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지능화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Improving Availability of Open Data by Location Intelligence (위치지능화를 통한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 Yang, Sungchul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9 no.2
    • /
    • pp.93-107
    • /
    • 2019
  • The open data portal collects data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opens and shares them according to related laws. With the activ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l sectors of our society are demanding high quality data, but the data required by the industry has not been greatly utilized due to the lack of quantity and quality. Numerous data collected in the real world can be implemented in cyber physical systems to simulate real-world problems, and alternatives to various social issues can be found. There is a limit to being provided. Location intelligence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existing data to be represented in space, enabling new value creation through convergence. In this study, to present location intelligence of open data, we surveyed the status of location information by data in open data portal. As a result, about 60% of the surveyed data ha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presentative type was address. Appeared. Therefore, by suggesting location intelligence of open data based on address and how to use i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way that open data can play a role in creating future social data-based industry and policy establishment.

위치인식 기술동향

  • Jang, Won-Seok;Lee, Jang-Myeong
    • ICROS
    • /
    • v.16 no.4
    • /
    • pp.28-34
    • /
    • 2010
  • 컴퓨터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유비쿼터스화는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물리공간을 지능화함과 동시에 물리공간에 펼쳐진 각종 사물들을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려는 노력으로 정의되는데, 특히, 유비쿼터스 위치기반 서비스(uLBS)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위치인식 기술은 uLBS 제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기술 중 하나이다.

A Study on the Indoor LBS Model based on LED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LED 조명통신 기반 Indoor LBS 모델 연구)

  • Jeon, Jeong-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567-570
    • /
    • 2008
  • 위치 및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u-City/Town과 더불어 지하 실내 복합문화공간이 활발하게 건설되고 있다. 미래사회에서 얘기하는 물리적 공간의 지능화 유비쿼터스화를 위한 실내 환경에서의 위치기반서비스가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위치인식 기술과 더불어 국내 외 위치기반서비스 사업현황을 분석해보고, 실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u-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모델, 특히 실내 LED 인프라를 이용한 Indoor LBS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Plans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지능화시설의 통합운영 방안)

  • YIM, Du-Hyun;PARK, Jeong-Woo;NAM, Kw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1
    • /
    • pp.127-136
    • /
    • 2017
  • U-City law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laws, information superhighway laws, and integrated operation center law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efficient infrastructure operation and management is necessary in Ubiquitous-City (U-City). However, infrastructure is often interpreted differently by different la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lan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law system of domestic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nd problems in oper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this critical mind. For this,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were found through interviews with people who are in charge of the law system and other practitioner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use, including city information generated from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and installment locations, has been demonstrated. Government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various information systems using ICT and U-City laws that specify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but do not clearly specify definitions for the specific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for main agents participating in facility operation. A system is needed to smoothly mediate the relevant divisions so that they can use installed equipment simultaneously for efficient operation in generating city information.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unitary law system for efficient installment and management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by establishing a logically linked relationship among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i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a management system that has an integrated linkage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Location Trigger Model for Intelligent Location Tracking (지능적 위치 추적을 위한 위치 트리거 모델)

  • Kim, Young-Ja;Nam, Kwang-Woo;Lee, Y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41-243
    • /
    • 2017
  • 이동 단말기에서 실시간 데이터 제공을 위하여 대부분의 객체 위치 추적 시스템은 GPS 기반의 추적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위치 트리거 모델을 제안하여 객체의 이동 위치에 따른 시점과 위치 특성과 같은 지능적 정보를 통한 효율적 저비용의 위치 추적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위치 트리거 모델은 객체 정보의 흐름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예외상황 발생 시 지능화된 경고/조치, 최적화된 이동 경로 수립 및 계획의 동적/지능적 재조정을 위한 객체추적 및 이동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PDF

Orientation awareness method using ubiTrack (ubiTrack을 이용한 방위 인식 기법)

