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 염소계 농약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배추에 살포된 몇 가지 농약제제에 따른 성분의 휘산과 비산 (Drift and Volatilization of Some Pesticides Sprayed on Chinese Cabbages)

  • 이자영;한일근;이상윤;여익현;이서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3-381
    • /
    • 1997
  • 배추 재배시 살포된 농약의 비산 휘산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기인계인 chlorpyrifos, EPN, pirimiphos-methyl, phenthoate, 유기염소계인 tetradifon, dicofol, 피레스로이드계인 bifenthrin 농약을 이용하여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의 잔류량 분석은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는데 농약성분에 따라 다르나 회수율은 78${\sim}$92%로 우수하였으며 표준편차도 ${\pm}0.68{\sim}3.52%$로서 재현성이 있었다. 농약의 살포량은 농약사용지침서에서 권하는 량으로 하였으며, 1차실험시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첫 구간에 농약을 살포하였고, 2차 실험시에는 풍향에 관계없이 정중앙에 살포하고 방사형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실험결과 살포농약 대부분이 비산이나 휘산으로 인해 인접 작물에 전이 잔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살포 중 비산되는 양은 농약성분과 풍향, 거리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살포구간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에 비하여 비살포구에서의 농작물 중 농약잔류량 비율은 3m거리에서 평균 0.66%, 6m 거리에서 0.10%, 9m 거리에서 0.05%이었고 근접지역에서는 최고 1.83%에 이르렀다.

  • PDF

농산물 중 유기염소계 잔류 농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evel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 엄미나;장재철;정진아;유영희;지의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6-456
    • /
    • 2001
  • 2000년 7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경기도 지역에 유통중인 17종의 농산물 397건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보건위생상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기염소계 13종을 GC/ECD와 GC/MSD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농산물 397건 중 endosulfan이 31건(7.8%) 검출되었으며 chlorothalonil이 4건(1.0%) 검출되었다. 농약의 검출범위는 endosulfan 의 경우 상추는 3.7437~0.0488ppm, 시금치 2.1902~0.1423ppm, 아욱 2.4909~0.0786ppm과 겨자잎에서 3.2333~0.3997ppm이었다. Chlorothalonil은 상추에서 5.8097ppm과 시금치에서 0.8962ppm이었다. 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endosulfan이 5건(1.8%)이었으며 chlorothalonil은 1건(0.3%)이었다. Endosulfan은 산화물 형태인 endosulfan sulfate(45.9%)가 $\alpha$-endosulfan(28.5%) , $\beta$-endosulfan(23.9%)보다 높게 나타나, 농약이 식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양보다 식물체 내에 흡수되어 있는 양이 더 많이 잔재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PDF

충남지역(忠南地域) 논토양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수준(殘留水準) (Residue Leve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on Paddy Field Soils in the Chungnam Area)

  • 최종우;이규승;이중길;노길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21
    • /
    • 1987
  • 1986.3.20∼4.6 사이에 충남(忠南)의 대덕(大德), 공주(公州), 금산(錦山), 논산(論山) 및 연기군(燕岐郡) 등 5개 지역(地域)에서 총(總) 108점(點)의 논토양을 채취하여 19종(種),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을 대상으로 잔류수준(殘留水準)을 조사(調査)하였으며,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모두 12종(種)의 농약성분을 검출(檢出)하였으며, 검출빈도는 P.P'-DDE (67.6%), ${\gamma}-BHC$(54.8%), ${\gamma}-chlordane$(50.9%), 그리고 ${\alpha}-BHC$(47.1%)의 순(順)이었고, 평균잔류량(平均殘留量)은 ${\alpha}-BHC$, ${\gamma}-chlordane$, P.P'-DDD와 P.P'-DDE가 0.001ppm 수준이었다. 2. 검출시료의 평균잔류수준은 ${\beta}$-BHC가 0.001ppm, ${\alpha}-BHC$, ${\gamma}-chlordane$, P.P'-DDT, O.P'-DDT 및 P.P'-DDD가 모두 0.002ppm 수준이었다. 3. 이상(以上)의 결과에서 볼 때, ${\beta}-BHC$, ${\gamma}-chlordane$ 및 DDT의 대사산물(代謝産物)의 잔류성(性)이 비교적 길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全般的)인 잔류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評價)할 수 있다.

