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도 홈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fluence of the Geometry of Guide Groove on Stress Corrosion Index of Rock in Double Torsion Test (이중 비틀림 시험에서 유도 홈의 형상이 암석의 응력부식지수에 미치는 영향)

  • 정해식;미원우삼;전석원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4 no.5
    • /
    • pp.363-372
    • /
    • 2004
  • Double torsion (DT)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geometry of guide groove on stress corrosion index of Kumamoto andesite. The fracture toughness was measured in the constant displacement rate, which was set to 2.07 MN/m$^{3}$2/ in average regardless of crack velocity. Stress corrosion indices, n were evaluated using specimens with rectangular, circular and triangular grooves and were 37, 36 and 38 in average, respectively. The n values were constant regardless of the groove geometry, however the DT specimen with triangular groove geometry showed the largest standard dev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ack velocity and stress intensity factor. The DT tes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using a rectangular-grooved specimen and the width of the groove must be greater than the average grain size of minerals.

반원주형 윤활홈을 갖는 저어널 베어링의 열효과에 관한 연구

  • ;Lalas, D. 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0.06a
    • /
    • pp.58-72
    • /
    • 1990
  • 유체 윤활 이론에 의한 저어널 베어링의 해석은 그 적용 버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하게 연구되어왔다. 근래에는 열적 효과의 중요성 때문에, 윤활유의 점도와 온도와의 관계, 윤활유 주입홈에서의 윤활유 혼합현상, Cavitation현상, 고속에서 윤활유의 난류현상, 윤활유 주입구의 위치 그리고 경사진 베어링 축이 유막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원주형 윤활홈을 갖는 저어널 베어링의 주입 윤활유의 열효과가 베어링 부하량과 마찰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찰하였고,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베어링 Bush와 Shfft벽에서 여러가지 열전달 겅계 조건을 가정한 가운데 Reynolds 방정식을 Energy 방정식과 동시에 수치해석적으로 풀었다. 수치해석 방법은 FDM(Finite Difference Method) 중 SOR(Successive Over-Relaxation)Technigue을 이용하였다. 또한 윤활유 점도와 온도의 관계는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 형태로 취했다. 주입 윤활유 온도와 압력 그리고 윤활홈의 형태 등을 변화시켜가며 베어링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PDF

The enhancing effects of dry skin according to existence of homecare (홈케어 유.무에 따른 건조피부의 개선 효과)

  • Lee, Yeo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882-884
    • /
    • 2010
  •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문가에 의한 관리 후, 홈케어 유무에 따른 건조피부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조피부로 평가된 10명을 대상으로, 한족 팔에는 마사지와 홈케어를 적용하고, 다른 쪽 팔에는 단지 마사지만을 적용하였다. 마사지는 호호바오일에 라벤더정유를 혼합하여, 10분간의 마사지를 주 2회로 총 4주 동안 실시하였고, 홈케어로는 마사지에서 사용한 시료를 집에서 매일 바르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마사지와 홈케어를 적용한 그룹이 마사지만을 한 그룹보다 유분과 수분의 함유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마사지와 홈케어를 한 그룹에서 마사지의 횟수가 증가 될수록 피부에서의 유 수분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가에 의한 관리효과를 유지하고, 더 효과적으로 건조증상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홈케어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 PDF

홈 네트워크 취약점 분석 및 인증 분석

  • Ko, Hoon
    • Review of KIISC
    • /
    • v.16 no.6
    • /
    • pp.42-47
    • /
    • 2006
  • 디지털 홈을 구성하는 HDTV, 디지털 캠코더, Home theater, 인터넷 냉장고 등의 디지털 정보가전기기들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가정은 단순한 가정에서 탈피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었다. 홈 네트워크 구성하는 기술에는 다양한 응용기술들이 있으며, 새로운 선로의 설치가 없는 여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유 무선 기술이 핵심으로 응용되고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많은 기기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홈 네트워크의 구성기술과 홈 기기들이 취약점 및 인증, 그리고 홈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보안 기술에 대해서 정리한다.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and Discussion for Home Network (홈 네트워크를 위한 보안취약점 분석 및 고찰)

