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성평가시스템

Search Result 72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Human reliability analysis during maintenance in gas valve stations (개스밸브기지에서의 보수시 인간오류 평가)

  • 제무성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10a
    • /
    • pp.111-118
    • /
    • 1996
  • THERP(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방법론은 원전의 확률론적 위험성 평가(PSA)시 운전원과 작업자의 정량적인 인간오류평가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HRA Handbook이라고도 불리는 이 모델은 운전원 행위를 시스템 부품의 한 요소로 가정하고 인간오류를 평가한다. 본 논문은 이 방법론을 이용하여 원전 등과 같이 위험시설물 중의 하나인 개스밸브 기지에서의 작업자 보수시 인적오류를 평가하고 기계적 오류와 함께 인적오류 의 기여도를 계산하였다. 본 눈문에서는 이 방법론이 원전, 개스밸브 기지 뿐만아니라 석유화 학 플랜트와 같은 위험시설물의 인적오류 평가에도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Risk Assessment and Hazard Information Map Generation of Urban Areas (도시지역 위험도 평가 및 재해정보지도 제작)

  • Park, Ki-Youn;Choi, Woo-Suk;Kim, Weon-Seok;Yoo, Hwan-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63-368
    • /
    • 2005
  •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도시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들의 재해특성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이용해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위험도항목을 자연조건, 토지이용 및 건축물, 인구, 교통, 위험물취급시설로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항목별 위험도를 설정하여 등급화 하였으며, 침수위험도, 화재위험도, 대피위험도, 건물붕괴 위험도로 구분하여 재해지도를 제작함으로서 해당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시 재해요소를 적용할 수 있고, 재해발생시 사전대응 및 대피를 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Application Methods for Risk Assessment in Train Control Systems (열차제어시스템의 위험도 평가를 위한 적용 방법 분석)

  • Jo, Hyun-Jeong;Hwang, Jong-Gyu;Yang, Do-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195-1196
    • /
    • 2007
  • 최근 들어 컴퓨터화된 열차제어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장치들의 고장이 대규모 인명피해나 경제적 손실과 직결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열차제어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체계인 안전성 활동을 시스템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진행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안전성 활동 중에서 위험도 분석 및 평가를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그 중에 최적화된 새로운 방식을 한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정성적인 분석과 정량적인 분석의 특징을 혼합하여 절충한 제안하고자 하는 방식이 Best-Practice(BP) 위험도 분석 방식이다.

  • PDF

Study on the Evaluation of Ship Collision Risk based on the Dempster-Shafer Theory (Dempster-Shafer 이론 기반의 선박충돌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Jinwan Park;Jung Sik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5
    • /
    • pp.462-469
    • /
    • 2023
  •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ships to support determination on the risk of collision in a situation in which ships encounter each other and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Because several uncertainties are involved in the navigation of a ship, must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the risk of collision. We apply the Dempster-Shafer theory to manage this uncertainty and evaluate the collision risk of each target vessel in real time. The distance at the closest point approach (DCPA), time to the closest point approach (TCPA), distance from another vessel, relative bearing, and velocity ratio are used as evaluation factors for ship collision risk. The basic probability assignments (BPAs) calculated by membership functions for each evaluation factor are fused through the combination rule of the Dempster-Shafer theor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using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ata collected in situations where ships actually encounter each other, the suitability of evaluation was verified. By evaluating the risk of collision in real time in encounter situations between ships, collision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a can be prevented. This is expected to be used for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s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s for autonomous ships.

Flash Flood Risk Assessment for Mountainous Area using 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산지유역 돌발홍수 위험도 평가)

  • Lee, Jung-Ho;Park, Moo-Jong;Jun, Hwan-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37-341
    • /
    • 2010
  • 최근들어 기상 이변에 따라 단시간에 집중되는 국지호우로 인하여 돌발홍수(Flash Flood)에 의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대하천의 경우에는 각 홍수 통제소에 의한 홍수 예경보 시스템(Flood Warning System)을 통하여 본류 구간에서의 인명 및 재산 피해가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였으나 소하천에서는 반대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돌발홍수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홍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지유역의 돌발홍수 발생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돌발홍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려되는 요소들로는 유역경사, 하천경사, 강우특성 등이며, 이러한 서로 다른 단위의 평가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다기준의사결정방법 중 하나인 PROMETHEE 기법을 이용하였다. 주요 평가 인자들은 크게 지형특성, 지역특성 및 강우특성으로 구분되며, 각 평가 요소들간의 상대적인 가중치의 산정은 엔트로피 이론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위험도 평가 방법은 그 적용성을 검증하기위하여 17개의 소유역들을 포함하고 있는 봉화군 유역에 적용되었다. 적용 결과 봉화군 유역 내 17개의 소유역들은 돌발홍수에 대한 상대적인 위험도에 따라 고 중 저위험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과거 돌발홍수로 인한 피해 이력이 있는 소유역이 고위험군에 속해있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적용성이 검증되었다.

