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도 기반 재난관리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pplication and Analysis of Remote Sensing Data for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 Focused on Managing Drought of Reservoir Based on Remote Sensing - (국가 재난 관리를 위한 원격탐사 자료 분석 및 활용 - 원격탐사기반 저수지 가뭄 관리를 중심으로 -)

  • Kim, Seongsam;Lee, Junwoo;Koo, Seul;Kim, Yongm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6_3
    • /
    • pp.1749-1760
    • /
    • 2022
  • In modern society, human and social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and frequent disaster accidents have been increased year by year. Prompt access to dangerous disaster sites that are inaccessible or inaccessible using state-of-the-art Earth observation equipment such as satellites, drones, and survey robots, and timely collection and analysis of meaningful disaster information. I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people's property and life throughout the entire disaster management cycle, such as responding to disaster sites and establishing mid-to long-term recovery plans. This special issue introduces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NDMI)'s disaster management technology that utilizes various Earth observation platforms, such as mobile survey vehicles equipped with close-range disaster site survey sensors, drones, and survey robots, as well as satellite technology, which is a tool of remote earth observation. Major research achievements include detection of damage from water disasters using Google Earth Engine, mid- and long-term time series observation, detection of reservoir water bodies using Sentinel-1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of resident movement patterns in case of forest fire disasters, and data analysis of disaster safety research. Effici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utilization plan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In addition, research results on scientific investigation activities on the causes of disasters using drones and survey robots during the investigation of inaccessible and dangerous disaster sites were described.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Data Platform for Sharing Disaster Data (재난재해 데이터 공유를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 개발)

  • Shin, Yonghyeon;Lee, Sangmi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80-4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위험성 및 회복성 분석과 현황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데이터를 등록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재난재해, 지역현황, 문서 항목으로 구분하여 도시재생 정보를 서비스한다. 재난재해 항목은 폭우, 폭설, 폭염, 강풍, 지진 5개 자연재해 유형과 이로 인해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붕괴, 폭발 사회재난 3개 유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총8 종류의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위험성과 회복성 분석 DB를 제공한다. 지역현황 정보에서는 유휴공간 및 지역자산정보 등 도시재생 현황분석에 필요한 행정(통계)데이터, 시설물정보 등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되는 논문 및 보고서 등을 문서 항목에서 서비스한다. 데이터셋 등록 시, 시스템에 설정된 재난재해 유형, 시설물 등을 선택해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이력관리를 목적으로 데이터명과 생산년월 등에 대한 필수항목을 입력해야만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GIS 기반 공간자료 등록 시에는 가시화 서비스를 위하여 공간자료의 포맷과 좌표체계, 생산년월, 생산기관 등을 필수 입력하도록 하였으며, GIS tool을 활용한 자료 분석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대비/대응을 위한 도시재생 데이터 플랫폼은 금년 시범운영 후, 차년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능을 탑재해 계정 권한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도시재생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용자가 재난재해 정보를 비롯한 도시재생 관련 정보를 수집·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의 장을 구현함으로써 도시재생지역의 효과적인 재난재해 대비/대응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DRRI Based Community Preparedness Index (지역사회 대비능력을 고려한 홍수피해저감지수 개발)

  • Yang, Seung-Man;Choi,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3-803
    • /
    • 2012
  • 최근 선진국에서는 지역사회의 지역특성, 대비능력 등을 토대로 맞춤형 재난 대비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지방정부는 지역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구체적 적응정책의 방향성 제시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 역시 재해위험에 대한 각 지역의 방재능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단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의 인구, 재정력, 시설, 인력, 자원 확보 및 계획 등 정량적 정보만을 종합하여 위험도를 진단하고 있어 재해위험에 대한 지역민과 지역사회가 느끼는 취약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 취약성 개념 틀을 정의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피해저감지수(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FDRRI)를 개발하였다. FDRRI는 지형적 기상적 요인을 고려한 홍수노출지표, 사회적요인과 과거피해 요인을 고려한 민감도지표, 지역안전도 피해저감능력지수를 고려한 피해저감능력지표, 지역민의 대비능력을 나타내는 지역사회대비능력 지표를 결합하여 평가된다. 특히, 지역사회대비능력지표는 지역민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의 역량을 정량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FDRRI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지형적 특성, 홍수피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낙동강 유역의 경북 봉화, 김천, 경남 고성, 김해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FDRRI를 산정하였으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FDRRI는 홍수위험에 대한 지역의 저감능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별 맞춤형 저감대책 및 지역사회가 참여한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Procedures during Theme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단체 테마 현장체험학습의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Bang, Sungmin;Kim, Chang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1
    • /
    • pp.63-7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e of accidents and related issues related to Theme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security measures to prevent future incidents. Case studies of the sunken Sewol ferry and the collapse of the gymnasium at Mauna resort in Gyeongju are conducted by analyzing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media sources and related agencies. With a basis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it is suggested that legal foundation and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systems (systematic revision of the laws, raised safety awareness among citizens, production and education of security managers, formation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establishment of headquarters in case of emergency and installation of first aid facilities, improved national response system, enforcement of disaster drills, introduction of assessment system, etc.) must be establish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 safer society.

