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도상수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nalysis on the screening effects of underground utilities by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in high-speed railway system (고속 전철 시설에 의한 전자 유도의 지중 매설물 차폐 실측 연구)

  • Choi, Mun-Hwan;Lee, Sang-Mu;Han, Man Dae;Cho, Pyo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839-842
    • /
    • 2009
  • 통신선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전자유도 대책을 위해서 국가 기술기준에 의한 유도전압 한계치가 정해져 있고, 현장 유도 대책 상 이 제한치를 초과할 때에 필요한 것이므로 정부 고시의 기술 근거에 의해 유도전압을 계산하여 이에 대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전자유도 현상에 있어서 피유도원인 통신선간의 커플링 관계에 있어서 중간 차폐를 줄 수 있는 성분에 대한 계수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성을 줄 수 있는 시설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기유도원 또는 피유도원 시설 구조상의 요소들에 대한 차폐치가 주어져 있다. 그러나 지중 매설물에 대한 차폐효과에 대하여는 별도로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중 매설물 중 광역상수도관에 의한 차폐성을 확인하기 위한 현장 측정을 통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유도원과 병행하여 광역상수도관이 매설된 지역에서 광역상수도관이 병행하는 부분과 일정 정도의 이격되어 병행하는 부분의 경계점에서 양단에 발생하는 유도 전압을 동시 비교 측정함으로써 그 차폐효과에 대한 현장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현장의 여러 조건변수들의 종속성을 정규화하고 광역상수도관의 독립적 변수에 의한 차폐성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 PDF

Topology Optimization Using Equivalent Material Properties Prediction Techniques of Particulate-Reinforced Composites (입자보강 복합재료의 등가 재료상수 예측기법을 이용한 위상 최적설계)

  • 임오강;이진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267-27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기지개와 미시구멍으로 구성된 복합재료에 입자보강 복합재료의 등가 재료상수 예측기법인 평균장 근사이론과 등가원리를 적용하여 위상 최적화에 필요한 등가 재료상수와 설계변수와의 상관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유도된 관계식에 중간값을 갖는 설계변수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벌칙인자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벌칙인자가 도입된 위상 최적화문제를 순차이차계획법인 PLB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 PDF

Analysis on Several Calculation Methods of Propagation Constant for a Buried Metallic Pipe (지중 매설 강관의 전자유도 전파상수 계산 방식별 적용성 분석)

  • Lee, Sangmu;Choi, Mun Hwan;Cho, Py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590-593
    • /
    • 2012
  • There are a few formula for calculation of propagation constant of buried pipeline. These formula are basically based on the Wait's analytical expressions. Each transformed expression is from America and Japan. And also a propagation constant calculated by a developed bidirectional search algorithm for an application to an exact solution of underground fields represented. This solution is presented by Bridge's article. So several methods are used and values by them are compared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to estimate an induction voltage. Japan's formula and exact solution are similar to apply for calculation of propagation constant.

