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 분석

Search Result 9,41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실용적인 위험분석 도구의 개발

  • Lee, Dong-Ho;Kim, J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76-191
    • /
    • 2005
  • 기존의 정보기술 위험분석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캐나다의 CSE에서 발표한 위험관리 방법론, 미국의 NIST에서 발표한 FIPS 65 정보보호 관리지침에서의 위험분석 방법론, 그리고IS0/IEC JTCl SC27의 정보보호 관리지침 등이 있으며, 위험분석 자동화 도구는 크게 국외와 국내로 나뉘어 국외의 경우 영국의 정성적 위험분석 방법론의 대표적 도구인 CRAMM, 미국의 정량적 위험분석 방법론 도구인 BDSS, 그리고 네트워크 위험분석 중심의 Expert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개발/활용 되고 있다. 한편, 국내 위험분석 자동화 도구로는 한국전산원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한 위험분석 자동화 도구인 HAWK와 KAIST/펜타 시스템이 있다.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외 위험분석 방법론들의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위험분석 방법론을제안하고 실용적으로 위험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도구를 개발하고 구현하였다. 세부적으로 위험분석 수행의 절차와 개념적 모형화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표준적 틀을 유지하면서 현재 국내의 실무에 적합하며 간결한 위험분석 도구를 제시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isk Analysis Tool for System Unit (시스템 단위의 정량적 위험분석 도구 개발)

  • 박현우;방영환;이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71-873
    • /
    • 2003
  • 정보시스템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위험을 식별 및 측정하는 위험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험수준 평가, 보안대책에 의한 위험감소 및 잔여위험 분석이 가능한 정량적 위험분석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적용한 위험분석 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여 보인다.

  • PDF

Risk Value Calculation Method for Moderate Risk Concentration Type at Qualitative Risk Analysis Phase (정성적 위험분석 단계에서 중간위험 집중형 위험도 산정 방법)

  • Kim, Seon-Gyo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2
    • /
    • pp.38-45
    • /
    • 2015
  • The risk analysis phase of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process is subdivided into the qualitative risk analysis that plays a major role, and the quantitative risk analysis acting as a supportive role. The traditional calculation method for quantifying a risk value that has been applied so far is an equation to multiply a probability by an impact simply, but its result shows the low risk value biased distribution. Although another equation that shows the high risk biased distribution as an alternative of traditional method was proposed, both of the low or high risk biased equations do not match with the statistical general knowledge that most natural phenomenons are close to the normal distribu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risk value calculation method that is concentrated to the moderate risk value. Because the risk value distribution by a new method shows a normal shape similar to natural phenomenon, it helps to choose a middle level not biased to the low or high levels when choosing the level of risk response. Furthermore, it c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flexibility and rationality of risk analysis method by providing additional options for the risk value calculation.

Analysis of occurrence of red water or turbid water in real water distribution system (실제 상수관망의 적수/탁수발생 위험인자 도출 및 위험관 분석)

  • Han, Jin Woo;Kim, Hyeong Gi;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1-391
    • /
    • 2022
  •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고 탁수 및 적수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상수도관 중 경과년수를 초과한 노후 상수도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전체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상수도관의 적수 및 탁수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개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개선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수 및 탁수발생을 일으키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로 분류하여 적수와 탁수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퇴적위험도의 인자에는 평균유속지수, 정체지수, 관경지수, 경과년지수, 그리고 관길이지수를 적용하였고 박리위험도의 인자에는 유속차이지수, 유향변화지수, 영향범위지수, 관길이지수, 그리고 수충격지수를 적용하여 위험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용 지역은 인구 85만명의 중도시이며 4개동에 걸쳐서 위험도분석을 진행하였고 퇴적위험도가 높은 관과 박리위험도가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결과분석을 통해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 모두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인자들 중에서 유속 관련지수의 경우 박리위험도에서는 유속이 빠를수록 위험도가 높고 퇴적위험도에서는 느릴수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박리와 퇴적위험도가 모두 높다는 것은 수질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지역(동)에서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개발된 경관년수가 오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3배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과년수가 오래된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의 경우, 가장 높은 관의 박리위험도가 가장 낮은 위험도와 7배 이상이 차이가 났고 퇴적위험도의 경우 약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과년수에 의한 차이뿐만 아니라 인구감소나 인구고령화로 인해 낮 시간 수도사용량이 매주 적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상수도의 적수 및 탁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관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감독을 진행한다면 상수도 수질문제로 인한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Risk Analysis Framework (효율적인 위험분석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Cho, Joon-Sic;Eom, Jung-Ho;Kim, In-Joong;Chung, Ta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929-932
    • /
    • 2002
  • 네트워크와 인터넷의 발달로 국내 정보시스템의 환경이 복잡해지고, 그에 따른 위험도 증가함에 따라 정보시스템에 대한 위험관리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기 시작했다. 현재 국내 정보시스템에 대한 위험관리는 외국의 위험관리 방법론을 도입하여 수행하고 있으나, 국내 정보시스템 환경에 맞지 않아 체계적이고 정확한 위험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기업 및 연구소 등에서 국내 환경에 맞는 위험관리 방법론을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 그 결과가 미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위험관리를 위해 효율적인 위험분석 방법론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위험분석 과정 중 자산분석, 취약성분석, 위협분석, 대응책분석을 국내외 표준을 기반으로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isk Analysis system for Software Product Quality Improvement (소프트웨어 제품품질 개선을 위한 위험분석 시스템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연구)

