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분포

Search Result 4,34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Derivation of Plotting Position Formula Using Genetic Algorithm for Gumbel Distribution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Gumbel 분포의 도시위치공식 유도)

  • Kim, Soo-Young;Shin, Hong-Joon;Kho, Youn-Woo;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3-178
    • /
    • 2008
  • 확률도시위치는 주로 도시적 해석을 통한 연최대홍수량 또는 연최대강우량의 초과확률의 추정치 산정에 사용되며 빈도해석을 통해 선정된 적정 확률분포형과 표본자료의 개략적인 적합도를 도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umbel 분포에 적합한 도시위치공식을 새롭게 추정하기 위해 Gumbel 분포의 order statistic과 확률가중모멘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본크기에 대한 도시위치공식의 기본식을 유도하였고, 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도된 도시위치공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추정된 도시위치공식과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시 치공식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reduced variate 간의 오차를 계산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금회 추정된 도시위치공식은 높은 순위에서는 기존의 도시위치공식에 비해 더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본크기에 대한 순위를 모두 고려할 경우에는 기존의 도시위치공식에 비해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Gumbel 분포에 대해서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Use of Probability Distribution of Speed derived from Positioning Data (위치 데이터에서 유도된 속도의 확률분포)

  • On, Kyoung-Woon;Lee, Jun-Seok;Song, Ha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092-1095
    • /
    • 2013
  • 오늘날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발전은 위치기반의 새로운 기술을 이끌었다. 현재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이 소개되었고,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이러한 위치 데이터들은 환경적인 요소 등으로 인해 오류가 많다. 우리는 이전 연구에서 위치 데이터의 오류 검출 및 교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선 인간의 이동속도가 어떠한 확률분포모델을 따르는지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이동속도의 분포로서 적합하다고 판명된 확률분포모델 중 Lognormal 분포, Gamma 분포, Weibull분포를 선택하여 위치데이터 오류 검출 및 교정 알고리즘에 적용하기 위한 확률분포 계산을 제안한다. 그 중 일부는 계산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확률분포표를 제공할 것이다.

On the Distribution of the Movement Speed of Smartphone Users (스마트폰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이동속도분포에 관한 연구)

  • Kim, Woojin;Jang, Woncheol;Song, Ha Yoo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11
    • /
    • pp.567-575
    • /
    • 2016
  •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of great interest as mobile app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re increasing. In this paper, we are interested in analyzing user's speed dat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not uncommon to observe locations with great measurement errors, removing them is necessary. The distribution of speed can be considered as a mixture model in accordance with transportation means. We identify a tail part as a component of a mixture model and fit a simple parametric model to the tail part of the speed distribution.

Management of Dripper Position in Tomato Perlite Bag Culture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점적핀 위치 관리)

  • Sim, Sang-Youn;Kim, Young-Shi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8 no.4
    • /
    • pp.413-419
    • /
    • 2009
  • The appropriate dripper position in perlite bag was investigated for tomato production. Drippers were laid at 5(F5), 15cm (F15) away from the stem base or 5cm at first and then moved to 15cm later (M5-15). Roots were developed more near the stem base in F5, while less in F15. Roots were distributed evenly in M5-15. In vertical distribution of water in perlite bag, water content was higher as it went deeper with the variation by dripper positions. Yield was high in F15 and low in F5. In conclusion the position of dripper is the best at 15cm from the stem base in perlite bag culture in view of root distribution and yield.

Intra- and Inter-plant Distribution of Helicoverpa assulta (Lepioprera: Noctuidae) eggs in Red Pepper and Tobacco Fields (고추와 담배포장에서의 담배나방 알의 공간분포 및 기주식물내 분포)

  • 한만위;이준호;손준수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3 no.1
    • /
    • pp.6-11
    • /
    • 1994
  •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ms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OTB), Helicoverpa assuita, eggs w were studied in red pepper and tobacco fields. With a plant as a sample Unit. Taylor's power law analyses indicated that om egg spatial patterns were clumped in red pepper fields (a=1.3914, b = 1.1648) and were unifom in tobacco fields (a = 1.6035, b = 0.6880). In red peppers om eggs w were found in leaves (76.2%), fruits (16.8%), stems (6.5%), and flowers (0.4%). The upper leaf surface ( (70.1 %) contained sianificantly more eggs than the lower surface (25.2%). In tobaccos most eggs were also found in leaves. However, the lower surface (66.3%) contained significantly more eggs t th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damage fields containing stochastic uncertainty on stiffness reduction (확률적 불확실성을 포함한 손상 장에서의 강성 저감 효과 분석)

