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물 관리

Search Result 57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optimization of energy and food interdependencies in view of water security (물안보 관점에서의 에너지, 식량 연계 최적화 방안 접근)

  • Lee, Eul Rae;Park, Sang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1-461
    • /
    • 2018
  •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기인하는 기상변동성 증가 등의 원인으로 물, 식량, 에너지의 시공간적 불균형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2012-2015 대가뭄, 우리나라의 2013-2015 대가뭄 등 물부족의 위험 가능성이 증폭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에너지와 식량 등의 연계자원들도 기존의 방법과 같이 관리되고 활용하는 것에 한계점이 도달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같이 기상학적 스트레스 증가와 더불어, 국제적으로 인구증가 및 도시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 미국, 중국, 인도 등에서 물안보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전 지구적 위험도 인지 조사"에서도 물, 식량, 에너지 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물, 식량 그리고 에너지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개별 분야에서의 문제는 그 자체의 위기로 그치지 않고 다른 타 분야의 위험도를 증폭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과거와 다르게 교통, 물류 등의 발달로 물, 식량 및 에너지의 국가간 의존도가 더욱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세 가지 자원의 연계성 강화는 결국 상호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물안보 및 물복지 실현을 위한 물과 에너지의 저비용, 고효율의 최적화 방안은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원간 Trade-off, 평가 등 에너지소비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하며 에너지 절약형 기술에 개발에 중점을 두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원예시설 및 관개 기술의 개선에 따른 물과 에너지 소비량 비교 분석, 시설원예 산업의 에너지 생산성 및 절약형 기술 등 에너지-물-식량 분야의 상호연결을 정량화하고 최적화하는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Risk Factor Identification by Specialty Construction Industry Sector through Construction Accident Cases : Focused on the Insurance Data of Specialty Construction Worker (건설재해사례 분석에 의한 전문건설업종별 위험요인 탐색 : 전문건설업 근로자 공제자료를 중심으로)

  • Lee, Young Jai;Kang, Seong Kyung;Yu, Hw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1
    • /
    • pp.45-63
    • /
    • 2019
  • The number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y is expanding every year while the construction workers' exposure to disaster risk is increasing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popularity of high-rise buildings. In particular, the industry faces greater fatalities and severe large scale accidents because of construction industry characteristics including influx of foreign workers with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e, large number of aged workers, outsourcing, high place work, heavy machin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labor-intensive, which is to be completed under given timeline and consists of unique working environment with a lot of night shifts. In addition, when a fixed construction budget is not secured, there is less investment in safety management resulting in poor risk manage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Taking account that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higher accident risk rate and fatality rate, risky and unique working environment, and various labor pool from foreign to aged workers, preemptive safety management through risk factor identification is a mandatory requirement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site. The study analyzes about 8,500 cases of construction accidents that occurred over the past 10 years and identified risk factor by construction industry sector to secure a systematic insight for risk management. Based on interrelation analysis between accident types, work types, original cause materials and assailing materials,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each analysis factor and work industry. Especially for work types, there is great correlation between work tasks and industry type. For reinforced concrete and earthwork are among the most frequent types of accidents, and they are not only high in frequency of accidents, but also have a high risk in categories of occurrence.

A Experimental Study for the Disaster Monitoring by Integration of USN and Spatial Information (변위측정센서를 이용한 대형 시설물 안전관리 방안 연구)

  • Yeon, Sang-ho;Yeon, Chun-Hum;Kim, J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95-196
    • /
    • 2016
  • 본 연구는 건설된 구조물의 주요 구조부재에 각종 계측 Sensor를 설치하여 이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아 Monitoring하는 계측 System은 대형구조물의 구조적 응답을 계측하여 분석하고, 구조물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발견하고 분석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대형 시설물의 수명연장 및 유지관리 비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구조물의 사용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그 설계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계측전 초기치와의 비교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추이 분석을 통해 이상상태를 발견하는 신호 기반 감시 수행하고 있고, 상태판정 및 손상도 추정이 가능하므로 향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지식기반 감시시스템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 정보기반의 정보를 재생하여 GNSS/USN기술을 접목시켜감으로 대형시설물 안전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Fire Evacuation Assessment Considering Occupied Environment Variation in Existing Buildings (기존 건축물의 사용승인허가 전·후 거주환경을 고려한 화재피난성능평가 연구)

