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기발광소재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ombinational flexible OLED display device using piezoelectric polymer PVDF (압전폴리머 PVDF를 이용한 복합형 유연 OLED 디스플레이 소자)

  • Le, Sang-Yub;Bea, Byung-Tack;Park, Dong-Hee;Choi, Ji-Won;Choi, Won-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55-55
    • /
    • 2008
  • 압전폴리머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의 기판소재를 기반으로 한 디스플레이 소자를 연구하였다. 압전 폴리머 PVDF의 양면은 두께 300nm정도의 ITO(Indium Tin Oxide)를 TCO(Transparent conducting oxide)로 R2R(roll to roll)증착하였으며, 이를 적외선 계열 Pulsed Laser로 상온 건식 에칭을 통해 패턴해내고, 이후 고진공 환경에서 Alq3 를 기반의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전기적 신호에 대해서 기계적인 작동이 가능한 투명 압전 폴리머 재료를 디스플레이 발광소자의 기판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발광기능과 더불어 압전효과에 의한 스피커 기능이 한 개의 개체내에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기술적으로 실현시켰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섭씨 80도 이상의 온도에서 압전 성질을 상실하는 것으로 알려진 PVDF에 대해서 투명산화전극을 레이져를 이용한 비가열식 승화방법을 통해 패턴화하는 것을 사용했으며, 밀리미터 단위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까지 패턴화할 수 있었다. 제작된 복합형 유연 OLED소자는 기계적으로 휘어진 상태에서도 발광 성능과 스피커 성능을 각각 독립적으로 보였으며, Alq3에 의한 녹색발광을 보임을 확인하였고, 이 경우 양자효율은 약 3%이하의 값을 보였다. 또한 각주파수별 음압(SPL: Sound Pressure Level)측정 결과는 압번폴리머가 가청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함을 보였으며, 고주파영역에서의 SPL값이 증가하는 전형적인 PVDF사용 필름 스피커의 특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제작된 복합형 소자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목적에서 보인 것과 같이, 두 개의 기능이 서로간의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한 개의 개체 내에서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새로운 유연 전자 소자에 대한 디자인 개념을 제시하고, 기타 다른 기능이 접합된 형태의 신개념 전자 소자를 제안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olution Processed Hexaazatrinaphthylene derivatives as a efficient hole injection layer for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신규 용액공정 정공주입층 소재 Hexaazatrinaphthylene 유도체를 도입한 인광 유기전기발광소자)

  • Lee, Jangwon;Sung, Baeksang;Lee, Seung-Hoon;Yoo, Jae-Min;Lee, Jae-Hyun;Lee, Jonghee
    • Journal of IKEEE
    • /
    • v.24 no.3
    • /
    • pp.706-712
    • /
    • 2020
  • To improve light-emitting performance of gree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e introduced new hole injection materials-hexaazatrinaphthylene (HATNA) derivatives as a solution processed hole injection layer (HIL). The HATNA derivative has a low the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energy level, similar to the work function of Indium Tin Oxide (ITO), showing a different concept of hole injection mechanism.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ice efficiency of OLEDs using HATNA-HIL showed the improve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from 10.8% to 15.6% and current efficiency from 32.7 cd/A to 42.7 cd/A due to the balance of electrons and holes in the emissive layer.

A Study on the Industry and Market Trends of OLED Lighting (OLED 조명 산업 및 시장 동향)

  • Chun, H.S.;Ha, Y.W.;Cho, B.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1
    • /
    • pp.89-98
    • /
    • 2011
  • OLED 조명은 점이나 선광원 뿐 아니라 넓은 면적의 패널조명도 구현이 가능해 두께 2~3mm의 초슬림 제품도 제작할 수 있고, 눈부심도 거의 없어 은은한 빛이 필요한 실내조명에 적합하다. 그리고 수은 납 등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 유기소재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로 양극구조의 면광원 조명으로 차세대 환경친화적인 조명이며, 에너지 절감효과가 우수한 고효율 특성을 갖고 있어 LED 조명과 함께 기존 조명을 대체할 차세대 광원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본 고에서는 OLED 조명의 산업구조와 시장전망 및 국내외 업체들의 개발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Scintillation Properties of Acrylate Based Plastic Scintillator by Photoploymerization Method (아크릴레이트 기반 광중합 플라스틱 섬광체의 섬광 특성)