  • PDF

CF4/Ar 유도결합플라즈마의 저 유전상수 SiCOH 박막 식각에 미치는 RF 파워의 영향

  • Kim, Hun-Bae;O, Hyo-Jin;Lee, Chae-Min;Ha, Myeong-Hun;Park, Ji-Su;Park, Dae-Won;Jeong, Dong-Geun;Chae, Hui-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02-402
    • /
    • 2012
  • 최근 반도체 공정 중 fluorocarbon (CxHyFz) 가스와 함께 플라즈마 밀도가 큰 유도결합형 플라즈마을 사용한 식각장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저 유전상수 값을 가지는 박막을 밀도가 큰 플라즈마와 함께 fluorocarbon 가스를 이용하여 식각을 하게 되면 매우 복잡한 현상이 생긴다. 따라서 식각률에 대한 모델을 세우고 적용하는 일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CF4가스를 Ar가스와 함께 혼합하고 기판 플라즈마와 유도결합형 플라즈마를 동시에 가진 식각장비를 사용하여, 저 유전상수 값을 갖는 박막을 식각하였다. 또한, 간단한 식각모델인 Langmuir adsorption model를 이용하여 식각률(Etch rate)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기판과 유도결합형 플라즈마의 파워에 따른 식각률을 계산하고, 식각모델에서 사용되는 매개변수인 이온플럭스(Ion Flux)와 식각수율(Etch yield)을 연구하였다. 기판의 플라즈마 파워가 20에서 100 W 증가하면서 식각률이 269에서 478 nm/min로 증가하였으며, 식각수율이 0.4에서 0.59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면에 기판의 플라즈마 파워 증가에 따라 이온 플럭스는 3.8에서 $4.7mA/cm^2$로 변화가 크지 않았다. 또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의 파워가 100에서 500 W 증가하면서, 식각률이 117에서 563 nm/min로 증가하였으며, 이온플럭스가 1.5에서 $6.8mA/cm^2$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식각수율은 0.46에서 0.48로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저 유전상수 값을 가지는 박막 식각의 경우, 기판의 플라즈마는 식각수율을 증가시키며 유도결합형 플라즈마는 이온 플럭스를 증가시켜 박막 식각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rameter Identification of Vector-Controlled Induction Motor using Skin Effect of Rotor Bars at Standstill (회전자 바의 표피효과를 이용한 벡터제어용 유도전동기의 정지형 상수추정)

  • Kwon, Young-Su;Moon, Sang-Ho;Lee, Jeong-Hum;Kwon, Byung-Ki;Choi, Chang-Ho;Seok, Jul-Ki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3 no.6
    • /
    • pp.403-410
    • /
    • 2008
  • This paper suggests a standstill estimator to accurately identify induction motor (IM) parameters necessary for the vector control. A mathematical model that faithfully represents the general skin effect is introduced. Then, two exciting signals with a different frequency are sequentially injected to track the parameters based on the skin effect of the rotor bar. Little knowledge of the unknown motor allows the proposed methodology to employ a closed-loop control of an injected current, rather than open-loop voltage injection approaches. Subsequently, this control scheme proactively prevents electrical accidents resulting from an inadequate open-loop voltage injection. We develop a specialized offline commissioning test to compensate the phase delay resulting from the drive, which significantly affects the precision of the IM parameters. The effectiveness of the identification technique is validated by means of experiments performed on the three different IMs.

Auto-measurement of Motor Parameters for Sensorless Vector Control of Induction Motors (센서리스 벡터제어를 위한 유도전동기 상수의 자동 측정)

  • 김경서;강기호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6
    • /
    • pp.552-559
    • /
    • 2000
  • Most of the sensorless vector control methods use the equivalent circuit of induction motors. Therefore parameter auto-measurement of drive motor is essential function in commercial sensorless vector control inverters. The accuracy of motor parameter measurement great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sensorless vector control. In this paper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s are examined, and new measurement methods are proposed to solve those limitations.

  • PDF

임계혼합용액에서의 유도 복굴절

  • 오승석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0.02a
    • /
    • pp.150-153
    • /
    • 1990
  • Nitrobenzene과 Isooctane 임계혼합용액의 정전기장에 의한 유도복굴절을 임계점 근처에서 Oc-Kerr 효과로 관측하여 Kerr 상수가 발산하는 임계특성을 알아 보았다. 그리고 여기서 Kerr 상수에 대한 임계지수와 복굴절의 오름시간에 관계되는 임계지수를 결정하였다. 또한 복굴절 신호를 살펴본 결과 연속적인 정전기장의 펄스에 대해 기억효과가 있음을 보았다.