  • PDF

효모를 이용한 내분비계장애 활성을 가지는 화학물질의 검출계의 구축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the Detection System for Endocrine Disrupters using Yeast Two-Hybrid Systems and Their Application)

  • 이행석;류재천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2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19-121
    • /
    • 2002
  • 인류는 1,500 만 종류에 달하는 화학물질을 합성 혹은 분리ㆍ동정 해왔다. 그리고 현재 약 10 만 종류 정도의 화학물질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 화학물질 중에 유기염소화합물, 공업용화합물, 농약류, 유기취소(bromine)화합물, 중금속 및 유기금속, 식물 및 합성에스트로겐 등을 포함한 수십 종의 화합물이 내분비계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ors, EDs)로서 생각, 혹은 의심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른 화합물에 대해서는 그것들이 내분비계장애 작용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지견이 얻어지지 않고 있어 이들 화학물질의 내분비계장애 작용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속 또는 간편한 검출계의 확립은 매우 중요하다.

  • PDF

물 및 토양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석 (Analysis of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Water and Soil)

  • 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315-132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GC-ECD을 이용해서 유기염소계 농약으로 BHC의 이성질체 $\alpha$-BHC, $\beta$-BHC, (equation omitted)-BHC 및 $\delta$-BHC을 분리하고, Kelthane, Orthocide, Endrin와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복합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상대적 유지시간은 $\alpha$-BHC의 유지시간을 1로 하였을 때 $\beta$-BHC, (equation omitted)-BHC, $\delta$-BHC는 각각 1.18, 1.24, 1.31이었으며, Kelthane, Orthocide, Endrin은 각각 1.56, 1.70, 2.02으로 완전 분리되었다. 단높이(H)는 $\alpha$-BHC, $\beta$-BHC, (equation omitted)-BHC 및 $\delta$-BHC이 각각 50mm, 35mm, 32mm 및 29mm이었으며, Kelthane, Orthocide, Endrin은 각각 81mm, 68mm 및 48mm이었다. 최소검출농도는 $\alpha$-BHC, $\beta$-BHC, (equation omitted)-BHC 및 $\delta$-BHC이 각각 0.26, 0.36, 0.37 및 0.39ng/g이었다. 또한 Kelthane, Orthocide, Endrin도 각각 0.55, 1.39 및 0.56ng/g이었다. 제주시 연안의 토양과 해수 및 저니토에서 BHC의 이성질체 $\alpha$-BHC, $\beta$-BHC, (equction omitted)-BHC와 $\delta$-BHC와 Kelthane, Orthocide, Endrin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남제주도 중문관광단지의 하예동 부근 해양환경은 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다.

HS SPME-GC/MS를 이용한 혈액 중 유기염소계 농약의 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ethod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human bloods using head 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강태우;표희수;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21권4호
    • /
    • pp.259-271
    • /
    • 2008
  • 혈액 내에 축적되어 있는 유기염소계 농약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는 액체-액체 추출법과 고체상 추출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정제 및 많은 양의 시료 처리에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료양이 적으며 간편한 고체상미량추출법을 사용하여 혈액 중 18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의 최적 추출법을 연구하였다. 흡착조건(fiber type, 흡착시간, 흡착온도, 염석효과)과 탈착조건(탈착시간, 탈착온도) 등 최적의 추출을 위해 여러 가지의 실험조건 등을 검토한 결과, fiber는 polyacrylate $85{\mu}m$, 흡착시간은 50분, 흡착온도는 $80^{\circ}C$, 염석효과는 NaCl 0.1 g, 탈착시간은 5분, 탈착온도는 $280^{\circ}C$에서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정확도, 정밀도 및 검출한계에 대한 타당성을 최적 실험조건에서 조사한 결과, 검출한계는 0.05~0.20 ng/mL, 정밀도는 5.59~13.39%, 정확도는 -0.5%~24.5%의 범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흡착제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 on Adsorbent)