  • Kim, Sunghwan;Lee, JoonIl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4
    • /
    • pp.637-642
    • /
    • 2016
  • In this study, we prepared and characterized a acrylate based UV-curable plastic scintillator. It was used co-polymers TMPTA, DHPA and Ultima $Gold^{TM}$ LLT organic scintillator. The emission spectrum of the plastic scintillator was located in the range of 380~520 nm, peaking at 423 nm. And the scintillator is more than 50% transparent in the range of 400~800 nm. The emission spectrum is well match to the quantum efficiency of photo-multiplier tube and the fast decay time of the scintillation is 12 ns, approximately. This scintillation material provid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3D printing technology, and then the applications of the plastic scintillator may be expected in human dosimetry etc.

유기 금속 화학 증착법에 의한 Si 기판 위에 GaP 층 성장시 에피의 초기 단계의 성장 매개 변수에 영향

  • Gang, Dae-Seon;Seo, Yeong-Seong;Kim, Seong-Min;Sin, Jae-Cheol;Han, Myeong-Su;Kim,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09.1-209.1
    • /
    • 2013
  • GaP는 가시광선 발광다이오드을 얻을 수 있는 적절한 재료중의 하나로 해당영역의 파장에 대하여 높은 양자효율을 얻을 수 있고, 깊은 준위 재결합이 없기 때문에 GaP 녹색 및 As 첨가한 GaAsP 적색 LED 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온에서 2.2 eV 에 해당하는 넓은 에너지 밴드갭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음이 없는 자외선 검출기에도 적합합니다. 이 물질에 대한 소자들은 기존에 GaP 기판을 사용하였습니다. 최근, GaP 와 격자상수가 비슷한 Si 기판을 활용하여 그 위에 성장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Si는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딱딱한 소재이며 대면적 기판을 쉽게 얻을 수 있어 전자 기기 및 대규모 집적 회로의 좋은 소재입니다. Si 와 대조적으로 GaP은 깨지기 쉬운 재료이며 GaP 기판은 Si와 같은 대면적 기판을 얻을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한 가지 해결책은 Si 기판위에 GaP 층의 성장입니다. GaP 과 Si의 조합은 현재의 광전소자 들에 더하여 더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그러나, Si 기판위에 GaP 성장 시 삼차원적 성장 및 역위상 경계면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므로 질이 높고 균일한 결정의 GaP 를 얻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Si 에 GaP 의 성장시 초기 단계를 제어하는 성장 기술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금속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Si 기판위에 양질의 GaP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성장조건을 얻고자 합니다. 실험 조건은 Si에 GaP의 에피택셜 성장의 초기 단계에 영향을 주는 V/III 비율, 성장압력, 기판방향 등을 가변하는 조건으로 진행하였습니다. V/III 비율은 100~6400, 성장 압력은 76~380 Torr로 진행하였고, Si 기판은 just(001)과 2~6도 기울어진 (001) 기판을 사용하였습니다.

  • PDF

Roll-to-roll microcontact-printed microlens array for light extraction film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외부 광추출층을 위한 롤투롤 마이크로컨택 방식으로 인쇄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 Hwa, Subin;Sung, Baeksang;Lee, Jae-Hyun;Lee, Jonghee;Kim, Min-Hoi
    • Journal of IKEEE
    • /
    • v.26 no.2
    • /
    • pp.205-210
    • /
    • 2022
  • We demonstrated roll-to-roll microcontact printed (mCP) microlens array (MLA) to enhance the light extrac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The commercially provided microlens array is used as a template for polydimethylsiloxane (PDMS) roll stamp. The fluorinated film is formed on the PDMS roll stamp from fluorinated ink with low boiling point and printed onto the bottom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out high pressure and high thermal treatment. With optimized concentration of ink, the pattern which i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the template MLA was successfully printed. Due to the structure and low optical absorbance of microcontact printed MLA,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OLED was improved by about 18%.

