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험유발요인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9초

미얀마 부동산 개발형사업 기획단계의 리스크 요인 추출 및 AHP 중요도 분석 (Extracting Risk Factors and Analyzing AHP Importance for Planning Phase of Real Estate Development Projects in Myanmar)

  • 김수용;정재훈;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3-11
    • /
    • 2021
  • 미얀마는 아시아 국가 중 개발 가치가 높은 미개발 국가이다. 이에 미국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 시장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의 수요는 외국인들의 유입 증가와 미얀마 경제성장에 따라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미얀마는 국가적 리스크를 포함해 해외 진출기업의 측면에서 위험도가 높은 국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에 관한 자료분석을 실시해 리스크 유발요인을 추출한 후 전문가(법률, 금융, 기술, 현지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106가지 리스크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친화도법을 활용해 3차에 걸친 그룹핑 작업을 실시하여 최종 리스크 분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AHP 기법을 활용해 각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해당 국가 관련 리스크, 자금 관련 리스크, 분양 관련 리스크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미얀마 부동산 개발형사업의 진출기업에게 리스크관리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1,250 g)에서 고나트륨혈증 발생 및 뇌출혈과의 관계 (Hypernatremia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1,250 g))

  • 이수호;소철환;금승운;유승택;최두영;오연균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89-95
    • /
    • 2011
  • 목적: 고나트륨혈증은 미숙아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미숙아 중 극소 저체중 출생아(<1,250 g)에서 과나트륨혈증의 발생빈도, 출현시기, 발생의 위험요인을 알아보며, 뇌출혈 발생과의 관계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원광대학교 병원NICU에서 7일 이상 생존하였던 1,250 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 5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출생 후 6일 동안 고나트륨혈증의 발생빈도, 출현시기, 고나트륨혈증 유발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Na 투여량, 수액 공급량, 소변배출양, 체중 감소, 그리고 뇌출혈 발생 유무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이들을 혈청 나트륨이 단 1회라도 150 mEq/L 이상으로 검사된 경우의 고나트륨혈증군과 비고나트륨혈증군으로 구분하여 비교 하였다. 결과: 1,250 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1) 고나트륨혈증의 빈도는 52.7%이고, 처음 출현한 시기는 출생 후 2.8${\pm}$1.3일이었다. 2) 고나트륨혈증을 보인 군의 Na 투여량이 보이지 않은군에 비해 더 많아 보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3) 고나트륨혈증을 보인 군과 보이지 않은 군의 수액투여량은 차이가 없었다. 4) 고나트륨혈증을 보인 군과 보이지 않은 군의 소변배출량은 차이가 없었다. 5) 고나트륨혈증을 보인 군(3.52${\pm}$2.19%)의 체중 감소가 보이지 않은 군(2.00${\pm}$3.24%)에 비해 생후 3일째 의의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P<0.05) 이후에도 체중감소의 정도가 더 심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6) 뇌출혈의 빈도는 38.2% (21/55명)이었으며, 고나트륨혈증을 보인 군(14/29명, 41.4%)과 보이지 않은 군(9/26명, 34.6%)의 뇌출혈 발생 빈도의 차이는 의의가 없었다.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출생초기의 고나트륨혈증은 자주 유발되며 출생 초기의 심한 체중감소가 발생의 중요 요인으로 보이나, 약간 높은 혈청내 Na 농도는 뇌출혈 발생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기계적 환기 요법이 미숙아 위식도 역류에 미치는 영향 (Gastroesophageal Reflux in Mechanically Ventilated Preterm Infants)

  • 구혜진;박수은;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48-53
    • /
    • 2004
  • 목 적: 기계적 환기 요법 시 삽입된 비위관으로 인한 식도 운동 기능의 저하와 가해진 양압이 위식도 압력차를 감소시켜 미숙아에서 위식도 역류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기에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기계적 환기 요법이 위식도 역류에 미치는 영향과 유발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신생아 가사 등의 원인으로 기계적 환기 요법을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4시간 식도 산도 측정은 DIGITRAPPER MK III (Synectics Medical AB, Stockholm, Sweden)를 이용하였고, 탐촉자로는 antimony electrode를 사용하였다. 역류의 정도를 알아보는 지표들로는 역류 지수, 역류 횟수, 5분 이상 지속되는 역류 횟수, 가장 긴 역류의 지속 시간, 총 역류 횟수 중 5분 이상 지속된 역류 횟수의 비 등 5개의 지표 중 2개 이상이 기준에 합당할 경우 의미있는 위식도 역류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환아의 평균 재태 기간은 30.9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568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8일이었다. 미숙아 중 4명(남아 3명, 여아 1명)에서 의미있는 위식도 역류가 있었다. 역류가 없었던 군이 재태 기간이 짧았고, 평균 체중이 작았으며,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가 많은 경향은 보였지만 대상 수가 적어 통계학적인 의미를 두기 어려웠다. 의미있는 위식도 역류가 동반된 군과 역류가 없었던 군 사이에 호흡기 설정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위식도 역류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발견할 수는 없었으며, 기계적 환기 요법시 위식도 역류의 빈도가 이전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 기계적 환기 요법이 미숙아의 위식도 역류에 큰 위험 요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인의 SLC25A26 유전자 다형성과 위염, 위궤양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LC25A26 Polymorphism and Gastritis and Gastric Ulcers in Koreans)

