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판단

Search Result 1,94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인조매트 설치동향과 화재위험성 분석

  • Min, Se-Hong;Lee, Jae-Mun;Gwon, Yeong-Hui;Kim, Seok-Jun;Kim, Yeon-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33-34
    • /
    • 2013
  • 최근 인조녹화재료의 대표적 제품으로 인공녹지조성, 스포츠시설에 많이 사용되는 인조매트는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주로 건축물 실내에 바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실내용 바닥재 관련 규정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조매트를 사용하는 시설 중 화재위험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실내골프연습장의 시장조사를 통하여 실제 적용된 인조매트의 화재위험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PDF

GIS-based Subsidence Hazard Map in Urban Area (GIS 기반의 도심지 지반침하지도 작성 사례)

  • Choi, Eun-Kyeong;Kim, Sung-Wook;Cho, Jin-Woo;Lee, Ju-Hy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3 no.10
    • /
    • pp.5-14
    • /
    • 2017
  • The hazard maps for predicting collapse on natural slopes consist of a combination of topographic, hydrological, and geological factors. Topographic factors are extracted from DEM, including aspect, slope, curvature, and topographic index. Hydrological factors, such as soil drainage, stream-power index, and wetness index ar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lope instability. However, most of the urban areas are located on the plain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hazard map using the topography and hydrological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risk of subsidence of flat and low slope areas, soil depth and groundwater level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as a factor for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hazard map was compared with the disaster history of the study area (Gangnam-gu and Yeouido district). In the disaster map of the disaster prevention agency, the urban area was mostly classified as the stable area and did not reflect the collapse history. Soil depth, drainage conditions and groundwater level obtained from boreholes were added as input data of hazard map, and disaster vulnerability increased at the location where the actual subsidence points. In the study area where damage occurred, the moderate and low grades of the vulnerability of previous hazard map were 12% and 88%, respectively. While, the improved map showed 2% high grade, moderate grade 29%, low grade 66% and very low grade 2%.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actual damage.

Study on Establishment Criteria of Dam Emergency Action Plan (댐 비상대처계획(EAP) 수립기준 연구)

  • Park, Ki-Chan;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57-257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댐 저수지 붕괴에 대한 원인 분석과 기존의 관련 연구 및 지침 등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실무에서 적용되고 있는 댐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 대상 기준에서 제외되는 시설물의 붕괴 가능성 평가를 통해 EAP 수립 대상의 적정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붕괴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 판단 기준을 각 요인별로 제시하고, EAP 수립 대상에서 제외되는 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붕괴 가능요인을 적용하여 3개 이하의 붕괴요인에 해당될 경우 저위험군, 4개 및 5개의 붕괴요인에 해당될 경우 중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각각 분류하여 시설물 붕괴 위험성 정도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댐 저수지 붕괴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붕괴 가능성의 주요 요인으로는 저수용량, 제체 높이, 준공 경과연수, 우심피해 및 지진피해 잠재지역이 포함되며, 각 요인별 객관적인 판단기준은 댐 저수용량의 경우 EAP 법적 수립기준 및 과거 붕괴사례 등의 분석을 토대로 붕괴사례 61개소 중에서 약 88%를 차지하는 저수용량 10만톤을 선정하였으며, 댐 높이의 경우 댐의 파괴양상(이종태, 1987)에서 제시한 댐 붕괴부 특성과 미국주댐안전협회(ASDSO: American Society of Dam Safety Official) 학술지인 Dam Safety(2006) 등에서 제안한 기준을 기존의 댐?저수지 붕괴사례에 적용하여 댐 붕괴폭과 댐 높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댐 높이 8m 이상을 적정 범위로 고려하였다. 준공 경과연수의 경우에는 국민안전처 "재해위험저수지 댐 관리 지침" 타당성 평가기준인 '시설노후도' 기준과 한국시설안전공단 사회간접자본 노후화 기준에 해당하는 경과연수 기준을 토대로 30년 이상을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우심피해 및 지진피해 잠재지역은 국민안전처 재해연보(2014)를 기준으로 과거 10년 동안의 우심피해 발생 지역과 기상청 국내 지진 규모 10위권 내에 포함되는 지역을 고려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설물 붕괴 가능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국민안전처에서 고시한 EAP 수립 대상에서 제외되는 지자체 재해위험저수지 354개소에 적용해 본 결과, 저위험군 16개소, 중위험군 5개소, 고위험군 2개소로 각각 조사되었다. 저위험군은 전문 시설물 관리자에 의한 주기적인 시설물 점검 및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중 고위험군에 속하는 시설물의 경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물 하류지역의 실질적인 인명 및 경제적 피해 가능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조사를 통해 EAP 수립 대상 포함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Vulnerability Map of Fire in Seoul (서울시 화재위험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Kang, Youg-Ok;Park, Mi-Ra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95-200
    • /
    • 2005
  • 도시의 안전을 위해서 재해 발생시 대응 및 복구와 같은 사후처리도 중요하지만 재해에 취약한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적 차원에서 이러한 지역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관리차원에서 필요한 방재지도의 유형 중 하나로 화재를 상정하여, 화재위험지역을 선정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맞춰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화재위험지도를 시범적으로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화재위험지도성은 방재업무에 있어 지역성에 기초하여 취약지구를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지구단위계획 등의 도시계획업무에서 방재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및 도시계획시설 배치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isk Assessment of Urban Patrol Robots Using CPTED (CPTED를 활용한 도시순찰로봇 위험성평가)

