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구간

Search Result 52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xtraction of the shape feature according to the risk area of the segmented tumor region based on the small-animal PET (소동물 PET기반 종양분할영역 위험구간변화에 따른 형태특성추출)

  • Lee Joung-Min;Kim Hyeong-Min;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376-37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소동물 양전자방출단층촬영 영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내 종양영역을 자동분할하고 분할된 윤곽선주변의 기하학적 위험구간에 따른 종양의 형태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PET 영상내 검출된 종양영역의 신뢰성을 위해 위음성(False negative, FN) 및 위양성(False positive, FP)의 위험구간을 같이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방사선 특이적 특성이 반영된 명암값을 기반으로 Fuzzy C-Means(FCM)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종양영역을 자동 분할한다. 분활된 종양영역의 위험구간은 클러스터 간 공유되는 영역의 소속값을 이용하여 위음성, 위양성을 계산한다. 또한, 임의의 소속값 임계치 변화를 통해 위험구간의 변화에 따른 종양의 형태적 특성변화를 관측한다. 이러한 지역적 변화의 관측을 통해 위험구간의 형태학적 위치를 판단할 수 있어 위험구간에 따른 추가적인 잔여 암의 위치 및 형태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 PDF

A Study on Stabilization of the Collapsed Slope due to Gyeongju Earthquake at Seokguram Access Road based on Geological Investigation (지질학적 조사를 바탕으로 한 경주지진으로 붕괴된 석굴암 진입도로 비탈면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Seung-Hyun;Lee, Kwang-Wu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8 no.4
    • /
    • pp.225-242
    • /
    • 2019
  • Rockfall failure at the access road to Seokguram were occurred due to the earthquake on September 12, 2016. A detaile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rockfall, to identify the risk of the entire sites, and to prepare proper countermeasure methods and mitigation. We checked for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overall slopes alongside the access road to Seokguram and made a face map. In addition, we analyzed topographical factors caused by the earthquake through calculating a degree of slope, degree of bearing, upslope contributing area, and wetness index with the use of shading relief map.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large rockfall occurred with a weak section. In this study, we also evaluated the overall slope stability of the entire access road to Seokguram in order to classify it into danger and caution zones depending on the risk of collapse.

A Study on Risk Assessment by Delivery Robot Driving Section (배달로봇 주행 구간별 위험성평가 연구)

  • Lee, Jong-Kuk;Jeon, Jin-Woo;Kim, Hae-Do;Park, Kyo-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71-27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대학 캠퍼스 내 배달로봇 사용 시 환경적 특성에 의한 유해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굴하고 로봇의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단계별로 추정·판단하여 위험을 감소에 대한 필요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캠퍼스 내 주행 구간별 유해위험요인을 파악 및 단계별 위험성 추정을 위하여 배달로봇을 사용하기 전 위험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위험성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배달로봇 시장의 확대로 인한 사람과의 접촉 증가에 비하여 안전대책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로봇의 기술적 진보와 사용자들의 정서적 수준에 뒤처지지 않는 적절한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PDF

A Study on Extraction Method of Hazard Traffic Flow Segment (고속도로 위험 교통류 구간 추출 방안 연구)

  • Chong,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6
    • /
    • pp.47-54
    • /
    • 2021
  • The number of freeway traffic accidents in Korea is about 4,000 as of 2020, and deaths per traffic accident is about 3.7 times higher than other roads due to non-recurring congestion and high driving speed. Most of the accident types on freeways are side and rear-end collisions, and one of the main factors is hazard traffic flow caused by merge, diverge and accidents. Therefore, the hazard traffic flow, which appears in a continuous flow such as a freeway, can be said to b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river to prevent accidents. This study tried to classify hazard traffic flows, such as the speed change point and the section where the speed difference by lane, using individual vehicle information. The homogeneous segment of speed was classified using spatial separation based on geohash and space mean speed that can indicate the speed difference of individual vehicles within the same section and the speed deviation between vehicles. As a result, I could extract the diverging influence segment and the hazard traffic flow segment that can provide dangerous segments information of freeways.

Analysis of Effectiveness on Improving Hazardous Roads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따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하태준;박제진;장안상;박찬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213-222
    • /
    • 2002
  • 교통사고가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정부는 교통안전대책의 실질적인 추진 방안으로 "교통사고 잦은 곳"과 "위험도로" 개선사업을 제시·시행하고 있다. 이에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추진현황에 따라 각 년도별 기본 개선계획의 평가 및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효과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위험도로"'의 경우 모든 사업을 건설교통부 산하 국도유지사무소에서 진행을 하고 있으나, 광범위한 사업으로 인한 업무과중 및 개선사업비 조달 등의 문제로 개선된 현황의 체계적인 효과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여 보다 비용-효율적인 개선사업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체 위험도로 구간 중에서 '광주국도유지사무소' 및 '순천국도유지사무소' 관할 구역 내의 "위험도로"로 선정(1995년)된 도로구간 중 1999년 이전에 도로개선공사가 완료된 후 현재 교통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18개 도로구간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선택되어진 18개 구간에 대한 도로개선공사 전후의 교통사고건수 및 교통사고율을 효과척도로 삼고 각 사고에 대한 소요비용을 기준으로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위험도로" 개선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 및 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도로" 개선사업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연구 분석결과가 전라도 권역의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져 전국적인 개선사업에 대한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개선사업의 효과를 구체화 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공사 완료된 도로구간에 대한 상세한 공사비 내역과 다수의 개선방안별 자료가 갖추어지면 위험도로의 사고율과 개선방안별 상관관계를 관련 비용을 중심으로 도출함으로서 비용-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용-효율적인 개선 방안을 기반으로 한 각각의 사업 투자우선 순위 결정방안에 관한 지속적 인 연구가 요망된다.