Developing the Installation Guideline of Building Monitoring Systems for Hazardous Symptom Measurements with Visual Perception (시지각적 요소를 갖춘 건축물 위험징후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가이드라인 개발연구)

  • Kim, Heejae;Kim, Geunyoung;Shin, Jungj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2
    • /
    • pp.374-382
    • /
    • 2020
  • Purpose: Recently, structural defects in old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llap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of regular monitoring systems that determine the optimal sensor location for monitoring exhibition space building sensors equipped with visual elements in order to analyze the risk signs of exhibition space buildings and develop measurement technology. Method: The components, installation locations, alarm criteria, and management measures of the instrument are presented. Result: A measure was propo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sensors, secure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for analysis by having unified visual perception, and configure optimal 'risk sign detection' based on sensor monitoring through test-bed oper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pared against the disasters that may arise from the collapse of exhibition buildings,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Application of Empirical Life Loss method : Cheongju-si in Korea (경험적 인적피해 평가기법 적용 : 청주시를 대상으로)

  • Hong, Seung Jin;Kim, Gil Ho;Choi, Cheon Kyu;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6-186
    • /
    • 2019
  • 국내에서 자연재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홍수는 매년 반복되어 인명과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 중 인적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계획 및 정책수립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적용성 측면에서 미진한 부분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인적피해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피해실적에 근거한 경험적 인적피해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해당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7년 청주시 호우피해를 기준으로 적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인적피해의 경우 인명과 이재민 피해를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인적피해를 위해 기본적으로 노출위험인구와 인적피해 발생확률을 기반으로 하였다. 노출위험인구의 경우 침수구역도와 집계구를 기준으로 계층화된 인구 인벤토리를 이용한 GIS 공간분석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그리고 인적피해 발생확률은 행정안전부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 내 피해이력, 재해연보 및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제공받은 침수흔 적도를 토대로 침수등급과 인구계층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인적피해 평가 방법이 위험지구 결정, 자연재난 리스크 모델링, 방재사업 대안결정, 예산배분 등의 실무와 학술적 접근에 있어 활발히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Container Terminal Safety Management Plan based on Risk Assessment (위험성평가 기반 컨테이너 터미널 안전관리계획 수립 방안 연구)

  • Hwi-Jin Kang;SangJun H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4
    • /
    • pp.873-88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ccidents and potential risks occurring at container terminals and to conduct on safety management plans tailored to container terminals. Method: A model for establishing a safety management plan is presented through a case study of container terminal risk assessment and literatur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Accidents in the Harbor Handling Industry', 2,800 people were killed or injured during port work for 10 years from 2011 to 2021. This corresponds to an occupational accident rate of one person every 1.5 days. As a method of improving these accidents and disasters, a highly effective safety management plan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Port Safety.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plan that reflects the risk assessment of container terminals, safety organization, safety budget, safety rules, and safety education.

A Plan of Develop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System through Text Analysis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재난예방체계 발전방안)

  • Choi, Seon-Hwa;Choi, Wo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13-15
    • /
    • 2012
  • 최근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등장으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등 제반 이슈와 연계된 분석 예측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의 이동성 위치기반 실시간 등의 특징은 재난안전 관리에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재난발생시 비상정보 획득 및 공유의 매체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재난관련 언론보도, 민원, 제보 등의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전조(前兆)를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요소를 제거하는 체계에 대해 소개하고 이 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도입되어야 할 정보기술과 발전방안을 제안한다.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Prevention and Management (급경사지 방재 및 관리를 위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 Lee, Kyungchul;Jang, Yonggu;Song, Jihye;Kang, Inj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9
    • /
    • pp.77-85
    • /
    • 2014
  • Recentl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of Korea has been operating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evertheless, there are numerous difficulties in systematic controlling the steep slope DB promptly, because the system's functions in input and control for steep slope information are merely simple. Futhermore, the hazard degrees of steep slope lands nowadays have risen suddenly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rate of large scale landslides such as the landslide cases of Umyeonmountain, Chuncheon province and others or sever rain storm cases. these lead to rapid increases in frequencies of nature disasters nationally.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the GIS-bas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information in order to manage disasters in advance or high-degree control. This study shows the national GIS-base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the disasters that caused by steep slope lands.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surface information input modules, realtime DB liaison modules of integrated underground information, V-world background map-based GI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information user modules, realtime liaison interface modules designed for utilizing steep slope information. Also, tests about stability of data storage, system stability and consistency of processing speed were performed.

Potential Risk Factors Analysis for Children Traffic Accident Based on Rescue Operations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Data (구조구급활동 데이터 기반 어린이 교통사고 잠재적 위험요소 분석)

  • Kim, Yoo Jung;Hwang, Woo-Suk;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27-228
    • /
    • 2020
  • 어린이 교통관련 안전사고 잠재적 위험요인 및 개선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19구조구급자료 중 6세부터 11세까지의 어린이 사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4개 광역지자체의 2014년부터 5년간 자료에 대한 사고내용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사고 장소 및 시간대 분석 결과 어린이 교통사고는 하교시간 오후 시간대에 도로에서의 집중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교통사고 잠재적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와 자전거를 이외 탈 것에 관한 사고비율이 최근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간 교통사고 전체 건수에 대한 추이는 큰 변화는 없었으나 개인 탈것의 사고 증가는 뚜렷하였다. 그 중 킥보드에 대한 사고가 가장 많았고, 퍼스널 모빌리티가 가장 뚜렷한 증가 분야였다. 현재 어린이에게 적용되고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등에 대한 안전가이드라인이나 규정 등은 미비하나 향후 퍼스널 모빌리티의 보급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린이가 개인 전동 이동수단 활용 시 안전에 대한 규정마련과 교육이 시급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