAM_21, compared to Atomatic Weather System(AWS) measurement data,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ling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local wind flow in a city performs a spatial function and role in ameliorating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This indicates that, when an urban planning project is designed,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could be ameliorated effectively and sustainably if local wind flow caused by immediat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s confirmed systematically and techniques are intentionally applied to connect the flows spatially within areas where urban heat islands occur.

직사각형 전도성 장애물을 갖는 밀폐공간내에서의 자연대류

  • 추홍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29-234
    • /
    • 1997
  • 밀폐공간내에서 일어나는 자연대류 열전달은 태양열 집열판, 연료탱크, 원자로의 핵반응로, 초전도 자성체의 냉각 및 건물이나 방의 효율적인 열설계, 화재시의 안전대책등 공업적으로 그 응용성이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생활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밀폐공간내에 경계층 유동이 존재할 경우, 이 경계층 흐름은 일반적으로 외부유동에서의 경계층 유동과는 달리 코어영역(Core region)에서의 흐름과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략)

  • PDF

A Numerical Prediction of Contamination Behavior in a Room under the Turbulent Flow and Pressure-Based Boundary Conditions (난류유동 압력경계조건을 가진 실내공간에서의 오염물질 거동에 관한 수치적 예측)

  • 이재헌;노홍구;김광영;오명도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5
    • /
    • pp.1272-1281
    • /
    • 1990
  • A numerical study to predict the contamination behavior in a room being contaminated has been performed. The room with one inlet and three exits, which maintained same pressure at the ceiling, has been chosen as test model. Six sets of calculation have been performed, for one, two or three contamination sources of 1*10$^{-4}$ kg$_{c}$/s strength at two different velocities(0.2m/s, 20m/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near the first source increased by every 20%-30% of the maximum concentration for each increase of the contamination source.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Spatial Patterns of Floating Population in Seoul City (서울시 유동인구 분포의 공간 패턴과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지리가중 회귀분석)

  • Yun, Jeong Mi;Choi, Don J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3
    • /
    • pp.77-84
    • /
    • 2015
  • The ke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spatial regression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floating population. To this end, global and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seoul floating population survey(2014) data. The result of Moran's I and Getis-Ord $Gi^*$ as used in the analysis derived spatial heterogeneity and spatial similarities of floating population pattern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ge. Accordingly,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was appli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ttributes and population floating. Urbanization area, green tract of land of micro land cover data were aggregated in to $400m{\times}400m$ grid boundary of Seoul. Additionally public transportation variables such as intersection density transit accessibility, road density and pedestrian passage density were adopted as transit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the GWR model derived more improved results than Ordinary Least Square(OLS) regression model. Furthermore, the spatial variation of applied local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floating population distributions.

Analysis of Floating Population in Schools Using Open Source Hardware and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딥러닝 기반 객체 탐지 알고리즘을 활용한 교내 유동인구 분석)

  • Kim, Bo-Ram;Im, Yun-Gyo;Shin, Sil;Lee, Jin-Hyeok;Chu, Sung-Won;Kim, Na-Kyeong;Park, Mi-So;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1
    • /
    • pp.91-98
    • /
    • 2022
  • In this study, Pukyong National University's floating population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Raspberry Pie, an open source hardware, and object detection algorithms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After collecting images using Raspberry Pie, the person detection of the collected images using YOLO3's IMAGEAI and YOLOv5 models was performed, and Haar-like features and HOG models were used for accuracy comparis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mallest floating population was observed due to the school anniversary. In general, the floating population at the entrance was larger than the floating population at the exit, and both the entrance and exit were found to be greatly affected by the school's anniversary and events.

A Study on GIS Methods for Estimating "Index for Populat ion Generator" Based on socio-economic factor (인문사회 공간정보를 활용한 유동인구지수 추정)

  • Han, Jung-Sun;Kim, Han-G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62-264
    • /
    • 2009
  • 국내 마케팅 시장은 전체 분야에 걸쳐 출혈경쟁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기업들이 올바른 의사결정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시장의 잠재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배후지의 인구, 직장인, 그리고 유동인구 규모 등은 시장의 잠재력을 판단하는 기본 정보다. 배후지의 인구와 직장인 정보는 국가통계 자료 등을 활용하거나 기타 추정방법에 의해 산정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동인구에 관한 정보는 실제 거리에 나가 인구를 측정하여 활용하는 방안 외에는 마땅한 추정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유동인구가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업들은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유동인구 수를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비용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Point 기반의 인문사회 Spatial DB를 활용하여 전국단위의 유동인구를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했다. 또한, 유동인구 정보에는 연령 및 성별 비율까지 추정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Natural Convection Flow and Heat Transfer in an Inclined Square Containing Internal Energy Sources (내부 발열을 갖는 경사진 정사각 공간에서의 자연대류유동 및 열전달)