  • Kim, Hak Kyung;Choi, Doo Chan;Kim, In Tae;Kim, Hee Moon;Sim, Hye 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6
    • /
    • pp.105-110
    • /
    • 2016
  • In Korea, fire hazard and risk analysis and response management planning related to existing decrepit buildings, including interior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layout revision, due to various occupancy purposes have not been researched or established. Therefore, regulations and technical standards that can manage and reduce fire hazards and risks based on fire hazard analysis and evaluation are required. This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a site survey and fire evacuation assessment including performancebased analysis in 3 actual existing buildings to find the life safety issues and provide improvement recommendations.

Zoning by Natural Disaster and Practical Application (풍수해관리구역의 설정과 활용 방안)

  • Song, Juil;Yoo, Jae-hwan;Jang, Moon-yup;Kim, Ha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8-258
    • /
    • 2015
  •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해당 지역의 풍수해 위험요인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피해예방 및 저감을 위한 각종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방재분야 최상위 종합 계획이다.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자연재해대책법 제16조,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같은 법 시행 규칙 제4조의4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및 시 군에서 수립하고 있다. 또한 자연재해대책법 제16조 6항에서는 광역도시계획, 도시 군기본계획 및 도시 군관리계획의 수립 변경권자가 광역도시계획, 도시 군기본계획 및 도시 군관리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시 군, 시 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반영하도록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물 위주의 저감대책, 풍수해위험지구 정보의 한계, 풍수해위험지구의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으로 인한 개별사업에 의한 재해저감 대책 수립 등의 이유로 현실적으로 반영이 잘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경기도 도시기본계획의 방재 및 안전계획 부분의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의 연계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지자체가 방재대책과 관련하여서는 원론적인 측면에서만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도시계획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천, 내수, 사면, 바람, 해안재해 등 재해유형별로 풍수해의 직접적 발생과 풍수해 발생에 영향을 주는 공간적 영역, 개발 상태, 개발예정 등 토지이용현황 및 계획 등을 고려하여 풍수해중점관리구역, 풍수해선제관리구역, 풍수해전략관리구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방법론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계획 수립 시 풍수해관리구역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풍수해관리구역 지정과 관련한 법제도 및 지침 등이 마련된다면 풍수해관리구역은 풍수해저감을 위한 토지이용 및 기반시설, 건축물 제한 등 도시계획적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Ubiquitous (u-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Hyun-Chul;Kim, Young-Gu;Kim, Jung-Jae;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5-498
    • /
    • 2009
  • 유비쿼터스 시대에서 요구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기술 즉 인프라이며 이를 이용한다면 다양한 시설물에서의 침입자에 대한 감시, RFID를 이용한 효율적인 인력배치에 응용이 가능하고 또한 온도, 조도, 연기 센서 등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화재 및 테러에 대해 조기에 인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SN이 적용되는 대상은 침입탐지를 감시해야 하는 구역, 보안감시 대상이 되는 구역, 위험물 관리와 같은 구역으로 분류하여 구역의 특성마다 센서와 카메라, Tag와 센서(Hybrid Reader)기술 등을 하나의 센서노드로 융합하여 관리대상에 이상유무가 있을 경우 빠르게 대처하거나, Tag와 센서(Hybrid Reader)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USN을 구성한다.

  • PDF

Climate Change Impact Analysis on Water Supply Reliability and Flood Risk using Combined Rainfall-runoff and Reservoir Modeling (강우유출-저수지 연계 모의를 통한 기후변화의 이수안전도 및 홍수위험도 영향 분석: 합천 및 섬진강댐 유역 사례)