  • Kim, Hae-Do;Jeon, Jin-Woo;Lee, Jong-Kuk;Park, Kyo-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73-2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순찰로봇이 도시 환경을 주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CPTED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순찰 경로를 선정하였으며,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로봇과 함께 도보를 사용하는 시민은 로봇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며,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도시환경의 경우 돌발적 상황 및 환경관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현재 순찰로봇 안전평가를 하기 위하여 순찰로봇과 관련된 기업들은 ISO 13482 국제표준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개인 서비스 로봇의 안전 관련 국제 표준이며 순찰로봇의 특징과 주행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순찰로봇이 주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순찰로봇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초기연구 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Health Evaluation Indicators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노거수의 건강 위험도 평가 요소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 Xia, Tian-Tian;Zhang, Zhong-Feng;Kang, Ta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6
    • /
    • pp.149-159
    • /
    • 2017
  •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health and protection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concentrating on empirical judgment and basic protection measures. The problem this study addresses i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health evaluation indicators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Firstly, this study exports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degree of danger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are composed of two layers: 5 fields and 46 indicators. Secondly, using the AHP and PCA method can determine the weight of each field and each index factor. The process of AHP establishes the relative importance judgment matrix of each field and fully proves that the main cause of danger is individual aging. The PCA method suggested that trunk rot status, light conditions, tree surgeries, bacterial diseases, and soil moisture level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ach field. These aspects should be given priority in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Weight values obtained in this study seemed to be useful in the evaluation of Old-growth and Giant Trees.

Possibility of Fishery in Offshore Wind Farms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어업 가능성에 관한 고찰)

  • Jung, Cho-Young;Hwang, Bo-Kyu;Kim, S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5
    • /
    • pp.535-54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fishery in offshore wind farms and evaluate the risk linked to the presence of turbines and submarine cables in these areas. With this objective, we studied an offshore wind farm in the Southwest Sea and the current state of vessels in the surrounding National Fishing Port. The risk assessment criteria for 22 fishing gears and methods were set by referring to the fishing boats; thereafter, the risk was assessed by experts. The fishing gears and methods that could be safely operated (i.e., associated with low risk) in the offshore wind farm were: single-line fishing, jigging, and the anchovy lift net. The risk was normal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but the fishing gears and methods that need attention are: the set long line, drifting long line, troll line, squid rip hook, octopus pot, webfoot octopus pot, coastal fish pot, stow net on stake, winged stow net, stationary gill net, and drift gill net. Moreover, the fishing gears and methods difficult to operate in the of shore wind farm (i.e., associated with high risk) were: the dredge, beam trawl, and purse seine. Finally, those associated with very high risk and that should not be allowed in offshore wind farms were: the stow net, anchovy drag net, otter trawl, Danish seine, and bottom pair trawl.

