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협 대응시간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Situations and Response Methods for Pirate Incidents in the Seas Southwest of the Philippines (필리핀 남서부 해적사고 현황과 대응방안 연구)

  • Na, S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7
    • /
    • pp.829-833
    • /
    • 2017
  • Recently, pirate incidents involving passing ships have been continuously occurring in the seas southwest of the Philippines, the Sulu Sea and the Celebes Sea. Pirates in these areas are members of the "Abu Sayyaf Group", which consists of Islamic armed rebels. They have abducted and confined 59 ship crews over the last 13 months to obtain money for group operations. The activities of these pirates, abducting and killing crews, have became a significant threat for marine security in the Sulu and Celebes Seas and for logistic activities in Asia.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22 recent incidents in terms of ships gross tonnage, kind, nationality, incident time, location, etc. The identity of the Abu Sayyaf Group, which has been committing this piracy and represents the de facto power behind the actors responsible, is also unpacked, along with current challenges to resolving these conflicts. Finally, responses passing ships, shipping companies, related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make are proposed.

특집 II - 동북아시아 구제역 발생상황과 국내 발생 바이러스의 특징

  • Park, Jo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6 no.6
    • /
    • pp.527-543
    • /
    • 2010
  • 구제역은 소 돼지 사슴 면양 산양 고라니 노루 등 우제류 동물에서 발생하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빠른 시간내에 동물의 입 발굽 젖꼭지 등에 수포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감염된 소의 혓바닥, 잇몸, 입술, 입 내부점막, 주둥이에 크기가 다양한 수포가 형성된다. 심한 경우에 혀 전체 넓은 부위에서 궤양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포는 24시간이내에 정상적으로는 파열되며, 그 수포액은 $10^8/ml$의 역가를 갖는 바이러스를 함유한다. 상피가 떨어지고, 유연이 심해지며, 타액이 입 주변에 흔건히 흘러내린다. 입 주변 병변과 동시 또는 이어서 수포가 발굽에 형성되며, 부분적으로 발굽갓띠 또는 제부의 갈라진 틈에서 생성되어 통증과 파행의 원인이 된다. 수포는 보통 유두와 유방에 발생되며, 때로는 세균성 유방염을 발생시킨다. 생산성의 감소는 보통 25% 정도로 추정된다. 돼지는 초기에 파행, 발열, 의기소침, 식욕부진이 있다. 소 보다 발굽에서 더욱 증상이 심하다. 유두, 유선, 콧등에 수포가 형성된다. 혀의 병변은 소보다 심하지 않다. 잠복기가 2~14일 (소에서의 약 6.2일, 돼지에서는 약 10.2일)로 짧고, 전파가 매우 빠르며 경제적 피해가 크기 때문에 국제 교역에서도 규제대상이 되는 질병이다. 구제역의 병인체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 아프토바이러스속에 속하는 구제역 바이러스로 현재까지 7개의 혈청형(A, O, C, Asia 1, SAT 1, SAT 2 및 SAT 3)이 알려져 있다. 이 전염병은 동물전염병 중에서 가장 악명 높은 전염병이다. 세계동물보건기구 (OIE)에서도 각 국간에 국제적인 위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질병의 발생을 보고해야 하는 질병으로 특별 관리하고 있다. 2006년 이후 최근까지 아시아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많은 발생을 보이고 있다. 금년 들어 중국, 대만, 일본, 몽골, 우리나라까지 발생되어 이 질병의 위험성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였다. 구제역의 재발방지를 위하여 최근 동북아시아 지역의 발생상황과 향후 구제역의 발생억제 또는 발생시 긴급 대응을 위하여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 PDF

An Efficient IoT Healthcare Service Management Model of Location Tracking Sensor (위치 추적 센서 기반의 IOT 헬스케어 서비스 관리 모델)

  • Jeong, Yoon-S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3
    • /
    • pp.261-267
    • /
    • 2016
  • As IoT technology has gained the attention all around the world, the development for various services of healthcare, smart city, agriculture, and defense based on IoT is in progress. However, it is likely that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IoT have a problem of being leaked of patients' biological information by a third party and that risks patients' lives. In this paper, an IoT health care service managing model based on location sensor is proposed, which secures the biological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simplifies the procedure to process the treatment and administration steps by using the data resources sensed. Even when an emergency occurs, this proposed model can respond quickl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which enables the staff in the hospital to locate the patient in real tim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minimize the time and the process of care, because the location of the equipment for necessary treatment is possible to be instantaneously located with attached sensors.