  • 안중혁;김준범;권영두;전충;박광하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537-544
    • /
    • 2007
  • 본 연구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의 흡착특성을 살펴보았다. 흡착제는 $bauxsol^{TM}$과 맥반석을 사용하였다. 잔류농약의 분석은 GC/NPD와 $GC/{\mu}ECD$로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농약은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pendimethalin,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이고 회수율은 97% 이상으로 나타났다. $Bauxsol^{TM}$과 맥반석 흡착제의 흡착율은 endosulfan, chlorpyrifosmethyl, pendimethalin, fenitrothion의 내림차순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유기염소계 농약이 다른 농약에 비해 높은 제거율을 보여주었다. $Bauxsol^{TM}$은 농약의 화학적 분해와 물리흡착이 동시에 발생하였고, 맥반석은 물리흡착만이 발생하였다. 흡착제 용출액의 높은 pH와 농약구조의 염소이온은 화학적 분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흡착제의 물리흡착은 광물의 많은 다공성에 의해 농약 제거율을 높여 주었다. 흡착제는 골프장의 연못 등 수질에 잔류농약제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낙동강(洛東江) 하류지역(下流地域)에 있어서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殺蟲劑)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On the Organe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Downstream Area of Nakdong River)

  • 유선재;박청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87-197
    • /
    • 1984
  • 낙동강(洛東江) 하류지역(下流地域)에서 낙동강(洛東江)물, 수도물, 토양(土壤), 저질(底質) 및 붕어와 뻘조개에 대(對)한 유기염소계살충제(有機鹽素系殺蟲劑) 농약(農藥)을 G.C-ECD로 분석(分析)하였다. 수중(水中) 잔류염소계(殘留鹽素系) 농약중(農藥中) 주(主)로 BHC만 검출되었는데, 이들 농약(農藥)의 잔류농도(殘留濃度)는 $ND{\sim}56ppt$로 공중보건(公衆保健)에 해(害)를 줄만 한 것은 아니다. 낙동강(洛東江)물과 수도물의 월별(月別) total BHC 농도(濃度)는 여름이 높고 겨울로 갈수록 낮았으며, 강수량(降水量)과는 약(弱)한 양의 상관성(相關性)을 나타냈다. 토양(土壤)에서 ${\alpha}-BHC$${\beta}-BHC$$ND{\sim}3.3ppb$$ND{\sim}769.7ppb$이었으며 저질(底質)에서 ${\alpha}-BHC$${\beta}-BHC$$ND{\sim}2.0ppb,\;ND{\sim}409.9bbp$이었다. 각(各) 지점(地點)에서 저질(底質)로의 total BHC 농축계수(濃縮係數)는 $83{\sim}3,218$이었고, 강열감량(强熱減量)과는 양(量)의 상관성(相關性)이 있었다. 붕어에서 ${\beta}-BHC$와 total BHC의 농축계수(濃縮係數)는 각각 2,619와 435 그리고 뻘조개에서 두가지 BHC 잔류성분(殘留成分)의 농축계수(濃縮係數)는 각각 3,261과 375였다.

  • PDF

붕어 및 횡소개구리 체내의 Organochlorine pesticides의 분석

  • 이경진;이성인;김현정;송희영;정기호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81-383
    • /
    • 2003
  • 유기염소계농약류 25종을 분석한 결과 HCHs(4종, endosulfan(2종), octachlorostyrene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trans-nonachlor, heptachlor는 각각 한 지점의 붕어에서 검출되었고 나머지는 검출되지 않았다. Chlordane의 경우 두 이성질체가 한 지점의 붕어에서 검출되었고, DDT는 6개 이성질체 중 p,p’-DDT와 p,p’-DDD가 한 지점의 붕어에서 검출되었으며 o,p’-DDT는 한 지점의 황소개구리에서 검출되었다. 그 외의 이성질체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