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극양식에 따른 청감각기억에서의 여러가지 부호화방식과 처리방식

Different Types of Encoding and Processing in Auditory Sensory Memory according to Stimulus Modality

  • 발행 : 1990.08.01

초록

본 연구는 청각조건과 입술운동 조건에서 나타나는 최근 및 접미효과가 동일한 기제에 의해 처리된 결과라는 Greene 와 Crowder(1984)의 수정된 PAS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최근 및 접미효과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음성적 특성을 실험조작하여 청각과 입술운동 조건에서 자음과 모음간에 차별적 회상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것은 Turner 등(1987)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한편, 잡음-입술운동 조건과 입술운동 조건의 마지막 계열위치에서 유의미한 회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잡음은 입술운동 정보에 대한 최근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따라서 청각정보와 입술운동 정보는 다른 기제를 통해 부호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Greene and Corwder(1984)'s modified PAS model, according to which, in a short-term memory recall task, the recency and suffix effects existing in auditory and visual conditions are mediated by the same mechanisms.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auditory information and mouthed information are encoded by the same codes. Though the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the phonological nature, the presence of differential recall effect of consonant-and vowel-varied stimuli in auditory and mouthing conditions which has been supposed to interact with the recency and suffix effects,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s that differential recall effect between consonant and vowel exists only in the auditory condition, but not in the mouthing condition. Thus, this result supported Turn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