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치 감각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5초

승모판막 전엽에 발생한 심장혈관종 - 1예 보고 - (Cardiac Hemangioma of the Anterior Mitral Valve Leaflet - A case report -)

  • 최재성;김응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59-862
    • /
    • 2007
  • 심장 판막엽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극히 드문 질환으로 최근까지 문헌에 보고된 것은 총 5례가 전부이며 아직까지 국내문헌에는 보고된 바가 없다. 건강하던 46세 여자가 갑자기 발생한 좌측 안면마비와 수부 감각이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경학적 검사에서는 이상 소견이 없었으며 심장초음파에서 승모판막 전엽에 위치한 종괴가 발견되어 종괴를 포함한 승모판막 전엽의 일부를 절제한 후 자가심낭을 이용하여 승모판막성형을 시행하였다. 병리조직 검사상 승모판막 전엽에 발생한 혈관종으로 판명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경계선 왜곡 보정을 통한 동공중심 검출 방법 (Pupil Center Detection Method using Boundary Distortion Correction)

  • 이인재;조철우;이현창;이희경;박강령;차지훈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0-72
    • /
    • 2013
  • 시선추적 인터페이스는 다른 감각기관에 비해 빠른 반응속도를 보이므로 효과적인 인터랙션 수단으로 활용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선추적 기술은 장애인 안구마우스, 운전자 시선정보 분석, 광고 효과 모니터링, 차세대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선추적 인터페이스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소개한다.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선추적을 수행할 때 눈꺼풀로 인한 동공 가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며, 각막반사광으로 인한 동공 경계 왜곡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동공 중심이 왜곡되어 시선위치에 오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눈꺼풀 및 각막반사광으로 인한 왜곡 현상을 보정하여 동공 중심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자극양식에 따른 청감각기억에서의 여러가지 부호화방식과 처리방식 (Different Types of Encoding and Processing in Auditory Sensory Memory according to Stimulus Modality)

  • 김정환;이만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7-85
    • /
    • 1990
  • 본 연구는 청각조건과 입술운동 조건에서 나타나는 최근 및 접미효과가 동일한 기제에 의해 처리된 결과라는 Greene 와 Crowder(1984)의 수정된 PAS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최근 및 접미효과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음성적 특성을 실험조작하여 청각과 입술운동 조건에서 자음과 모음간에 차별적 회상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것은 Turner 등(1987)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한편, 잡음-입술운동 조건과 입술운동 조건의 마지막 계열위치에서 유의미한 회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잡음은 입술운동 정보에 대한 최근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따라서 청각정보와 입술운동 정보는 다른 기제를 통해 부호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호남 전단대의 잠재적 변위 지시자: 가야 지역 회장암체 (A potential displacement marker of the Honam Shear Zone: Gaya anorthosite)

  • 권성택;사공희
    • 암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7-209
    • /
    • 2003
  • 현생이언 동안 한반도에서 일어난 중요한 지질 현상 중의 하나인 호남 전단대는 그 지구조적 중요성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아 왔으나, 전단운동의 규모를 나타내는 변위량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이 소고에서 우리는 그 변위량을 추정하게 해 줄 수 있는 지시자의 존재를 제안한다. 한반도 남중부의 산청 및 가야 회장암체의 지리적 위치와 특징적인 암상은 북동 방향으로 약 50km 변위를 가진 우수향 주향이동 전단대를 시사한다. 이 가상의 전단대는 그 방향과 전단 감각이 같기 때문에 호남 전단대의 일부로 생각된다.

정상 성인 여성의 발목관절에서 근력 균형과 관절위치감각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Balance and Joint Position Sense Related to Ankle Joint in Healthy Women)

  • 고유민;정미숙;박지원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2호
    • /
    • pp.23-2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balance and joint position sense related to the ankle joint in healthy women. Methods: Twenty-six healthy women were recruited. Isokinetic strength and joint position sense (JPS) were measured using a Biodex System 4 pro Dynamometer and a Biodex Advantage Software Package. Prior to measuring the JPS and isokinetic strength, the dominant foo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aterloo Footedness Questionnaire. After the JPS test, isokinetic strength was evaluated in velocity $60^{\circ}s$, including practice trial ($90^{\circ}s$). Using the measured isokinetic strength, a Strength Balance Index (SBI) was calculated. Results: Relative to the SBI, the degree of imbalance was varied; but there were imbalances. For each starting position, JPS err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relationship between SBI and JPS was found during the inversion to eversion process, eversion to inversion, and dorsi flexion to plantar flexion. Conclusion: There are moderate to mild relationships between JPS and SBI during ankle movement. It is suggested that to prevent ankle injuries, strength balance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other potential factors including anatomical alignment, proprioception, and soft tissues problems.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Pisces, Cyprinidae)의 두골 및 두부 표면근육에 관한 계통학적 연구 (Systematic Studies on the Skull and Superficial Cephalic Muscles of the Cyprinid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Pisces, Cyprinidae))