Analysis on drinking water use change by COVID-19: a case study of residential area in S-city, South Korea (COVID-19 확산에 따른 상수도 사용량 변화 분석: 국내 S시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 Jeong, Gimoon;Kang, Doosun;Kim, Kyo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11-21
    • /
    • 2022
  • The COVID-19 started to spread at early 2020 in South Korea and has been threatening our life in many aspects. Countermeasures such as social distancing to prevent COVID-19 spread have brought many changes in our society an human life. In this study, as a part of the COVID-19 pandemic management, drinking water usage change is analyzed to evaluate potential risks on water supply service. We collected hourly water use data of residential area in S city, which is a mid-size city in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reveal the changes in total water consumption, water usage weight, and hourly water-demand patter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 case study revealed the noticeable changes in water consumption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required more secured and adaptive operation of drinking water system under the pandemic situation caused by infectious disease.

A Study on Japanese Disaster Relevant Regulations and NHK (일본의 재난방송 관련 법규와 NHK에 관한 연구)

  • Le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12-215
    • /
    • 2019
  • 지난 4월4일 고성 산불로 사망자 2명과 부상자 1명, 가옥 500여 채, 삼림 1757ha가 불에 탔다. 강원 산불에 이어 영덕지진 등에서 늑장대응을 보여준 재난방송시스템에는 많은 국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인 KBS는 물론, MBC, SBS의 경우도 재난방송시스템에 관련 된 측면에서 본다면 아직 이웃나라 인 일본에 비해서는 매우 열악한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점 대형화, 다발화 하는 재난발생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차세대 재난정보 전달체계인 IPAWS(Integrated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를 개발해 지상파뿐만 아니라, 케이블TV,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있다. 일본도 이와 유사한 재난경보전달시스템인 J-Alert를 개발해 2020년까지는 '재난 약자 제로(Zero)시대'를 목표로 구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아현동 KT 화재사건에서도 경험했듯이 통신이 먹통이 되는 통신블랙아웃도 경험했다. 따라서 대형재난발생 시는 신속한 재난경보전달시스템이 재난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생명줄이 될 수 있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는 재난방송전달시스템을 관련법령으로 제도화 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는 재난에 관한 모법이라고 할 수 있는 (1)"재해대책기본법"이 있는데, 이는 재해로부터 국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기본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 밖에도 (2)방송법 (3)대규모지진대책특별 조치법 (4)국민보호법 (5)소방조직법 (6)수해방지법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 과거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이 대형 산불이 잦았으나 요즘은 소형 산불만 발생하는 추세다. 이는 NHK가 보유한 700여 대의 로봇카메라와 전 국토를 샅샅이 감시하는 CCTV 덕택이다. 또한, NHK 보도국의 '기상 재해센터'는 재난에 대비해 40여 명의 전문 인력이 24시간 대응체제를 갖추고 있다. 나아가 NHK는 전국 12개의 거점지역에 헬리콥터 15대를 배치하여 신속하게 취재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46개의 지역방송국을 7개의 거점방송국으로 분할하여, 거점방송국마다 40여명의 카메라맨을 상주시켜 언제든지 재난을 취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송 주파수는 공공재(公共材)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으로부터 주파수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파수에 관한 사용 권한은 각국의 국민 모두에게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주파수 활용을 전제로 정부가 일정한 자격을 갖춘 방송사업자에게 일시적으로 주파수 사용권을 위임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 정부도 국가적인 위기나 대형 재난발생으로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받고 있을 때에는 공공재인 주파수를 즉시 재난방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해대책기본법 제6조>와 방송법 제108조에 규정하고 있다.