  • Seong Jin Noh;Dong Kook Woo;Jihyeon Jo;Garim Lee;Songhee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1-36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다목적 댐의 수자원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강우-유출과 저수지 운영 모형을 연계 모의하고, 갈수 시 물 공급과 홍수라는 두가지 상반된 위험 요소를 동시에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 국내 댐 유역에 대해 적용성을 평가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로는 공통사회경제경로(Shared Socio-economic Pathway; SSP) 중 SSP2-4.5와 SSP5-8.5를 선택하고, 편이보정 후 2015-2100년의 미래 기후 자료를 구축한다. 수문과정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GR4J, IHACRES, TAU 등 세가지 집중형 수문 모형으로 댐 유입량을 모의하고, 저수지의 물 공급 및 홍수 조절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 모의를 수행하고, 기간별 이수안전도와 홍수위험도를 산정한다. 적용 유역으로는 다목적 댐인 합천댐과 섬진강댐의 상류유역을 선택하여, 제안된 방법론의 적정성을 평가한다. 초기 분석 결과, 먼 미래(2081-2100년) 기간에 대해 이수안전도 보다 홍수위험도의 변화가 컸으며, 근 미래의 변화는 먼 미래 보다 상대적으로 적고 뚜렷한 경향을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수문모형을 활용한 댐 유입량 모의불확실성 개선 방안과 미래 기후에 대한 이수안전도 및 홍수위험도 분석 결과의 함의에 대해 중점적으로 토의한다.

  • PDF

A Review on the Inundation Causes of Naeng River in Pohang (포항 냉천 범람 원인 검토)

  • Lee,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35-4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냉천 범람 원인을 두고 제기되고 있다는 다양한 주장을 검토했다. 냉천 설계강우를 초과하여 범람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강우량을 검토해본 바로는 설득이 안 되는 부분이 많았다. 특히 올해보다 더 많은 강우량을 기록했던 과거 호우 사상 시, 냉천이 범람하지 않았다는 것을 볼 때, 설득력이 부족하다. 만조와 집중 호우 시점이 겹치면서 범람이 발생했다는 주장은 합리적 추정으로 판단된다. 당시 최극조위가 역대 1위였으며, 역대 1위 강우량을 보인 1998년 대비 해수면의 높이가 55cm나 높았다는 데이터가 주장을 뒷받침한다. 마지막으로 교량의 부목 축적이 범람을 키웠다는 주장에 대해서 살펴봤다. 냉천교는 짧은 경간과 교각이 3개나 있어, 상류에서 내려오는 부목이 교량 구조물로 인해 축적될 잠재력이 큰 형상을 하고 있다. 교량에 부목이 축적되면 통수능이 저해하며 이로 인하여 냉천 범람이 가중되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기후변화로 인하여 해수위 상승위험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는 시점에서 냉천과 같이 해안과 접하는 하천의 범람 위험 또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어, 해안 하천 관리에 큰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a Prototype for GIS-based Flood Risk Map Management System (GIS를 이용한 홍수위험지도 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Kye-Hyun;Yoon, Chun-Joo;Lee, Sa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4 s.129
    • /
    • pp.359-366
    • /
    • 2002
  • The damages from the natural disasters, especially from the floods, have been increasing.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BMP to diminish the damages from the floods and to enhance the welfare of the nation.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generating and utilizing flood risk maps to raise the alertness of the residents, and thereby achieving efficient flood management. The major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a prototype management system for flood risk map to forecast the boundaries oi the inundation and to plot them through the integration of geographic and hydrologic database. For more efficient system development, the user requirement analysis was made. The GIS database design was don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work of river information standardization. A GIS database for the study area was built by using topographic information to support the hydrologic modeling. The developed prototype include several modules; river information edition module, map plotting module, and hydrologic modeling support module. Each module enabled the user to edit graphic and attribute data, to analyze and to represent the modeling results visually. Subjects such as utilization of the system and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were discussed.

Development of Risk Breakdown Structure of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Project: Focusing on Structural Damage / Work Process Risks (원전 차폐 콘크리트 구조물 제염해체공사 리스크 분류체계 구축: 구조적 / 작업 리스크를 중심으로)

  • Kim, Byeol;Lee, Joo-Sung;Ahn, Yong-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3
    • /
    • pp.38-4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structural damage / work process risks factors which can be occurred during the decommissioning in the NPP containment concrete structure. To achieve these purpose, risk profile specifi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alyzed, and the work process of NPP decommissioning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were match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each works. Accordingly, human and physical risk factors are classified. Finally, the risk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structure and work process was classified as per their process activities, and risk typology explaining the disaster which put the structure, equipments, machine and workers in serious danger was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