Risk Analysis of Flight Procedure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의 비행 절차 위험도 분석)

  • Lee, Hyeonwoong;Lee, Hak-Ta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4 no.6
    • /
    • pp.500-507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a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standard flight procedures using recorded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ADS-B) data. Utilizing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results of risk analyses in RKSI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RKSS (gimpo international airport) using trajectories that are regenerated based on 100 days of ADS-B data are presented. For the risk metric, detect and avoid well clear (DWC) is used. With this index, each procedure was evaluated for the sections with highest level of risk. Among the 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SID) of RKSI, the section between SI712 and RANOS of RNAV BOPTA 1L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isk. For the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STAR) of RKSI, section between SI947 and DANAN of RNAV GUKDO 1N wasthe one with the highest level of risk. For RKSS, the segment between SS726 and SS727 of RNAV BULTI 1X and the segment between KAKSO and KALMA of RNAV OLMEN 1D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isk among the SIDs and STARs, respectivly.

A Study on Developing Intersection Dilemma Zone Evaluation Model (교차로 딜레마 구간 위험도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Seung-Gyu;Lee, Sib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3 no.1
    • /
    • pp.26-34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ment of a risk level evaluation model for the intersection dilemma zone based on vehicle speed distribution approaching the intersec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dilemma zone exists for all approaches selected for the study because the values of amber time have not been properly set, and that re-optimized values significantly reduce the dilemma zone risk level. It is also found that when normal distribution is assumed for vehicle approach speed the risk values similar to those for actual speed distributions can be obtained. When the risk level is found to be high, the amber time must be adjust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dilemma zone, or speed calming measures must be introduced so that vehicle speed be maintained under the speed value used when determining the amber time.

Flood Risk Analysis of Waterfront in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Field Survey of Flood Vulnerable Area (홍수취약구간 현장조사 기반의 낙동강 유역내 친수공간 홍수위험도 분석)

  • Kim, Tae Hyung;Kim, Keuk Soo;Kim, Sam Eun;Kwak, Jae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4-254
    • /
    • 2016
  •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한 하천 준설과 보의 건설은 낙동강에서의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차를 상당히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한 친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원, 캠핑장, 하상도로, 주차장 등 고수부지 공간이 다양하게 조성되면서 대국민적인 여가활동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하천구역 내에 조성된 친수공간은 하천 홍수로 인한 피해 위험도 또한 함께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홍수정보의 제공과 신속한 홍수예보의 발령은 증가된 홍수위험도에 대처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현재 홍수예보는 홍수예보지점인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발령하고 있어 실제 홍수에 취약한 구간에 대한 홍수정보를 제공하기에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모든 홍수취약지점에서 수위관측을 통해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홍수 피해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예산과 인력의 문제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한계점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이용하여 홍수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각 친수공간이 홍수예보지점 또는 수위관측소 지점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취약구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조사구간에 대한 DB를 구축함으로써 홍수 발생시 하천변 취약구간에 효과적으로 홍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확보된 홍수취약지구의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각 친수지구가 가지는 홍수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위관측소 기반의 홍수취약구간 선정 기준을 정립하고, 기준에 의해 선정된 18개 수위관측소와 관련한 취약구간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홍수취약구간 관리대장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주요 친수시설의 고도 및 좌표를 기반으로 하는 홍수위험도를 제시하였고, 이를 수위와 연계하여 홍수 발생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향후 이 자료는 낙동강 홍수예보에 있어 취약구간에 대한 각 수위별 지점현황과 각 지점의 홍수위험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해상교통 안전 평가를 위한 안전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Hwang, Su-Jin;Im, Nam-Gyun;Kobayashi, Eiich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23-1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항해사의 경험적 위험 평가 지수를 바탕으로 특정 시간 항로 전 구간에 대한 해상교통 안전 평가 지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항해사의 위험도 인식지수가 반영된 안전지수 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항만 항로 전 구간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수치계산 하였다. 오사카 항 항만 내의 AIS data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항만 내 항로 전 구간에 대한 안전지수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특정항로, 특정 구간의 위험도 지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을 이용하여 항만 내 통항 안전성 평가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Hazardous Expressway Sections for Drowsy Driving Using Digital Tachograph in Truck (화물차 DTG 데이터를 활용한 고속도로 졸음운전 위험구간 분석)

  • CHO, Jongseok;LEE, Hyunsuk;LEE, Jaeyoung;KIM, Duckn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2
    • /
    • pp.160-168
    • /
    • 2017
  • In the past 10 years, the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have occupied about 23% of all traffic accidents in Korea expressway network and this rate is the highest one among all accident causes. Unlike other types of accidents caused by speeding and distraction to the road, the accidents by drowsy driving should be managed differently because the drowsiness might not be controlled by human's will. To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researchers previously focused on the spot based analysis. However, what we actually need is a segment (link) and occurring time based analysis, rather than spot based analysis. Hence, this research performs initial effort by adapting link concept in terms of drowsy driving on highway. First of all, we analyze the accidents caused by drowsy in historical accident data along with their road environments. Then, links associate with driving time are analyzed using digital tachograph (DTG) data. To carry this out,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which are broadly used in the field, including highway safety manual, are us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on expressway and drivers' behavior derived from DTG. From the results, empirical Bayes (EB) and potential for safety improvement (PSI) analysis are performed for potential risk segments of accident caused by drowsy driving on the future. As the result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owsy driving, the number of the traffic accidents increases with increase in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AADT), the proportion of trucks, the amount of DTG data, the average proportion of speeding over 20km/h, the average proportion of deceleration, and the average proportion of sudden lane-chan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