  • 이재헌;박만흥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8 no.2
    • /
    • pp.171-177
    • /
    • 1984
  • 균일하게 분포된 내부발열을 갖는 유체가 든 경사진(수평에서 45.deg.까지)정사각형 단면의 밀폐 공간 내에서의 2차원 자연대류 유동 및 열전달에 관한 수치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4개 벽면온 도가 동일한 경계조건에서 내부발열로 인한 자연대류 유동이 Rayleigh수 1.5*$10^{5}$까지는 층 류유동 영역의 가정하에서 수치적으로 수렴되었다. 경사진 밀폐 공간에서의 유동형태 및 온도분 포는 수평인 경우에 비하여 윗쪽 벽면 근처에서 그 상이점이 많이 나타났다. 경사각도가 증가함 에 따라 평균 열전달율이 아랫쪽 벽과 오른쪽 벽에서 증가하였고 왼쪽 벽에서 감소하였으며 윗 쪽 벽에서는 거의 일정하였다.다.

Numerical Analysis on the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a Channel with Pin-fin Structure (핀-휜 구조물을 삽입한 채널의 열전달 특성과 압력강하에 관한 수치해석)

  • Heo, Joo-Nyoung;Kim, Ji-Hoon;Son, Young-Seok;Shin, Jee-Yo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2
    • /
    • pp.224-231
    • /
    • 2011
  • Heating and/or cooling of the channel with pin-fin structure is a promising choice for the efficient heat transfer. Complex pin-fin structure shows highly irregular behavior like porous media. This study shows the numerical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a channel with pin-fin structure. It predicts the experimental data quite well at the high porosity region with large diameter. Low porosity activates the rigorous flow disturbance and, consequently, the enhanced heat transfer. However, the concept of optimum design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because the pressure drop is also increased with decreasing porosity at low porosity region.

물의 관광이미지와 공간 연출

  • 김추윤;홍승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7a
    • /
    • pp.33-34
    • /
    • 1992
  • 물이 나타내는 관광이미지는 연구자의 목적이나 분류방법에 따라 수십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대개는 물 자체에 대한 이미지, 물체에 작용하는 물의 이미지, 공간에 작용하는 물의 이미지로 나눌 수 있다. 물 자체에 대한 관광 이미지는 물 자체의 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호수는 정적, 하천은 유동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과 같다. 물체에 작용하는 물의 이미지는 폭포를 보고 시원함을 느낀다거나 멋있는 감을 느끼는 것과 같다. 공간에 작용하는 물의 이미지는 기존 공간에 물이 있으므로써 관광공간을 넓혀주는 것이다.(중략)

  • PDF

A Design on Experience Space Based on Interactive Storytelling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체험 공간 디자인)

  • Park, Sun-Ja;Park, Seung-H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5-62
    • /
    • 2007
  • 정보통신 기술과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은 과거에 불가능했던 많은 일들을 가능하게 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으로 체험 가능한 것으로 발전시켰으며, 이를 통해 인간은 경험을 확장 시킬 수 있게 되었다. 즉, 인간의 체험, 인식, 가치, 행위가 가상의 공간으로 무한하게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현대 사람들은 체험 공간이 현실 세계와는 다른 비일상적 체험과 욕구실현을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원한다. 이에 따라서 체험 공간의 논의가 과거의 시각적 정보전달만을 위한 체험 공간이 아닌 정보와 흥미, 체험을 동시에 줄 수 있는 노력들이 요구, 진행되고 있다. 체험 공간에 있어서 엔터테인먼트 적인 요소가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도 시청각적 흥미위주의 직선적인 공간의 이야기로 관람자를 일회적인 관람에서 그치게 하고 있다. 매체를 나열식으로 던져 준다고 해서 사람들이 흥미를 느끼거나 몰입을 경험하지는 못한다. 그러기 위해선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Interactive Storytelling)의 인터렉티비티한 요소가 체험 공간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인터렉티비티는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특징 중 하나로, 이와 같은 인터렉티비티 요소들은 관람자에게 다양한 선택과 통제의 기회를 주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체험 공간 속에서 관람자는 스스로 매체와 매체간의 반복과 조합을 통해 관람자 개개인이 새로운 시나리오를 쓸 수 있게 되고 체험 공간은 유동적인 공간이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험 공간이 관람자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공간이 되고, 지각적 체험과 정신적 체험까지 경험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가치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이 공간 속에서 의미를 획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체험 공간에 대한 연구와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기존 사례를 선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이 체험 공간 안에서 사람들에게 일회적인 경험을 주는 것이 아닌 사람들이 직접 그 공간의 스토리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체험 공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서 월드컵이 열리는 대표적인 도시인 상암동에 한국 소프트웨어진흥원이 주관하여 건설되는 ‘상암 디지털 파빌리온’을 대상으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체험공간 디자인을 작품 형태로 기획 되었으며, 기본적인 시나리오 컨셉을 제시하고 공간의 구조도, 체험 과정(Process)등이 제시된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체험 공간이 직선적인 내러티브에서 벗어나 체험 공간 속 협업의 가능성을 열어주어 새로운 소통의 장을 마련해 준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