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성자료처리

Search Result 37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velopment of Radar-Satellite Blended QPF Technique to Rainfall Forecasting : Extreme heavy rainfall case in Busan, South Korea (레이더-위성 결합 초단기 강우예측 기법 개발: 부산 호우사례 적용 (2014년 8월 25일))

  • Jang, Sang Min;Yoon, Sun Kwon;Park, Kyung Won;Yhang, Yoo B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6-226
    • /
    • 2016
  • 최근 이상기상현상과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지적인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돌발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확도가 우수한 초단시간(1~2시간 이내) 예측 강우량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에 대한 초단시간예보 및 실황 예측을 위해 시공간적으로 고해상도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상레이더 강우자료와 위성영상 자료를 결합하여 초단기 강수 예측기법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상레이더 강우량은 지상강우관측에 비해 정확성이 낮고,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위성영상에서 산출되는 강우자료와 결합하여 강우추정의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레이더 볼륨자료에서 반사도 자료를 추출하여, 1.5km CAPPI(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자료를 생성하고, 반사도 CAPPI 자료의 패턴 상관분석을 통하여 강우시스템의 최적 이동벡터를 산출하였다. 또한 이동벡터를 고려하여 시공간적으로 외삽하여 강우이동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초기자료로 레이더와 천리안 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영상자료에서 생성되는 강우자료를 결합한 강수장 자료를 이용하여 강수 예측장을 생성하였다. 레이더-위성 결합 초단기 강우예측 모델의 정확성 검증을 위하여 2014년 8월 25일 부산 및 영남 지역에 발생한 집중호우 사례에 대하여 지상기상자동관측시스템(Automatic Weather System, AWS) 강우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으며, 그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초단기 강우예측 분석 결과 지상강우자료와의 오차가 발생하나, 추후 여러 통계적 후처리 과정을 통하여 그 성능이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보다 정확한 강우량 예측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알고리즘 개선 및 모형의 검 보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between In-situ data(Tide gauge) and Satellite data(Topex/poseidon) in the East Sea (한국 동해 해역의 조위계 현장자료와 Topex/Poseidon 위성자료간의 비교 연구)

  • 윤홍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05a
    • /
    • pp.759-761
    • /
    • 2001
  • 한반도 동해의 외해역(울릉도) 및 내해역에서(포항 및 묵호)의 조사된 T/P 해면자료와 TG해면자료간의 상관성이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의 1992년 10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관측된 T/P자료와 TG자료를 각각 이용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1) 비교적 조석의 영향이 우세한 내해역에 위치한 포항 및 묵호가 외해역에 위치한 울릉도에 비해서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큰 차이는 M2, S2, Kl 분조 등에 의한 조석변형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것은 주로 T/P자료에 기인하는 조석오차이다. 2) 조석변형 때문에 발생하는 신호는 해양신호와 관계없는 잘못된 거짓신호로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lowpass filter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대체로 외해역의 경우는 60일, 120일, 180일, 200일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함에 따라 상호 두 자료간의 유의성이 점차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내해역의 경우에는 거의 유의성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00일의 필터를 처리했을 때, 외해역에 위치한 울릉도는 상관값이 0.91로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고, 그리고 내해역에 위치한 포항 및 묵호는 각각 0.58 및 0.65로서 울릉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의성을 보였다.

  • PDF

In-Orbit Test Operational Validation of the COMS Image Data Acquisition and Control System (천리안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의 궤도상 시험 운영 검증)

  • Lim, Hyun-Su;Ahn, Sang-Il;Seo, Seok-Bae;Park, Durk-Jo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6 no.2
    • /
    • pp.1-9
    • /
    • 2011
  • Th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COMS), the first geostationary observation satellite, was successfully launched on June 27th in 2010. The raw data of Meteorological Imager(MI) and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the main payloads of COMS, is delivered to end-users through the on-ground processing. The COMS Image Data Acquisition and Control System(IDACS) developed by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in domestic technologies performs radiometric and geometric corrections to raw data and disseminates pre-processed image data and additional data to end-users through the satellite. Currently the IDACS is in the nominal operations phase after successful in-orbit testing and operates in National Meteorological Satellite Center,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and Satellite Operations Center, During the in-orbit test period, validations on functionalities and performance IDACS were divided into 1) image data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2) preprocessing of MI and GOCI raw data, and 3) end-user dissemination. This paper presents that IDACS' operational validation results performed during the in-orbit test period after COMS' launch.