  • Park, SenogJoon;Youn, Hee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73-276
    • /
    • 2015
  •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에서 여러 기기들을 유 무선으로 연결 후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서로 데이터를 공유한다. 가정 내 기기들은 컴퓨팅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보안취약점을 이용한 사이버 범죄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버 범죄 및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유 무선 보안취약점 및 대응방안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홈 네트워크의 보안 개선을 위해 미들웨어의 보안기능 및 홈 네트워크의 보안취약요인을 분석하고, 보안취약점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the Home Network Sonics Using Bluetooth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설계)

  • 박승성;김종원;이경일;권순량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520-522
    • /
    • 2003
  • 최근 이동단말과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댁 내에서도 냉장고, 세탁기, TV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드웨어부분의 유.무선기술과 서로 다른 가전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미들웨어 기술 그리고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무선기술 중에서 블루투스 기반의 홈 네트워크서비스의 설계에 대해서 기술한다.

  • PDF

The Standardization Trend of Home Network (홈 네트워크 표준화 기술 동향)

  • Song, S.I.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5 no.6 s.66
    • /
    • pp.56-64
    • /
    • 2000
  • 홈 네트워크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분야활동은 크게 매체에 의해서 유/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이외에도 홈 네트워크를 목표로 하는 활동분야는 많지만 여기서는 최근 활동이 활발한 분야인 TA1394/HAVi, USB2, Home PNA, 전력선 통신, 무선 1394, Home RF-WG, 블루투스, IrDA의 표준화 단체를 중심으로 국내외 표준 규격화 동향에 대하여 기술한다.

A Design of Home Smart Grid for Power Utilization (전력활용을 위한 홈 스마트그리드 설계)

  • Kim, Do-Goan;Han, Eun-Mi;Lee, Yoon-Hee;Moon, Hee-Kyung;Jeong, Ch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83-284
    • /
    • 2011
  • 본 논문은 효율적 전력 활용을 위한 유무선 센서기술을 활용한 홈 스마트 그리드를 제안한다. 특히,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현재 전력의 공급처와 사용자 간의 전력 수급과 관련된 효율적 정보의 수집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나, 전력의 주요 사용자인 일반가정에서의 계획성 있는 전력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파급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논문은 공급처와 사용자 사이의 스마트 그리드가 아닌 가정에서 전력의 사용처를 쉽게 파악하여, 에너지 활용을 계획 및 통제하고, 나아가 에너지의 절약을 유도하기 위한 EMS(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해 기술한다.

  • PDF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LabVIEW (LabVIEW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 Seo, Jung-Hee;Kim, Kil-Young;Park, Hung-B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823-826
    • /
    • 2008
  • This paper will show how to design home network management system in the wired/wireless environment using graphical language LabVIEW, J2ME and to apply the design to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ing for the information devices at home. This paper also provides with efficiency of device control and current status check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administrators by constructing the wire/wirelessly integrated administration system. It means the administrators can access to central administration server and acquire the control right through web being able to operate the system with flexibility and can access to the server without computer whenever, wherever they need to control and administrate it through this wired/wireless unit easily.

  • PDF

A proposal of a smart home platform for home entertainment experience (홈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스마트 홈 플랫폼 제안)

  • Wu, Jing;Liu, Hao;Jung, Jae yu;Jung, Hoe-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931-933
    • /
    • 2012
  • In this thesis propose a conceptual design of a platform for better home entertainment experience. Smart phone, smart TV and a personal computer are the most important devices in this platform design. The platform was designed and proposed by a personal computer. The platform provides a high degree of interaction and integration among devices within the environment. The clouds are better than the traditional approaches and it is more acceptable in terms of security and econ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