AMOLED Display Technologies and Recent Trends - Focusing on Flexible Display Technology - (AMOLED 디스플레이 주요 기술 및 최근 동향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위주로 -)

  • Kim, Kyoung-Bo;Lee, Jongpil;Kim, Moojin
    •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
    • v.1 no.1
    • /
    • pp.16-22
    • /
    • 2022
  • Starting with cathode ray tubes, displays are forming markets in the order of active ma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after PDP (Plasma Display Panel) and 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 is recognized as a key field for the development of each country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pecially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which are the top industries in Korea, are leading the market with more than 90% of OLED shares. Currently, AMOLED has moved to the area that can be folded or bent. This technology is possible because TFT (Thin Film Transistor) and OLED may be formed on a flexible substrate. In the future, the technology will move to stretchable displays, and for this, the development of substrate materials is first, and then TFT and OLED devices should also be implemented with stretchable materials.

Solution processed doping to the polymer hole transporting layer for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고분자 정공수송층에 용액 공정 도핑법을 적용한 인광 유기전기발광소자)

  • Sung, Baeksang;Lee, Jangwon;Lee, Seung-Hoon;Yoo, Jae-Min;Lee, Jae-Hyun;Lee, Jonghee
    • Journal of IKEEE
    • /
    • v.24 no.3
    • /
    • pp.699-705
    • /
    • 2020
  • In this study, a facial way to enhanc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via the solution process doping method based on the poly[(9,9-dioctylfluorenyl-2,7-diyl)-co-(4,4'-(N-(4-sec-butylphenyl) diphenylamine)] (TFB) as a hole transporting layer (HTL) is demonstrated. In the TFB solution of the hole transport material, 1,4,5,8,9,11-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 (HAT-CN) was doped by 3 wt% to improv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HTL. According, the OLED with HAT-CN doped TFB showed the increased current density and luminance at the same driving voltage on behalf of the improved conductivity of HTL, and the reduced turn-on voltage from 13 V to 9 V. Furthermore, the maximum external quantum efficiency was dramatically increased three times from 3.6 to 10.8 % compared to the reference device without appling doping methode.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을 사용하여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

  • Seong, Si-Hyeon;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67.1-367.1
    • /
    • 2016
  • 투명 전극은 유기 발광소자, 태양전지, 센서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indium-tin-oxide(ITO)는 현재 다양한 소자의 투명 전극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가격과 유연성이 좋지 않은 ITO 소재를 대체하는 기술로 현재 금속 나노와이어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금속 나노 와이어 투명전극은 높은 전도성, 높은 광학적 투과율, 간단한 공정, 우수한 유연성 및 열 안정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플렉서블 소자에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기판 제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유기 쌍안정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세척한 PET 기판 위에 금속 나노와이어를 스핀코팅 방법으로 분산하고, 그 위에 금속 나노와이어의 표면 거칠기와 전도성을 증진하기 위해 PEDOT:PSS 층을 스핀코팅하여 플렉서블 투명전극을 제작하였다. 플렉서블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기판을 하부 전극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유기물 층을 다시 한번 스핀코팅 방식으로 적층하였다. 마지막으로 알루미늄 상부 전극을 열 증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소자의 전류-전압 측정 결과는 높은 전도도와 낮은 전도도의 차이를 갖는 전기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Thin film growth of ε-Ga2O3 and photo-electric properties of MSM UV photodetectors (ε-Ga2O3 박막 성장 및 MSM UV photodetector의 전기광학적 특성)

  • Park, Sang Hun;Lee, Han Sol;Ahn, Hyung Soo;Ya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9 no.4
    • /
    • pp.179-186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Ga_2O_3$ thin films and the photo-electrical properties of metal-semiconductor-metal (MSM) photodetectors deposited by Ti/Au electrodes. $Ga_2O_3$ thin films were grown at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The crystal phase of $Ga_2O_3$ changed from ${\varepsilon}$-phase to ${\beta}$-phase depending on the growth temperature. The crystal structure of ${\varepsilon}-Ga_2O_3$ wa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and the formation mechanism of crystal structure was discuss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From the results of current-voltage (I-V) and time-dependent photoresponse characteristics under the illumination of external lights, we confirmed that the MSM photodetector fabricated by ${\varepsilon}-Ga_2O_3$ showed much better photocurrent characteristics in the 266 nm UV range than in the visible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