  • 박소연;황다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291-297
    • /
    • 2023
  • 위염과 위궤양은 위 점막에 염증이 생기고 상처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과거 연구는 주로 환경적 요인이 위 질환의 주요 요인이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나, 최근 유전자 연구의 발전으로 유전적 요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SLC25A26은 활성산 소종의 축적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이다. 산화 스트레스는 염증반응을 촉진하여 활성 산소를 증가시키고 세포 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는 위 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SLC25A26과 위 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위 질환 환자 1,369명과 건강한 대조군 7,471명을 대상으로 SLC25A26 내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단일 염기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e)과 13개의 SNP (imputation)가 통계적인 유의성(P<0.05)을 가지고 높은 위 질환과의 상대 위험도를 보였다. 그 중 SLC25A26의 rs13874가 위 질환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유전자형 기반 mRNA 발현 분석에 따르면 SLC25A26이 minor allele를 가지면 mRNA 발현이 증가하고 이는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SLC25A26 다형성은 위질환과 관련이 있어 우리나라 인구에서 위 질환 관리의 새로운 지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만성적인 스티렌 노출 근로자에 있어 대사증후군 유발에 관여하는 위험요인의 생리적 수준 변화 (Changes of physiological levels of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induc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workers chronically exposed to styrene)

  • 허경화;구정완;원용림;김민기;고경선;이미영;김태균;김기웅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0-38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styrene on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e surveyed 263 employees, among whom 117workers we ere chronically exposed to styrene in glass-reinforced plastic boat manufacturing factories and 146 controls had never been occupationally exposed to styrene as will as hazardous chemicals. The general and job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moking and drinking habit, working hours and duration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except sleeping hours(p<0.05). Among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fasting gluco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posed workers.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waist circumference was insulin (OR=1.129), blood pressure was MA(OR=14.724), fasting glucose(OR=1.191) and metabolic syndrome(OR=1.11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sulin. The mean concentration of airborne styrene was $ 38.1{\pm}40.1$ ppm, blood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insulin and levels of HOMA-IR in over 50 ppm exposed group were higher than in blow 50 ppm expos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osure of styrene affects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and insulin levels and that dysfunction and/or declination in glucose and insulin metabolism might induced ultimately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syndrome.

모세관 맥동파 영상을 이용한 맥파 측정 시스템 (Pulse wave Measurement System by analyzing a Moving Pulse Image in the Capillary Tube)

  • 이우범;최창열;홍유식;이상석;남동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45-151
    • /
    • 2012
  •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요인 분석이 가능한 맥진기는 한방 의료기기에서 대표적인 연구 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대부분의 센서 기반의 맥진기는 측정시의 맥박 박동처와 센서부의 접촉상태에 따른 편위, 검출된 파형의 부정확성 및 파형분석의 어려움 등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는 특성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맥동에 의해서 유발되는 모세관 시험액의 상태 변화를 촬영한 맥동영상을 분석하여 환자의 맥파의 측정이 가능한 맥진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맥동영상 분석을 위한 시약영역 추출, 이진화, 수정된 열림연산, 변위측정 등의 영상처리 방법들이 적용된다. 제안한 맥진기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추출된 압맥파로부터 맥파분석에 필수적인 5가지 주요 특징점에 대한 추출률을 측정한 결과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다.