  • Jang, Jin-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5227-5232
    • /
    • 2014
  • Better quality software can be made by eliminating the software product risk in the early stages. To achieve this task, a risk analysis system that can effectively track and manage risks that have severe effects on software quality is needed. The existing risk analysis systems have some weaknesses as they are applied to organizations. The major problems of those systems are that they require organizations to collect as much risk data at a time without providing a proper explanation and even without the support of a risk management process. This paper resolves those problems by developing a risk analysis system that offers methods of managing risks. In addition, the system provides the guidelines of which risks should be gathered for each step. The system also has functions to generate a range of strategy and analysis information on risks.

Methodology of Analyze the Risk Using Method of Determinated Quantity (정량적 방법을 이용한 위험분석 방법론 연구)

  • Park, Joong-Gil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7 s.110
    • /
    • pp.851-858
    • /
    • 2006
  • The risk analysis's aim is analyze the risk for the asset of organization with asset assessment, vulnerability assessment, threat assessment. existing TTA risk analysis methodology model propose to overall flow, but can not propose to detail behavior or each level. That is, step of risk analysis is insufficient in classification of threat and detail proposal of considered the risk with classified threat. So this paper propose that analysis and evaluate the vulnerability and threat assessment with determinated quantity. this paper consider current national information system and threat of environment and technology. So can estimate the risk with determinated quantity. Finally, analyze the asset risk of organization.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이동준;나성;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2-224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해상 운용은 인간의 개입 최소화 등 새로운 운용 방식의 적용과 첨단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기존 선박의 운용과 다른 형태의 다양한 새로운 위험요소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박과 달리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로 운용되는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감지 및 제어,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들에 대한 Faul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시나리오 표현을 위하여 기관구역 화재와 화물구역 화재로 분류하여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운용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여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90년대(年代) 국내(國內) 금융기관(金融機關)의 환율위험(換率危險) 분석(分析) -주가(株價)의 환율탄력성(換率彈力性)을 중심(中心)으로-

  • Ham, Jun-Ho;Yu, Jae-Gyu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2
    • /
    • pp.55-103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의 주요 파급경로 중 하나인 금융부문의 환율위험 노출현상을 90년대 우리나라의 실제 데이터를 통하여 실증분석함에 있다. 동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장부상 나타나는 회계적 환율위험 대신 간접적인 경제적 위험을 포함하는 포괄적 환율위험을 분석의 대상으로 정의하고, 시장에서 평가되는 금융기관의 기업가치가 환율변동에 얼마나 민감하게 노출되어 있는가를 동 위험의 측정수단으로 채택하였다. 또한 랜덤워크모형과 더불어 일종의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에 환율위험요인을 추가하여 모형을 구성함으로써 실증분석의 이론적 적합성을 제고하였다. 시장평균환율제도가 채택된 90년 3월부터 최근까지를 표본기간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가능하다. 첫째, 산업별로는 은행 및 보험산업이 비교적 환율위험에 노출되지 않았던 반면, 종금 및 증권산업은 환율위험에 상대적으로 크게 노출되어 있었으며, 동 노출의 방향은 원화가치의 절하가 금융기관의 시장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었다. 둘째, 종금 및 증권산업의 경우 95년 이전보다는 이후의 시기에 환율위험에 대한 노출도가 유의하게 나타나 90년대 후반기에 가속화된 자본거래 자유화가 이들 금융기관의 환율위험 노출정도를 증가시켰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은행 및 종금부문을 대상으로 개별 금융기관 주가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은행산업 또한 90년대에 걸쳐 환율위험에 유의하게 노출되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은행부문보다는 종금부문이 노출도의 크기나 통계적 유의도면에서 환율위험에 더욱 노출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개별 금융기관의 환율위험 노출도를 추정한 결과 은행부문은 약 19%(상장은행 26사 중 5개), 종금부문은 약 52%(상장종금사 29사 중 15개)가 환율위험에 유의하게 노출되고 있었으며 이들 은행의 절반 이상 그리고 종금사의 대부분이 원화절하가 금융기관 시장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 실증분석 결과는 97년말 급격한 원화가치의 하락이 이들 금융기관, 특히 종금부문의 재무건전성 악화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침으로써 금융위기를 더욱 촉발시키는 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Empirical Validation of Risk Analysis Model in Electronic Commerce (전자상거래환경에서 위험분석방법론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

  • 김종기;이동호;서창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4 no.4
    • /
    • pp.61-74
    • /
    • 2004
  • Risk analysis model is systematic and structural process that considers internal security problems and threat factors of the information systems to find optimal level of security control. But, the risk analysis model is just only defined conceptually and there are not so many empirical studies. This research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research methodology with rigorously validated research instrument.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risk analysis methodology was proved to be practically useful in e-commerce environment. Factors like threat and contr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isk.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general situation or environment of information security for analyzing and managing the risk and providing new approach to comprehend concept of risk in e-commerc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