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피드백

Search Result 19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s-Vent Automatic Exchange Machine with Vision System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가스벤트 자동 교환 장치)

  • Hong, Jun-Eui;Yoon, Dong-Eop;Kil, Gyung-Suk;Choo, Young-Yeol;Kwon, J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304-308
    • /
    • 2005
  • 본 연구는 발포수지 공정에 사용되는 가스벤트를 신발중창 금형에 자동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벤트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소재를 이용한 신발 미드솔 발포시 발생되는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다공질 소자로서 신발금형 상부에 삽입된다. 가스벤트는 소모성 부품으로 일정주기마다 교환이 필요하나 작업공정상 수작업에 어려움이 많아 자동화된 교환시스템이 요구된다. 하지만 삽입되는 신발중창 금형과 가스벤트간은 유격이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신발 중창 금형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신속한 교환을 위해 가스벤트 삽입 및 추출 홈의 위치정보를 영상을 통해서 구하고, 얻어진 영상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기계적 위치 추적 시스템의 데이터로 피드백 하여 홀의 중심 위치에서 가스벤트를 삽입 및 추출하여 자동으로 교환하는 장치를 구현하였다. 영상 처리는 패턴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홀의 중심점을 구하였고, 이를 PLC로 전송하여 기계 작동 제어 및 XY플로터를 정밀 제어하여 공정이 진행되게 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형성평가의 피드백 유형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태도,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Ju;Choi, Kyung-Hee;Nam, J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0 no.3
    • /
    • pp.479-49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For the study, 133 seven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a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was over a period of nine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tailed feedbacks on the solution, teacher's comments on the results, and relevant references were provided after each formative assessment. However, only the answers were presented in the control group. Prior to instructions, a achievement and a attitude tests were administered. After the instructions, follow-up tests which were similar to the pretests were also administere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cience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formative assessments with detailed and supportive feedbacks was more effective in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raising their confidence in the subject,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as well as reducing their anxiety. The results also strongly indicated that detailed feedbacks we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teractions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formative assessment utilizing detailed and supportive feedback is a necessary component of effecti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 PDF

An Android App Development - 'Noonchi Coaching' Which has function of recommend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기계 학습형 사용자 맞춤 추천 앱 '눈치 코칭_문화' 개발)

  • Jeon, Jae Hwan;Lee, dae young;Kang, Hyun-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42-247
    • /
    • 2017
  • 논문은 공공 데이터 Open API와 사용자의 과거 행동과 주변 상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문화를 맞춤 추천하는 어플리케이션인 '눈치 코칭_문화'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눈치 코칭_문화'는 사용자가 쉽게 문화를 추천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필터링 방식으로 사용자가 검색하는 방식의 어플리케이션들과 달리 사용자의 주변 상황과 사용자의 취향 분석을 통해 최적의 문화 Contents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한다. 사용자의 별도의 상세검색이나 검색, 좋아요 기능, 주변 위치와 같은 상황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사용 로그를 저장 후 데이터 전처리를 하여 사용자에게 다시금 피드백 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지속적인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문화를 추천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사용자에게 문화의 날 정보와 사용자 주변 위치의 문화센터를 추천하여 사용자의 문화 활동을 지향한다.

  • PDF

An Android App Development - 'Noonchi Coaching' Which has function of recommend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기계 학습형 사용자 맞춤 추천 앱 '눈치 코칭_문화' 개발)

  • Jeon, Jae Hwan;Lee, dae young;Kang, Hyun-Kyu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242-247
    • /
    • 2017
  • 본 논문은 공공 데이터 Open API와 사용자의 과거 행동과 주변 상황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문화를 맞춤 추천하는 어플리케이션인 '눈치 코칭_문화'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눈치 코칭_문화'는 사용자가 쉽게 문화를 추천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필터링 방식으로 사용자가 검색하는 방식의 어플리케이션들과 달리 사용자의 주변 상황과 사용자의 취향 분석을 통해 최적의 문화 Contents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한다. 사용자의 별도의 상세검색이나 검색, 좋아요 기능, 주변 위치와 같은 상황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사용 로그를 저장 후 데이터 전처리를 하여 사용자에게 다시금 피드백 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지속적인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문화를 추천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사용자에게 문화의 날 정보와 사용자 주변 위치의 문화센터를 추천하여 사용자의 문화 활동을 지향한다.

  • PDF

Haptic Rendering based on Real-time Video of Deformable Bodies using Snakes Algorithm (스네이크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기반 변형체의 햅틱 렌더링)

  • Kim, Young-Jin;Kim, Jung-Sik;Kim, 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8-63
    • /
    • 2007
  • 본 논문은 현미경이나 카메라 영상 등의 실시간 영상을 이용한 변형체(deformable object)의 햅틱 렌더링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저속으로 변형하는 물체의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그에 대한 영상처리를 통해 변형과 이동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카메라를 통해 컴퓨터로 그 영상이 전송되며 얻어진 영상은 스네이크 알고리즘의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이차원 모델 구현을 위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이 가상모델에 대한 햅틱 렌더링을 구현하여 햅틱장치에 힘 피드백을 주게 되며, 안정적인 햅틱 렌더링의 구현을 위해 보간법(interpolation) 및 보외법(extrapolation)을 적용하여 모델과 햅틱장치간의 샘플링 문제를 해결한다. 그래픽 렌더링 또한 구현하여 조작의 용이함을 제공한다.