  • 김익수;강언중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1-16
    • /
    • 1990
  • 모래무지아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고유종인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의 두골 및 두부표면근육을 기재하고 잉어과에 해당하는 다른 어류들과 비교해부학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 본 종은 설이골의 측돌기와 미설골이 잉어과 어류들 중에서도 매우 특이하게 나타났다. 한편 사부의 형태, 두부측선감각관의 구조, 부설골과 익설골 및 전이골의 관계, 미설골의 형태, 기설골의 형태, 하새골의 형태 및 adductor mandiblulae complex의 조성 등에 있어서 모래무지아과의 진정 저루성 어류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질들과 관련지어 본 종이 잉어과 내에서 차지하는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Sensory Evaluation of Sunscreen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 정수정;심소연;선보경;문성준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50
    • /
    • 2001
  • 화장품 사용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느끼는 요인은 효과와 촉감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서 쾌적한 촉감은 필수 조건이다. 그런데, 촉감은 사용하는 사람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화장품의 촉감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에 의한 최종평가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여러 특성의 강도를 측정하는 분석형 관능평가와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기호형 관능평가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두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는 훈련된 전문패널에 의해 다양한 자외선차단 크림과 로션들에 대한 분석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차단 제품의 관능속성 평가의 주요인은 잔여감 요인과 발림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에 따라 제품들을 2차원 공간 상에 위치하였다. 이 중 몇 제품을 선택하여 20대 후반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상시 실제 화장단계에서 인지되는 자외선차단제품에 대한 용어들은 촉촉함 및 도포균일성 요인/흡수속도 요인의 두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적인 자외선차단제품의 사용감은 너무 촉촉하지도 매트하지도 않으면서, 흡수속도는 빠르고 화장밀림이나 번들거림이 적은 사용감을 나타내는 특성쪽으로 나타났다.

  • PDF

발목관절 근력과 관절위치감각, 그리고 균형능력에 미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중재와 테이핑 중재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Taping Interventions on Balance Ability, Joint Position Sense, and Ankle Joint Strength)

  • 김좌준;박세연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1호
    • /
    • pp.51-58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and taping interventions on balance ability, joint position sense, and ankle joint strength. Methods: Thirty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an ankle sprain within the previous 3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PNF group (n=15) or a taping group (n=15).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strength, joint position error, and total center of pressure movements in one leg while in a standing position were measured. Results: Regardless of the group allocation,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strength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s (p<0.05). Compared to preintervention measurements, joint position erro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ostintervention (p<0.05). The PNF interven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tal lateral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in the one leg standing condition (p<0.05). Conclusion: Both PNF and taping interventions improved joint position sense and ankle joint strength. In common with the findings of a previous study, the PNF intervention improved balance ability.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NF and taping interventions on ankle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sprains.

경부의 외측굴곡 자세습관과 위치감각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Lateral Flexion Postural Habit of the Neck and Sense of Position)

  • 김영민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
    • /
    • 2011
  • Background: Injury or pain in the neck can affect proprioception. People who have a reduced proprioception are easily exposed to induce injury or p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duced proprioception among people who had lateral flexion postural habit of neck in a sitting position. Methods: Twenty subjects with lateral flexion postural habit were compared with a matched control group. Relocation errors in 30 degree rotation to the right were measured three times with and without visual information randomly. Results: Relocation errors were higher in the lateral flexion postur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with (p<.01) and without (p<.005) the visual information. Visual information didn't affect the cervical relocation errors in the abnormal and control groups. Repetition is increased the relocation errors with (p<.01) and without (p<.001) visual inform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subjects with lateral flexion postural habit have incorrect perception of their head position.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possibility of injury or pain found among people with lateral flexion postural habit.

  • PDF

연마로봇의 교시기반 제어에 의한 성능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based on the Teaching Control for Sweeping Robot)

  • 진태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525-1530
    • /
    • 2014
  • 본 논문은 산업용 로봇을 위한 힘 피드백 제어 기반의 연마면의 보정과 작업자의 감각을 기반으로 한 정확한 연마면 작업을 대체하기 위한 교시방법을 적용한 연마 결과를 제시하였다. 교시방법은 연마작업의 위치, 경로, 반응에 대한 정밀도 개선을 위해서 연마로봇에 적용하였다. 힘 센서 기반의 교시방법에 의해 연마가 가능한 선박용 연마로봇을 제시하였고, 힘 센서에 의한 교시방법을 연마로봇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로봇교시 포인터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가공면의 특이점들만을 이용하여 곡면 가공이 가능하도록 로봇 궤적을 생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