  • Jung, Woo-Jin;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448-450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맥락 인지 응용들은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활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들은 환경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 프라이버시 문제가 야기 된다 또한 더욱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정보와 더불어 방위 정보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나 대상물의 방위를 알기 위해서 기존의 ubiTrack의 수신기에 두개의 적외선 수신기 소자를 부착한다. 두개의 적외선 수신 소자는 각각의 위치를 측정하고 각각의 위치로 부터 사용자나 대상물의 위치와 더불어 방위, 크기를 인식한다. 또한 대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수신기가 대상물의 위치를 환경에 일정한 시간을 간격으로 환경에 알려 주도록 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범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와 대상물의 위치 및 방위 정보를 제공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홈 환경 내에서 여러 대상물의 방위를 10도 안팎의 오차를 가지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여러 맥락 인지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절러 LBS에 쉽게 응용이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Hybrid Localization System for Location Awareness (위치 인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위치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Hyeong-Su;Song, Byeong-Hun;Yun, Hui-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b
    • /
    • pp.609-611
    • /
    • 2005
  • 위치 인지(localization)는 유비쿼터스 응용의 중요 기술로서 사용자 및 센서 노드 주변의 환경 상태와 같은 정보를 지능적으로 판단하는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와 더불어 실재 지리적 위치를 인지(location awareness)할 수 있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말한다.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인지 기술들은 실내(Indoor) 공간에서 미리 설치된 센서 노드블을 기반으로 능동형 혹은 수동형 방식으로 움직이는 노드의 위치를 측정 하는 인프라스트럭척 기반의 기술 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위치 인지를 위해 미리 특정 노드 들을 설치해야 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어서, 군사 작전이나 위급 상황과 같은 환경에서도 강건하게(robust)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로 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프라스트럭쳐 기반이 없는 환경에서도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강건하게 위치 인식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hybrid) 알고리즘 및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robot system based on localization sensor networks (위치 인식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청소 로봇 시스템 구현)

  • Kim, Jong-Hyun;Lee, Han-Sun;Chung, Kwang-S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754-758
    • /
    • 2006
  • 최근 들어 모든 사물과 대상을 지능화하려는 새로운 통신 패러다임과 함께 센서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는 물리적인 공간의 모니터링이나 위치 추적과 같은 주변의 정보를 얻고자하는 환경에 사용되며,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와 특정한 기술과의 결합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추적이 가능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청소 로봇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응용은 기본적으로 PC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청소 로봇의 이동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빈 청소 구간의 이동, 중복 청소 구간의 회피를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TCP/IP을 통해 기존 인프라와의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The Design of Context-Aware Middleware Architecture for Emotional Awareness Using Categorization of Feeling Words (감정표현단어 범주화 기반의 감정인식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 구조의 설계)

  • Kim, Jin-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998-1000
    • /
    • 2014
  • 상황인식 컴퓨팅 환경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객체의 상황(Context)을 인식하고 정보화하여 그 상황에 따라서 객체 중심의 지능화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지능화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 연구와 그 상황을 설계하는 모델링 기술이 중요하다. 또한, 인간과 컴퓨터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최적의 상황을 인식해야 한다. 현재까지 연구된 대부분의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은 상황정보로 객체의 위치정보와 객체의 식별정보만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정된 공간에서 상황을 발생시키는 객체를 식별하는 일과 식별된 객체가 발생하는 상황의 인식에만 주된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객체의 감정표현단어를 상황정보로 사용하여 감정인식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로서 ECAM의 구조를 제안한다. ECAM은 감정표현단어의 범주화 기술을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객체의 감정을 인식한다. 객체의 감정표현단어 정보를 상황정보로 사용하고,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정보(온도, 습도, 날씨)를 추가하여 인식한다. 객체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OWL 언어를 사용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였으며, 감정추론 엔진은 Jena를 사용하였다.

3D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Smartphone (스마트폰 기반의 3차원 실내위치 인식)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12
    • /
    • pp.1126-1133
    • /
    • 2013
  •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telligent services to users, 3 dimensional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person and equipment becomes important. In this paper, the acoustic signal generated from the proliferated smart phone is received from the 5 microphones equipped in the front panel of 3D positioning system, and the two proposed methods estimate the 3D coordinate of the smart phone, and finally it is verified using the implemented experiment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