  • PDF

Long-Range Water Resources Prediction and Flood Risk Assessment using Climate Information (기후정보 활용 수자원 장기예측 및 중장기 홍수위험도 평가)

  • Yoon, Sunkwon;Choi, Jihy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17
    • /
    • 2018
  • 재난발생 위험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 요인을 줄이고 사전에 소멸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재난관리 관점에서 그것이 발생했을 때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에 대한 과정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복구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수반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정보를 활용한 중장기 수문예측을 실시하고 통합홍수위험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한 홍수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24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관련 위해성, 노출성, 취약성 자료를 수집하여 표준화하였으며, 전문가 Delphi-AHP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가중치를 적용하고 위험도를 예측 평가하였다. 이러한 중장기 위험 예측 정보는 한 달 또는 수개월 전에 지자체 행정력을 집중 및 분산시키고, 수재해(홍수/가뭄 등) 위험관리 계획 수립이 가능하여 재난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난의 생애주기(Life Cycle)별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에 따라 사전과 사후에 가능한 주요 활동들을 구체화 할 수 있으며, 시간 스케일별 기후예측 정보를 활용한 재난관리 패러다임 전환과 골든타임 확보 등 수자원예측 분야 기술적 진보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통계 역학 모형 기반 중 장기 예측 정보의 신뢰도가 향상 된다면 보다 다양한 분야 예측 정보 서비스 및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Calibration System Suitability Evaluation and Test Limit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Factor Analysis of Uncertainty (불확도 요인 분석을 통한 교정 시스템 적합성 평가 및 시험기준 결정 방안)

  • Kim, Hong-Tark;Kim, Boo-I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6
    • /
    • pp.1139-1144
    • /
    • 2019
  • A calibration system for diagnosing and confirming the performance of precision measuring instruments minimizes the risk of misjudgment of calibration resulted by complying with international standard requirements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calibration results. This paper uses a proposed calibration system suitability assessment and a guard-band technique through an analysis of uncertainty factors when it is impossible to acquire and operate high-performance equipment at a calibration laboratory, and proposes an optimized test limit output model substituting performance standards.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n optimized test standard to meet the quantitative evaluation criteria of the calibration system and the probability of false acceptance risk requir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of Security Robots in Sports Stadium (스포츠 경기장 경비 로봇의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Lim, Dong-Eon;Kim, Jae-Hyoung;Jeon, Jin-Woo;Ko, Kyung-Ok;Kim, Hee-Kwon;Park, Kyo-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69-27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스포츠 경기장에 경비 로봇의 안전대책에 관하여 위험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스포츠 경기장에서는 다양한 형태, 종류의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다.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 요원이 반복 순찰을 진행하고 있으나 대형 규모의 경기장의 경우 안전 요원이 전체적인 안전을 확인하고 책임지기 어렵다. 또한 스포츠 경기장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사고는 군중 관련 사고이다.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관리자의 역할을 보조하는 로봇을 활용하여 사건 및 위험 상황에 대비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스포츠 경기장 경비 로봇 안전 운영 안전대책 도출을 위해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경비 로봇의 규제 및 특성을 탐구하여 연구를 진행했으며 경기장 답사를 위해 잠실 종합운동장 야구장을 3회 실사하여 위험한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장소를 조사 하였으며, ISO 13489-1에 적용된 PLr 트리를 통한 위험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자체 위험성 평가 시트를 제작하여 위험 정도를 도출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Workplace Risk Assessment System Based on AI Video Analysis

  • Jeong-In Par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1
    • /
    • pp.151-161
    • /
    • 2024
  •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Danger Map' of a workplace to identify risk and harmful factors by analyzing images of each process within the manufacturing plant sit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We proposed a system that automatically derives 'the risk and safety levels' based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derived from this Danger Map in accordance with actual field conditions and applies them to simila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particular, in the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 of manually evaluating the risk of a workplace using Excel, the risk level for each risk and harmful factor acquired from the video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evaluated to ensure safety through the system and calculate the safety level, so that the company can take appropriate actions accordingly. and measures were prepared. To automate safety calculation and evaluation, 'Heinrich's law' was used as a model, and a 5X4 point evaluation scale was calculated for risky behavior patterns. To demonstrate this system, we applied it to a casting factory and were able to save 2 people the time and labor required to calculate safety each month.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Model Based on USN for Landslide Detection (산사태 감지를 위한 USN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Cheon, Dong-Jn;Kim, Jeong-Sub;Lee, Seung-Ho;Kwak, Dong-Kurl;Coi, Shin-Hyung;Lee, Bong-Sub;Jung, Do-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12-816
    • /
    • 2012
  • 본 논문은 산사태 감지 및 붕괴예측을 위한 현장에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적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USN기반의 상시모니터링시스템모델을 제작하고 실험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는 지표변위 센서모듈 동작특성 실험적 평가, USN은 Data 수집 전송 효율성 실험적 평가, 개발한 상시감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성능 실험적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지표변위 측정센서모듈은 변위각도에 일치성을 확인하고, USN은 지표변위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Data를 상시모니터링시스템에 오류 없이 전송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개발한 상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기능은 실시간 모니터링 그래프, 임계동작 알고리즘, 위험성 통보 문자서비스(SMS)기능, 알람서비스기능, 현장 감시카메라 등 동작기능의 우수성을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사태 감지 예측을 위한 USN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은 산사태위험성노출 지역에 원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