Introduction to Image Pro-processing Subsystem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정지궤도 해색탑재체(GOCI) 전처리시스템)

  • Seo, Seok-Bae;Lim, Hyun-Su;Ahn, Sang-I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6 no.2
    • /
    • pp.167-173
    • /
    • 2010
  • This paper introduces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IMage Pre-processing Subsystem (GOCI IMPS) of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and describes its functions, development states, and operational concepts. The primary and backup systems of GOCI IMPS have been installed in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SC) and Satellite Operation Center (SOC) and the system are the prelaunch test phase after completing all required tests. It is expected that the GOCI data observed continuously over the Korea Peninsular in the geostationary orbit will be usefully utilized in marine environment research fields such as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s or marine ecosystems.

한국지질자원연구원 GPS 상시관측망 정밀좌표 계산

  • Lee, Yeong-Cheol;Im, Mu-Taek;Park, Yeong-Su;Im, Hyeo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605-607
    • /
    • 2006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1990년대 초반부터 순차적으로 강원도 경주, 양산, 삼척, 홍성, 정선, 지리산 등 6 개 지역에 GPS위성들이 발사하는 자료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자동관리할 수 있는 GPS 상시관측소를 설치하고 GPS위성자료를 축적해 왔다. 이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축적된 자료 중 2005년과 2006년에 걸친 자료를 이용하여 정밀좌표를 계산하였다. 자료처리에는 스위스 Bern대학이 개발한 Bernese4.0을 이용하였다. 이렇게 계산된 위 6 개 GPS상시관측소의 정밀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GPS위성자료를 사용하는 하는 지구과학 분야 및 측량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PDF

A Study of CHAMP Satellite Magnetic Anomalies in East Asia (동아시아지역에서의 CHAMP 위성자료에서의 지각 자기이상의 연구)

  • Kim, Hyung Ra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1
    • /
    • pp.117-126
    • /
    • 2021
  • Satellite magnetic observations reflect the magnetic properties of deep crust about the depth of Curie isotherm that is a boundary where the magnetic nature of the rocks is disappeared, showing long wavelength anomalies that are not easily detected in near-surface data from airborne and shipborne surveys. For this reason, they are important not only in the analyses on such as plate reconstruction of tectonic boundaries and deep crustal structures, but in the studies of geothermal distribution in Antarctic and Greenland crust, related to global warming issue. It is a conventional method to compute the spherical harmonic coefficients from global coverage of satellite magnetic observation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inclusion of erroneous data from the equator and the poles where magnetic observations are highly disturbed might mislead the global model of the coefficients. Otherwise, the reduced anomaly model can be obtained with less corruption by choosing the area of interest with proper data processing to the area. In this study, I produced a satellite crustal magnetic anomaly map over East Asia (20° ~ 55°N, 108° ~ 150°E) centered on Korean Peninsula, from CHAMP satellite magnetic measurements about mean altitude of 280 km during the last year of the mission, and compared with the one from global crustal magnetic model (MF7). Also, a comparison was made with long wavelength anomalies from EMAG2 model compiled from all near-surface data over the globe.

A Study on Watershed Management Technique using SWAT Model and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SWAT모형과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하천유역 관리기법연구)

  • Lee, Ji-Wan;Lee, Mi-Seon;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2
    • /
    • 2010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자료를 비점오염원 분석에 적합한 SWAT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정밀토지이용도의 분류항목으로 설정하고 영상에서 추출 할 수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경안천 유역($260.54km^2$)으로 기상자료는 1998년부터 2008년 동안의 경안천유역 6개의 강우관측소 자료와 3개의 기상관측소 자료를 수집하여 구축하였다. 수질자료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1999~2008년까지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점오염원자료는 경안, 오포, 매산 하수처리장의 1990~2007년까지의 일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해상도 위성영상(KOMPSAT-2)을 환경부의 토지피복분류체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토지이용분류 항목을 설정하고 스크린 디지타이징 방법을 통해 제작한 정밀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정밀토지이용도를 SWAT 모형에 적용하여 분석 시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30m 중해상도의 환경부 토지이용도와의 모형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달을 이용한 천리안위성 기상영상기 노화 경향 분석