  • PDF

Derivation of Storage Coefficient and Concentration Time for Derivation of Lateral Inflow Hydrograph (측방 유입 수문곡선 유도를 위한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의 유도)

  • Yoo, Chul-Sang;Kim, Ha-Young;Park, Chang-Yeo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3
    • /
    • pp.243-252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teral inflow hydrologically. The IUH of lateral inflow is sum of the impulse responses of total cells in basin. This IUH bases on the Muskingum channel routing method, which hydrologically re-analysed to represent it as a linear combination of the linear channel model considering only the translation and the linear reservoir model considering only the storage effect. Rectangular and triangular basins were used as imaginary basins and IUH of each basin were derived. The derived IU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basin's shape. The storage coefficient of lateral inflow was also derived mathematically using general definitions of concentration time and storage coefficient. As a result, the storage coefficient of lateral inflow could be calculated easily using basin's width, length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annel.

Compensation Algorithm Rotor Parameter Variation for I.M Using Fuzzy Logic Controller (퍼지논리제어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 회전자 상수변동 보상제어기법)

  • 류경윤;이홍희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1999.07a
    • /
    • pp.531-534
    • /
    • 1999
  • 벡터제어기법은 유도전동기의 무부하 시험 및 구속시험 등을 통하여 구한 고정자 및 회전자 상수를 이용한 전동기의 수학적 모델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도전동기의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는 고정자 및 회전자 상수의 정확성은 곧 벡터제어의 성능과도 직결된다. 하지만, 온도 상승 등의 영향으로 회전자 저항값은 정상치보다 최대 80∼100%까지 상승 할 수 있으며, 이는 벡터제어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전자 저항을 이용하는 자속 PI제어부를 회전자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자속 퍼지제어부로 대체하고 측정한 3상 전류를 이용하여 회전자 저항값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정·보상하는 퍼지추론기를 구성하므로써 회전자 저항의 변화에도 최적의 효율 및 성능을 가지는 보완된 벡터 제어 기법을 개발하였다.

  • PDF

Hydrological Analysis of Lateral Inflow (측방유입의 수문학적 해석)

  • Kim, Hayoung;Park, Changyeol;Yoo, Chuls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0-200
    • /
    • 2011
  • 실제 유역에서 지류유입량(tributary inflow)의 형태로든 사면류의 형태로든 측방유입은 반드시 존재한다. 측방유입이 하도의 지배적인 흐름이 되는 경우 이는 유출수문곡선의 종거값과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측방유입의 형태를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과 같은 수문학적 특성으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다면, 전체 유역 내에서 측방유입의 지체효과 및 저류효과를 파악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측방유입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Saint-Venant 방정식을 근간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Muskingum 하도추적모형 또는 Muskingum-Cunge 하도추적 모형을 확장한 연구가 나머지 부분을 차지한다(Hayami, 1951; Dooge et al. 1982). 지금까지 수행된 대다수의 연구들은 수치해석적으로 측방유입의 유출량을 모의하거나 혹인 관측값이 존재하는 경우 역으로 측방유입의 특성을 유추한 것들로 다소 복잡하고, 관측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과 주하도의 특성만을 이용하여 측방유입의 특성을 대략적으로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전체유역과 각 소유역의 관계는 전체유역의 물리적인 특성과 주하도의 수문학적 특성만으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유역분할 시 각 소유역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전체유역의 유출량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uskingum 하도추적모형을 재해석한 순간단위도를 이용하여 측방유입의 수문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격자형태의 사각형과 삼각형 유역을 임의로 가정하였으며, 각각의 유역에서의 순간단위도를 선형하천모형과 선형저수지모형의 합으로 유도하였다. 이때 저류상수는 하도길이와 비례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사각형과 삼각형 유역에서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을 유도하였다. 특히 유역 출구에서 최원점에 위치한 격자에서 유출이 발생시간을 집중시간으로 가정하였으며, 이 시점에서의 종거값과 기울기를 이용하여 저류상수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선형하천과 선형저수지모형 각각은 집중시간과 저류상수로 특징지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결정된 측방유입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이 적절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유역에서 유역분할의 효과뿐만 아니라 홍수량 할당문제를 입증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