  • PDF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or Counter-Piracy Efforts - Focusing on Counter-Piracy Operations Off the Coast of Somalia - (해적퇴치를 위한 국제공조 확대 방안 - 소말리아 해적퇴치 방안을 중심으로 -)

  • Kim, Duk-Ki
    • Strategy21
    • /
    • s.31
    • /
    • pp.251-293
    • /
    • 2013
  • 해적은 공해상 해상안전을 위협 한다는 점에서 '인류공동의 적'으로 규정되어 모든 국가가 이를 규제할 수 있는 보편적 관할권이 행사되는 범죄이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말라카해협 통항에 관해 깊은 이해관계를 갖고 있어 해적 소탕에 대한 의지가 강한 편이다. 이러한 의지는 2006년 '아시아해적퇴치정보공유센터(ReCAAP ISO)'의 창설에 밑거름이 되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 해적이 출현하면 동 센터를 통해 17개국 회원국으로 즉시 통보되고, 주변국의 해경과 해군이 유기적인 작전을 통해 해적을 효율적으로 퇴치하고 있는 모범사례다. 그러나 2009년 소말리아 내란에 따른 무정부 상태가 지속되면서 소말리아 및 아덴만에서의 해적활동이 극성을 부리기 시작했으며, 선박납치 행위가 급증하자 세계 각국에서 함정과 항공기를 파견하여 해적퇴치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나 근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적의 활동해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시작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소말리아 해적의 근본원인은 국가의 붕괴에서 비롯된 치안부재와 열악한 경제사정 등 내부적인 요인이 크기 때문에 다국적 해군 활동으로 인한 근본적인 해적퇴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국제적인 차원에서 '지역협력협정'체결은 물론, 소말리아 국가재건을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다 더 근본적인 해결책은 유엔차원에서 빠른 시간 내에 소말리아가 정치적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치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며, 해적과 테러리스트가 연계됨으로써 국제문제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해적문제는 특정국가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초국가적인 문제임을 감안하여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851호에서 '지역 센터' 설립을 권고하고 있는 것처럼 2006년 아시아 국가들이 설치한 ReCAAP ISO와 같은 형태의 지역국가 간 협력기구 또는 유엔 차원의 해적 전담기구를 설치하여 국제사회 공조 하에 해적에 대처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최근 발생하고 있는 해적행위는 주로 항구 등 내수, 영해 등 연안국의 관할권이 행사되는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어 유엔해양법상의 규정은 이러한 '해적' 퇴치에 더 이상 효율적이지 못하다. 국제사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국제해사기구 (IMO) 등 국제기구를 통해 영해내의 해적 처벌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향후 궁극적으로는 유엔해양법협약의 개정을 통해 법적인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전술적인 측면에서도 지상에 기지를 두고 있는 해적들의 지도부가 그 동안 쌓아 놓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국적 해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대응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나름대로의 생존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선박을 납치한 후 소말리아 연안으로 이동하면서 해군함정과 대치하는 과정에서 해적들이 살상을 당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지금까지는 피랍된 선박의 선원을 단순히 해적활동에 참여시키거나, 항해지원을 위한 목적 등으로만 활용했는데, 앞으로는 해적들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선원들을 방패막이로 활용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참가하는 해군함정 또는 부대간 해적들의 활동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등 사전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군함이 삼호주얼리호를 납치했던 소말리아 해적을 한국까지 대리고 와서 처벌하는 것은 불합리하고,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해적처벌을 위한 국제사법기구의 설치가 요구된다. 회원국 분담금으로 운영되는 유엔에 산하기관을 설치하여 소말리아 인접국에서 해결하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선박회사에서도 자국 선박이 위험구역으로 지정된 해역을 항해할 경우를 대비해서 선박자동식별 시스템 구축을 확대하고, 해적이 선박에 승선했을 경우를 대비해서 안전구역(citadel)을 설치하여 선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해양안보는 어느 특정국가에게만 주어진 것이 아니며, 해적행위도 특정 국가의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각국 정부간 공동의 협력과 국제사회의 공조가 반드시 실현될 때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선박의 안전과 국제사회의 평화가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Comprehensive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through Efficient Inspection Method according to Necessity of Upgrading System Vulnerability (시스템 취약점 개선의 필요성에 따른 효율적인 점검 방법을 통한 종합 보안 취약성 분석 시스템 설계)