Accuracy review of inundation prediction using CRITIC method (CRITIC 기법을 활용한 침수예측 정확도 검토)

  • Kim, Young In;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0-120
    • /
    • 2019
  • 국내에서는 예측 불가능한 재난으로 인한 침수 피해 발생사례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침수 피해 예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에는 주로 수치모형을 통한 침수예측을 하였고, 정보통신기술도 발달해왔지만 아직까지 수치모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침수 피해의 실시간 예측이 힘든 상황이다. 이에 국립재난안전연구원(2017)에서 침수예측을 위한 보간 모델인 SIND(Scientific Interpolation for Natural Disaster) Model을 개발하였다. 이는 보간을 이용한 모델이기 때문에 그동안 사용해왔던 물리 모형보다 간단하다. 그러나 정확한 값이 아닌 보간을 이용한 모델이기 때문에 정확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pping분야에서 사용하는 CRITIC(CRiteria Importance Through Intercriteria Correlation) 기법을 활용하여 지도의 정확도 검토를 수행하였다. CRITIC은 형상기준, 위치기준, 면적기준을 이용하여 형상유사도를 산정하는 방법이며, 이 기법을 활용하여 국가가 제공한 침수예상도(국립해양조사원, 2010)와 SIND모델 결과 지도를 비교하였다. 형상기준은 지도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지수를 비교하고, 위치기준은 지도의 무게중심의 일치정도, 면적기준은 형상 면적을 비교하는 것이다. 지도는 총 300여개의 매칭 객체 쌍을 가지고 수행하였고, 위험도 등급은 Grade 1부터 Grade 5 까지 분류하여 나타내었다. 연구 대상지역은 ${{\bigcirc}{\bigcirc}}$시이다. 그 결과, 형상유사도는 약 200여개의 매체쌍이 0.80 이상의 값을 나타냈고, 나머지 매체 쌍은 0.75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위험도 등급이 낮을수록 형상유사도 값은 크게 나타나고, 위험도 등급이 높을수록 형상유사도 값이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위험도 등급이 높은 곳의 경우, 해안선의 복잡한 지형형태 때문으로 판단된다. Mapping 분야에서 형상유사도 적합성 기준이 0.75이므로 결과는 60%이상이 정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를 수행했던 간단한 방정식을 이용한 SIND 모델은 정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복잡한 지형과 현재 고려되고 있는 영향인자 외에 다양한 구조물 등을 고려한다면 형상유사도가 향상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Risk Model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Dam and Levee: II. Application (댐 및 하천제방에 대한 위험도 해석기법의 개발 : II. 적용 예)

  • Han, Geon-Yeon;Lee, Jo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6
    • /
    • pp.691-698
    • /
    • 1997
  • The risk assessment model for dam and levee is applied to a river where two adjacent dams are located in the upstream of the watershed. "A" dam is proven to be safe with 200-year precipitation and unsafe with PMP condition, whereas "B" dam to be safe with 200-year precipitation and PMP condition. The computed risk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of the runoff coefficient. initial water depth and relevant data of the dam and spillway turn out to be equivalent results in Monte-Carlo and AFOSM method. In levee risk model, this study addresses the uncertainty of water surface elevation by Manning's equation. Monte-Carlo simulation with the variations of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is calculated by assuming that it follows atriangular distribution. The model can be used for preparing flood risk maps, flood warning systems, and establishing nation's flood disaster protection plan.

  • PDF

Assessment of Defect Risks in Apartment Projects based on the Defect Classification Framework (공동주택 하자분류체계 기반 하자위험 평가)

  • Jang, Ho-M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61-68
    • /
    • 2018
  • In general, defects cause a lot of maintenance costs and serious damage to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the owners, contractors or occupants of apartments. For this reason, a systematic and efficient defect management method is needed to minimize defect disputes. This paper derives a defect classification framework and proposes a defect risk assessment model for different types of defects. For this purpose, 6,000 defect items are allocated to the defect classification framework; these items are associated with 34 apartment projects over ten years ol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fect risks are concentrated in the areas of RC and finishing work.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major risks of defects according to their priority.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judged that further research to develop a method of managing the risks of defects may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