  • Noh, Myung-Hyun;Lee, Sang-Youl;Park, Tae-H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57-36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확률적 불확실성을 포함한 손상 장에서 강성저감 효과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제 교량 구조물에 분포된 손상 장은 매우 불확실하며 손상의 위치와 형상 또한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대부분의 손상 추정 문제는 균열이나 손상의 위치와 형상을 기지의 주어진 정보로 가정하고 손상을 추정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이러한 손상의 위치와 형태가 본질적으로 불확실하다는 가정 하에 이 불확실성을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를 도입하여 기술한다. 교량에 국부적으로 발생된 손상은 교량의 요소강성의 저감 분포로 변환되어 손상이 발생한 전체 시스템의 강성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손상이 발생한 시스템의 전체 응답을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는 손상 분포의 개략적 중심을 표현하는 평균 변수와 강성 저감의 비국소적 분포 특성을 묘사하는 표준편차 변수, 손상 중심의 손상 정도를 표현하는 강성저감 변수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손상 장에서 손상의 위치나 형태에 대한 확률적 불확실성을 기술하는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를 포함한 유한요소모델을 정식화하여 제시한다. 또한 단일 또는 복합 균열로 인해 교량 구조물에 국부적인 손상이 야기된 경우에 대한 수치 예제를 통하여 균열 등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하더라도 수정 가우스 강성 저감 분포 함수를 통해 강성 저감 효과가 분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rivation of Plotting Position Formulas Considering the Coefficients of Skewness for the GEV Distribution (왜곡도 계수를 고려한 GEV 분포의 도시위치공식 유도)

  • Kim, Soo-Young;Heo, Jun-Haeng;Choi, Min-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2
    • /
    • pp.85-96
    • /
    • 2011
  • Probability plotting position is generally used for the graphical analysis of the annual maximum quantile and the estimation of exceedance probability to display the fitness between sample and an appropriate probability distribution. In addition, it is used to apply a specific goodness of fit test. Plotting position formula to define the probability plotting position has been studied in many researches. Especially, the GEV distribution which is an important probability distribution to analyze the frequency of hydrologic data was popular.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reduced variates are derived using the mean value of order statistics to derived an appropriate plotting position formula for the GEV distribution. In addition, various forms of plotting position formula considering various sample sizes and coefficients of skewness related with shape parameters are applied. The parameters of plotting position formulas are estimated using the genetic algorithm. The accuracy of derived plotting position formula is estimated by the errors between the theoretical reduced variates and those by various plotting position formulas including the derived ones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errors by derived plotting position formula is the smallest at the range of shape parameter with -0.25~0.10.

A Study on the Mismatch of Sound Speed Profile in Source Localization Based on MFP (수직선배열센서를 이용한 정합장처리에서 음속분포 오정합에 의한 음원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

  • Byun Yang-Hun;Park Jae-Eun;Kim Jea-S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10-213
    • /
    • 1999
  • 수동소나체계에서 음원의 위치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산출하기 위해 정합장처리(Matched Field Processing)가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선배열센서를 이용한 정합장처리에서 음원 위치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수직음속분포 오정합(mismatch)에 의한 영향을 MV 프로세서 (Minimum Variance Processor)를 이용하여 모의실험함으로써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천해 모의환경에서 동일한 기울기로 증감하는 수직음속분포 오정합은 음원 위치추정에서 거리성분의 오차를 가지며,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수직음속분포 오정합은 거리와 수심 성분의 오차가 유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해 모의 환경에서 수직음속분포 오정합은 거리와 수심 성분의 오차가 유발되고, 거리추정의 전반적인 경향은 천해의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우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구속 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병렬 위치/힘 제어

  • Kim, Jin-Soo;Uchiyama, Masar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76-8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환경에 구속 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힘/위치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모델링 방법은 분포 정수 모델과 집중 정수 모델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인 분포 정수 모델을 이용해서는 평면 1 링크, 2 링크를 대상으로 한 위치/힘 제어는 가능하나, 운동 방정식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실시간에서 다 링크 다 관절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힘/위치를 제어하기는 어렵게 여겨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집중 정수 모델링 방법인 집중 스프링 질량 모델(Lumped Spring Mass Model)을 이용하여 환경에 구속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운동 방정식을 산출했다 이 모델을 실험기인 유연 매니퓨레이터 ADAM(Aerospace Dual Arm Manipulators)에 적용하여 실시간 위치/힘 제어 실험을 행하였으며, MATLAB를 이용하여 해석했다. 또한, ADAMS$^{TM}$ FEM를 이용하여 분포 정수 모델을 도출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결과와 집중 정수 모델을 이용한 MATLAB 해석의 결과, 그리고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속받는 유연 매니퓨레이터의 집중 정수 모델 타당성을 입증시켰다.

  • PDF

Development of Ceramic Pepper Dryer (세라믹 고추 건조기 개발)

  • Cho, Hyun-Seob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8-180
    • /
    • 2008
  • 세라믹 건조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탄화규소가 주원료로한 세라믹 발열판을 제작하여 건조기 내부에 설치하여 실험하였다. 발열판 장착위치에 따른 실험결과 위치는 큰 변수가 되지 않았고, 발열판 자체 온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온도 분포는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