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니버셜디자인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에 대한 미국/한국 노인소비자 견해 (An American/Korean Older Consumers' Perceptions of Universally Designed Bathing Fixtures)

  • Shin, Kyoung-Joo;White, Betty-Jo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49-163
    • /
    • 2000
  • 노인소비자들은 나이와 함께 기능적인 능력이 감퇴하면서 주택내의 환경이 그들의 한계와 장애를 보완해 줄 수 있게 좀 더 지원적이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노인그룹을 포함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독립적이고, 안전하며, 편리한 생활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유니버셜 디자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셜 디자인 개념으로 개발 된 혁신적인 욕실용품들, 즉 높이가 조절되어 앉거나 서서 사용하는 장점 등을 갖춘 세면대와 높이조절이 되는 이동식 샤워기가 장착된 걸어서 들어가며, 접이식 의자가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 욕조에 대한 소비자 의견의 검토이다. 피험자는 미국에 사는 미국노인과 한국노인(50세이상-79세까지)으로 합계 58명이었다. 실험장소는 미국서부소도시 대학의 유니버셜 디자인 연구실로, 이 대학의 협력으로 이곳에 장착된 신개발 설비를 이용하였다. 실험시기는 1997년 5월부터 11월 사이(봄, 가을)로 소비자 의견조사는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 설문조사에서는 피험자 거주주택의 욕실환경, 피험자의 목욕방법, 건강과 안전, 새로운 욕실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 등이 조사되었다. 2단계는 실제로 선정 된 욕실설비의 사용실험으로 피험자가 옷입은 상태에서 목욕을 가정하여 선택된 설비의 사용동작을 하면서(비디오 촬영) 조사자의 조사표에 의한 질문에 답하였다. 3단게는 2단계의 사용실험 후 유니버셜 디자인 된 욕실설비의 가정 내 도입의사 등의 조사를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3단계의 소비자 의견조사 및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미국거주 미국노인과 한국노인의 비교에서 한국노인의 평균 신장이 3cm정도 작았고, 2개이상의 욕실을 가진 비율과 학벌, 독신거주비율은 미국노인이 다소 높았고, 욕조 소유율은 한국노인이 높았다. 2) 새로운 욕실 설비에 대한 소비자 의견은 미국과 한국노인 모두 유니버셜 디자인된 새 설비의 장점을 인정하였다. 욕조와 세면조가 매력적이라 평하였고 샤워조작기가 색상구분으로 도운물과 찬물인지가 편하며, 접이식 의자가 유용하며, 문 달린 욕조의 안전 손잡이와 욕조가장자리를 잡고 안전하게 출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욕조길이와 높이에서 두 나라간에 차가 있어 앞으로 치수에 대한 것이 연구과제로 지적되었다. 3) 욕실 설비 개발 시 유니버셜 디자인 용품에 요구되는 목표는 안전하게 쓸 수 있고, 가령에 따른 신체장애요소가 커버되어 스스로 사용가능하고, 사용상 번거로움이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지않는 것이어야 하겠다. 4)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표준치수의 현 욕조위치에 장착이 가능하여 앞으로 현 주택에의 교체가 가능하였다. 5) 선택된 유니버셜 디자인 욕실설비는 인체치수와 문화가 다른 두 나라 노인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앞으로의 국제적 보급이 기대되었다.

  • PDF

노인 감염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가이드라인 -유니버셜 디자인(Universial Design) 관점에서 (A Proposal of Guidelines for Developing the Mobile Application of Infection Controls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Universal Design)

  • 김호다;주애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9
    • /
    • 2018
  • 세계는 급속도로 고령화가 되고 있고, 이러한 고령화 사회에서 국내 노인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건강관리문제와 감염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유니버셜 디자인은 노인들을 위한 지지적, 수용가능, 접근가능한 안전한 디자인이다. 본 연구에서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노인 감염 관리를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보편적 접근성', '손쉬운 이용', '적은 물리적 노력', '시각화된 언어', '질병관리본부 수칙'은 노인에게 중요한 가이드라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유니버셜 디자인을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가이드라인들은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증가시켜 감염 관리 실천행위가 증강되는데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유니버셜 디자인 관점에서 본 의료 로봇 침대 색채에 관한 연구 -(주)나인벨의 의료용 로봇 침대의 유니버셜 디자인 색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 of Medical Robot Bed from the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A Case Study on the Universal Color Design of Ninebell Corporation's Medical Robot Bed-)

  • 조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03-208
    • /
    • 2019
  • 의료용 컬러 그래픽 연구는 의료용 로봇의 생산 시대를 통해 회사 제품의 디자인 품질을 세계적으로 확대하고 보급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 로봇 침대 확대 시대에 걸맞은 기술과 내용, 유니버셜 의료색 적용, 인체공학적 색채 등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와 함께 유니버셜 디자인의 관점에서 의료용 침대 로봇의 색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업체에서 개발 중인 의료용 로봇의 기능을 사례로 하여 유니버셜 컬러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 로봇 침대의 특성은 기능별로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첫째는 치유성(Curative)으로 욕창 예방을 위한 치료 특성을, 두 번째는 의료 환경을 위한 청결성(Clean)으로 시트 자동교환을, 세 번째는 편의성(Convenient)으로 환자이송을 구현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론으로 이에 적합한 기능 색채의 조합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시한 색채분석 및 유니버설 컬러설계 기법이 첨단 의료용 로봇 침대의 외형과 기능을 잘 표현하는 데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니버셜 디자인 측면에서 지하철역 환경 평가와 개선방안 - 지하철 역 환경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Subway Stations - Mainly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the Subway stations -)