  • PDF

Design af a Flight Controller Using Parameter Space Graph Method (제어상수 영역 그래프 법을 이용한 비행제어기 설계)

  • 정익상;곽병철;박양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6.10a
    • /
    • pp.266-268
    • /
    • 1986
  • 최근에 측정할 수 있는 상태만을 피드백하여 시스템의 극점을 의도한 영역에 배치하는 상수들의 영역을 찾아내는 방법이 제시되었고, 비행체의 제어에 적용한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방법은 근궤적법과 극점배치법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며 견실성(Robustness)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컴퓨터를 사용하여 쉽게 설계에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S 평면상에 배치되는 각각의 극점쌍의 위치를 제어 상수들의 조합으로 부터 유추해내기 어렵고, 중요하지 않은 극점이 의도하는 영역밖에 있는 경우에는 적용하는데 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을 확장하여 S 평면상에 배치되는 복소극점쌍의 위치를 제어상수 평면에서 간단하게 유추할 수 있고, 이득여유 위상여유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제어상수 영역 그래프법을 제시하고 노드롭(Northrop) 항공사의 시험용 비행기를 대상으로 하여 종방향운동 제어기의 설계 예를 보인다.

  • PDF

Intelligent Driving Agent System which uses Physics Engine (물리엔진으로 구현한 지능형 주행 시스템)

  • Kim, Tae-Hyun;Kim, Dong-Hyeon;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295-29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물리엔진 기반으로 지능형 주행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회전각을 추출한 다음 유한 상태 머신과 베이즈 이론에 입각하여 구현된 모듈에 입력하여서 분석을 한다. 그리고 모듈에서 나온 분석 결과를 장애물이나 커브 구역에서 제공 함으로서 사용자가 현 위치에 따른 환경을 인지하여 좀 더 나은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스템 내부적으로 분석된 자료가 주행 시스템에 피드백 과정을 통해 입력되어 자동적으로 환경에 적응하여 주행 시간을 단축하는 시스템을 설계 하였고, 일부 기능에 대한 구현을 완료하였다.

  • PDF

Sound effect player by multi-touch interface (멀티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음향 효과 재생 시스템)

  • An, Sang-Min;Kim, Beom-Seon;Park, Jong-Hyeon;Lee, Seung-Uk;Im, Yeong-Gyu;Jang, Ji-Eun;Jo, Bong-Hwa;Hwang,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7-190
    • /
    • 2009
  • 본 연구는 멀티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음향 효과 재생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손의 위치를 분석하고 해당위치에 형성된 오브젝트의 물리적 움직임을 통해 미리 설정된 음향과 리듬효과를 얻는다. 본 연구에서는 시 청각적 피드백을 사용하여 보다 풍부한 감성을 자극시켜 엔터테인먼트 효과 외에 아동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Robustness of Positive Position Feedback Control in the Independent Modal Space (독립된 모달공간에서 양 위치피드백 제어기법의 강인성)

  • 황재혁;백승호
    • Journal of KSNVE
    • /
    • v.4 no.2
    • /
    • pp.177-185
    • /
    • 1994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arameter errors on the closed-loop behavior of flexible structure is analyzed for IMSC(Independent Modal Space Control) with PPF(Positive Position Feedback). If the control force designed on the basis of structure model with the parameter errors is applied to control the actual system, the closed-loop performance of the actural system will be degrad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errors. An asymptotic stability condition has been derived, using Lyapunov approach, which is independent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being controlled. The extent of deviation of the closed-loop performance from the designed one is also derived and evaluated using operator techniqu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extent of the deviation is proporta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parameter errors, and that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depends on the control algorithm.

  • PDF

Driving Agent System which uses Intelligent Physics Engine (지능형 물리엔진을 이용한 주행 시스템)

  • Kim, Tae-Hyun;Shin, Dong-Il;Shin, Dong-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58-6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물리엔진 기반으로 지능형 주행 시스템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환경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회전각을 추출한 다음 유한 상태 머신과 베이즈 이론에 입각하여 구현된 모듈에 입력하여서 분석을 한다. 그리고 모듈에서 나온 분석 결과를 장애물이나 커브 구역에서 제공 함으로서 사용자가 현 위치에 따른 환경을 인지하여 좀 더 나은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시스템 내부적으로 분석된 자료가 주행 시스템에 피드백 과정을 통해 입력되어 자동적으로 환경에 적응하여 주행 시간을 단축하는 시스템을 설계 하였고, 일부 기능에 대한 구현을 완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