  • Min, So-Yeon;Jung, Chan-Suk;Lee, Kwang-Hyong;Cho, Eun-Sook;Yoon, Tae-Bok;You,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1-8
    • /
    • 2017
  • As the IT environment becomes more sophisticated, various threats and their associated serious risks are increasing. Threats such as DDoS attacks, malware, worms, and APT attacks can be a very serious risk to enterprises and must be efficiently managed in a timely manner.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designated the important system as the main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impact on the national security and the economic societ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Protection Act', which, in particular, protects the main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rom cyber infringement. In addition, it conducts management supervision such as analysis and evaluation of vulnerability, establishment of protection measures, implementation of protection measures, and distribution of technology guides. Even now, security consulting is proceeding on the basis of 'Guidance for Evaluation of Technical Vulnerability Analysis of Major IT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re are neglected inspection items in the applied items, and the vulnerability of APT attack, malicious code, and risk are present issues that are neglected. In order to eliminate the actual security risk, the security manager has arranged the inspection and ordered the special company.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check against current hacking or vulnerability through current system vulnerability checking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for extracting diagnostic data regarding the necessity of upgrading system vulnerability check, a check item that does not reflect recent trends, a technical check case for latest intrusion technique, a related study on security threats and requirements. Based on this, we investigate the security vulner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vulnerability list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propose effective security vulnerability management system, and propose further study to improve overseas vulnerability diagnosis items so that they can be related to domestic vulnerability items.

Authentication and Group Key Management Techniques for Secure Communication in IoT (IoT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인증 및 그룹 키 관리 기법)

  • Min, So-Yeon;Lee, Jae-S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76-82
    • /
    • 2019
  •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the deployment of smart devices provide a convenient environment for people, and this is becoming common with the technology called the Internet of Things (IoT). But the development of, and demand for, IoT technology is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s due to the attacks of hackers who exploit it. A number of devices are connected to a network, and network attacks that have been exploited in the existing PC environment are occurring in the IoT environment. When it comes to IP cameras, security incidents (such a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attacks, hacking someone's personal information, and monitoring without consent) are occurr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implement existing security solutions because memory space and power are limited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devices in the IoT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ecurity protocol that can look at and prevent IoT security threats. A security assessment verified that the proposed protocol is able to respond to various security threats that could arise in a network.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efficient operation of this protocol will be possible if it is applied to the IoT environment.

A Real-Time and Statistical Visualization Methodology of Cyber Threats Based on IP Addresses (IP 주소 기반 사이버공격 실시간 및 통계적 가시화 방법)

  • Moon, Hyeongwoo;Kwon, Taewoong;Lee, Jun;Ryou, Jaecheol;Song, Jung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0 no.3
    • /
    • pp.465-479
    • /
    • 2020
  • Regardles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governments/companies, SOC (Security Operation Center) has operated 24 hours a day for the entire year to ensure the security for their IT infrastructures. However, almost all SOCs have a critical limitation by nature, caused from heavily depending on the manual analysis of human agents with the text-based monitoring architecture. Even though,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 technologies for a comprehensive visualization against complex cyber threats have been studying, most of them are inappropriate for the security monitoring in large-scale networks.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a novel visual approach for intuitive threats monitoring b detecting suspicious IP address, which is an ultimate challenge in cyber security monitoring. The approach particularly makes it possible to detect, trace and analysis of suspicious IPs statistically in real-time manner. As a result, the system implemented by the proposed method is suitably applied and utilized to the real-would environment. Moreover, the usability of the approach is verified by successful detecting and analyzing various attack IPs.

COVID-19-related Korean Fake News Detection Using Occurrence Frequencies of Parts of Speech (품사별 출현 빈도를 활용한 코로나19 관련 한국어 가짜뉴스 탐지)

  • Jihyeok Kim;Hyunchul Ah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2
    • /
    • pp.267-283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December 2019 and continues to this day, has left the public needing information to help them cope with the pandemic. However, COVID-19-related fake news on social media seriously threatens the public's health. In particular, if fake news related to COVID-19 is massively spread with similar content, the time required for verific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genuine or fake will be prolonged, posing a severe threat to our society. In response, academics have been actively researching intelligent models that can quickly detect COVID-19-related fake news. Still, the data used in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are in English, and studies on Korean fake news detection are scarce. In this study, we collect data on COVID-19-related fake news written in Korean that is spread on social media and propose an intelligent fake news detection model using it. The proposed model utilizes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parts of speech, one of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o improv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fake news detection model based on Doc2Vec, a document embedding technique mainly used in prior studie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d model can more accurately identify Korean COVID-19-related fake news by increasing the recall and F1 score compared to the comparis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