  • 황원경;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0-134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better design of subway sta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ate as follows: Checkli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subway stations facilities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Modified and/or complementary lists can be employed to develop the evaluation tools and can construct a database for defining the standard items in order to improve the facilites.

  • PDF

유니버셜 디자인 측면에서 공공 공간의 환경평가와 개선방안 -안산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U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Public Space -Focused on Public Space of Ansan City-)

  • 하재경;김양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10
    • /
    • 2009
  • Recently, the public offices are going to be an important role of CIP(City Identity Program) and be a center of citizen's community activities. So, the aspect of the universal design (UD), the space performance assessment for a disable user is invaluable to designing the public office space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better design of public office space based on UD(universal design) principl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checklist of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public space was composed of 7 basic principles of UD and 3 additional principles(aesthetic appreciation, maintenance and eco-design). Second, as the result of assessment, accessible and inclusive design is more necessary. Third, lo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deliberately as to public space design. As the result of that, public office space design should an important part of reducing the isolation that was caused by physical and social disability. From now on, in public office space design, the integrated and continuous design program that is based on UD principle and eco-design will be necessary.

  • PDF

현대 디자인 트랜드 분석 통한 AI CARE 디자인 그래픽 기획에 관한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I CARE BED 파트별 분석과 디자인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alysis of AI CARE Design Graphic Planning through Modern Design Trend Analysis -Focusing on AI CARE BED part-by-part analysis and design proposal-)

  • 조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99-604
    • /
    • 2021
  • AI 인공지능으로 각 분야가 융합된 시대에 디자인에서는 AI-CARE 기능의 디자인과 UI UX 디자인이 각광 받는 시기에 들어와 있다. 새로운 기능에 맞는 시각 효과는 형태 디자인의 적용과 색의 트랜드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형태 트랜드의 정리와 적용에 관한 사례를 제시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입부에서는 최신 디자인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새로운 제안의 방향으로 연구하였다. 본문에서는 기능 디자인 형태를 분리하여 기획에서의 디자인 방향과 고려사항 대한 부분을 연구하였으며, 디자인 작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형태와 색채 부분의 단계에서 미니멀리즘과 유니버셜 디자인, 어포던스 디자인의 흐름에 맞는 계획서를 제안하였다. 사례 실습을 바탕으로 한 본론의 연구 방법은 부분별 디자인 작업에 특화된 형태와 색채에 관한 콘텐츠를 어떻게 고려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며, 콘텐츠 이미지에서 새로운 영역의 UI UX 분야 그래픽 제작이 실현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I CARE 베드 PART별로, 디자인 방향성과 타당성을 제안함으로써 형태와 색의 도출 방법의 디자인 방향성과 기획에 도달했다.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선호와 창의성평가요소에 대한 비교 - 말레이시아와 한국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사례연구 - (Comparative study of the food Instrument design for the Design Preference and Creativity between Korea and Malaysia)

  • 홍정표;이성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30
    • /
    • 2009
  • 국가 간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생활습관이나 방식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 중에서도 음식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난다. 특히 음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음식도구 중 디자인요소가 동일하고 유사한 것이 있거나 다른 요소와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국가 간의 음식도구를 유니버설 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대한 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국가 간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도구의 디자인요소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음식에 대한 소비자행동 분석 프로세스의 개발 및 관찰을 통하여 행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동분석을 접목하여 음식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둘째로,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 간 음식의 주문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나타난 현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각 국가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국가별 개발된 디자인 안을 대상으로 선호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선호요소와 창의성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별, 음식별, 행동별, 식당형태별로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음식도구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간 동일 아이템을 디자인 교육시간에 진행시켜 대학의 디자인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간에 협력과 상호보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아이디어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사례분석을 통한 고령친화도시 디자인 개발방향연구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for Designing Aging Friendly City through The Case Analysis)

  • 나건;성소라;전영재;이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61-69
    • /
    • 2017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고령친화도시 디자인에 대한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고령친화도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다각도의 문헌연구 고찰을 통해 고령화 사회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본 연구의 기초가 되는 고령친화도시의 이론적 개념을 정의하였다. 둘째, 고령친화도시 구축을 위해 관련 연구를 진행한 국내외 7개 도시를 선정하고, 각 도시별로 진행된 영역별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령친화도시 구축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는 안전성, 인지성, 접근성 3가지로 정리되었다. 고령자들을 배려한 도시환경 구축을 위해서는 고령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위 3가지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세부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고령친화도시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