  • Kim, Jae-Gwan;Lee, Byeong-Il;Kim, Yong-Seok;Son, Seung-Hu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1.2-211.2
    • /
    • 2012
  • 천리안위성은 통신, 해양, 기상 임무를 띤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복합위성으로 지난 2010년 6월 27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후 동경 128.2도, 적도 상공 약 35,800 km 고도의 정지궤도에 안착되었다. 이 후 약 6개월 여의 궤도상시험 기간과 2개월의 안정화 기간을 거쳐 2011년 4월 1일, 기상청은 위성자료 서비스를 위한 정규운영을 시작하였다. 천리안위성의 기상탑재체인 기상영상기는 다중채널 복사계로 한반도 주변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 기후 변화 및 대기 운동 그리고 급변하는 기상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실시간 관측과 전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 기상영상기를 운용하는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지상국에서는 자료수신 및 영상전처리시스템을 갖추고 수신된 위성신호로부터 영상 분리 후 복사보정 및 기하보정을 수행하며, 위성자료배포시스템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들에게 처리 자료를 배포하고 있다. 영상 복사보정은 기상영상기 내의 각 채널별 디텍터가 감지한 지구복사휘도의 전기적 신호를 지상에서 복사휘도와 휘도온도 값으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절대검정체로서 흑체와 우주보기 값을 이용하는 적외채널과 달리, 가시채널 디텍터는 절대검정체가 탑재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우주보기 값 외에 대리검정 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가시채널 노화도 분석에 달 관측을 통한 비교 분석이 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천리안위성 기상영상기의 정규운영 1년간의 가시채널 디텍터의 노화도는 6 % 이내로 측정되었고, 이는 일반적인 정지궤도위성 센서의 노화도인 6 % 내외 값 변화량에 견주어 잘 운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에는 천리안위성 기상영상자료의 품질 및 매개변수의 변화 경향도 함께 제시하였으며, 달을 이용한 기상영상기 노화 분석과 보정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다.

  • PDF

우주물체감시 검출기 시스템 설계 및 시험

  • Lee, Seong-Hwan;Geum, Gang-Hun;Jin, Ho;Park, Je-Gwon;Lee, Jeong-Ho;Choe, Yeong-Jun;Park, Ja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20.1-220.1
    • /
    • 2012
  •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OWL: Optical Wide-field Patrol)는 광학망원경을 통해 우주물체를 검출하는 시스템이다. 검출기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Chopper, Filter Wheel, De-Rotator로 구성된 Wheel station과 CCD 카메라로 구성된다. Chopper는 CCD 영상에서 위성의 궤적을 자르는 역할을 하고 Filter Wheel은 관측대상의 파장 영역대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영상획득용 CCD카메라는 천문관측용 Full Frame 방식의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으며 모델명 PL16803의 FLI 제품을 사용한다. 검출기시스템은 시스템 부팅 후 "Health check"를 통하여 검출기시스템의 상태를 점검하고 "과거이력관리" 및 "과거미처리 영상관리"를 점검하여 부팅 이전에 비상사태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어 처리되지 못한 명령이나 영상자료를 처리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보고서를 기록하여 보관한다. 검출기시스템은 관측명령서(OCF: Observation Command File)를 받게 되면 자동 관측을 수행하며, 자동 관측 전에 "OCF 동기화"를 통하여 최신의 명령을 유지한다. 자동 관측이 종료된 후에는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영상자료 처리과정 중에는 위성의 궤적을 "Line-Detection"을 통해 검출하고 World Coordinate System(WCS)를 계산 한 후, 이미지 상의 특정 위성 궤적의 좌표를 RA, DEC으로 표현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외에도 운용 소프트웨어에는 자동 초점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출기 부분에 대한 설계 및 시험의 과정을 기술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the Rain Attenuation Data using COMS Communication Satellite (천리안통신위성 강우감쇠 데이터 측정)

  • Choi, Kyung-Soo;You, Moon-Hee;Jung, Won-Chan;Kim, Jae-Hoon;Ahn, Do-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783-784
    • /
    • 2012
  • 본 논문은 위성방송통신에서 강우 시 위성신호 감쇠로 인한 가용도 저하의 개선을 위한 보상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인 강우감쇠 예측모델 수립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멀티 운용 측정 시스템의 개발 및 구축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또한 본 멀티시스템을 통하여 주요 지역의 측정 데이터 및 강우강도를 연계 측정 분석하였으며, 본 분석 자료를 다년간 축적하여 한국형 Ka 대역 강우 감쇠 예측모델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