미국 청소년의 비만에 관한 종단적 분석 (Longitudinal Data Analysis for School-aged Adolescents' Obesity Rates across the States)

  • 김태응;김종호;황선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743-755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취학 아동-청소년의 BMI 변화율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그리고 청소년 발달 상태에 따른 비만을 유발하는 해로운 행동들이 청소년들의 비만 현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1999-2011 미국 청소년 위험 행동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연구 대상은 260,293명이다(9-12학년). 미국 취학 청소년들의 비만율에 미치는 종단적 시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영양 및 신체활동 관련 행위들을 공변량으로 통제한 최소자승법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 모델링이 활용되었다. 취학 청소년들의 BMI 퍼센티지는 시간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종단적 시간은 아이들의 BMI 퍼센티지에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난 10년 동안의 미국 아동 비만을 줄이기 위한 신체 활동 및 영양 정책은 미국 아동들의 비만 유지 및 감소를 위한 매우 효과적인 정책이었으며, 향후 청소년의 비만 요인 감소와 장애요소를 극복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는데 더욱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중량물 들고 내리기 농작업 자세의 에너지 소모량 평가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of lifting and lowering tasks for energy expenditure at farm work)

  • 심태용;김보리;윤수현;문정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45-145
    • /
    • 2017
  • 농작업 자세 중에서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고 내리는 자세는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의 유발행위로 분류된다. 이는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도구에 의해 위험도 별로 정량화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농작업 자세를 개선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작업자세 부하 평가방법들은 동적 자세를 평가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뿐 만 아니라 평가 과정에서 관찰자의 주관성이 개입 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적 자세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Energy expenditure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Energy expenditure는 체중, 성별 등과 같은 작업자 관련 변수와 중량물의 무게, 들어 올리는 높이, 빈도수 등과 같은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이용하여 최대 산소소비량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작업자 및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자동 측정하는 시스템은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와 깔창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6명), 여성(6명)을 대상으로 20kg의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Energy expenditure 값을 산출하였고, 산소소비량 측정 장비를 통해 획득된 최대 산소소비량($VO_2$)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Energy expenditure 값과 최대 산소소비량 간 상관관계는 0.984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0.9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에너지 대사율 평가시스템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실제 농작업 자세 부하를 동적인 상태에서 평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산소소비량 측정기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현장 적용성이 뛰어 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건강한 성인에서 발생한 일차성 흉쇄 관절 화농성 관절염 - 증례 보고 - (Primary Sternoclavicular Septic Arthritis in a Healthy Adult - A Case Report -)

  • 이우승;김엽;김택선;윤정로;이준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89-192
    • /
    • 2008
  • 흉쇄 관절의 화농성 관절염은 드문 질환으로 정맥주사 약물 남용, 당뇨 그리고 외상 등과 같은 선행성 요인과 연관되어 주로 발생한다. 진단이 지연될 경우 종격동염, 흉벽 농양 등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 검사 등을 시행하여야 하고 종격동염 및 흉벽 농양 등과 같은 합병증 발생 시는 흉쇄 관절 절제술을 고려하여야 한다. 저자들은 감염 유발 소인이 전혀 없는 건강한 52세 남자에서 발생하였으며 균 배양 검사상 포도상구균으로 동정되었고 감수성 항생제인 cefminox(첫 4주는 정맥주사, 그 후 2주는 경구투여)만으로 치유되었던 일차성 흉쇄 관절 화농성 관절염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좌심실비대 진단에서 심장초음파와 심전도검사의 정확성 (The Accuracy of Echocardiography and ECG in th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 양성희;이진수;김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66-672
    • /
    • 2016
  • 좌심실비대는 심혈관계의 합병증을 유발함으로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선별진단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초음파상 좌심실비대로 판단된 30~80대의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심전도검사와 비교 분석하였다. 좌심실질량지수와 Sokolow-Lyon 공식에 의해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두 검사 방법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ROC 분석을 이용하였다. 좌심실비대의 위험 요인인 나이와 체질량지수,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이 좌심실 비대 진단 검사의 기준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심장초음파로 진단된 50명의 환자에서 심전도검사에서는 21명만이 진단되었다. 분석결과로 심장초음파에서는 AUC 99%, 민감도 96%, 특이도 95%, 정확도 95.5%였으며, 심전도검사에서 AUC 76%, 민감도 62%, 특이도 76%, 정확도 68% 인 것으로 나타났다. 좌심실비대 진단에 있어 심장초음파와 심전도검사의 정확도를 비교했을 때 심장초음파가 정확성 높은 검사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차 선별검사로 심전도검사에서 정상 판정을 받더라도, 나이와, 체질량지수,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에 대한 수치를 고려하여 심장초음파 검사를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