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성군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3초

항재밍/저피탐 웨이브폼이 적용된 군 초소형 위성 통신체계 소개 (Introduction of Military Nano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i-Jamming and Low Probability of Detection (LPD) Waveforms)

  • 이주형;박해원;정길수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3권2호
    • /
    • pp.144-153
    • /
    • 2023
  • 기존의 군 위성 통신체계는 적의 재밍 공격 및 신호 수신을 대비한 특수한 통신 탑재체가 장착된 정지궤도 통신위성을 기반으로 하였는데, 무인체계 등 새로운 무기체계가 등장함에 따라 신규 통신 수요를 충족시킬 저궤도 위성 기반의 위성 통신체계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큐브 위성 기반의 통신체계에 적합한 다양한 웨이브폼 기술과 미래 군 초소형 위성 통신체계의 운용 개념에 대해 소개한다.

차기 군 위성통신 체계를 위한 자원 할당 및 IP 네트워킹 (Resource Allocation and IP Networking for Next Generation Military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 노홍준;고광춘;이규환;김재현;임재성;송예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1호
    • /
    • pp.939-954
    • /
    • 2013
  • 한국군은 미래 군 위성통신의 요구 사항에 걸맞은 한국형 군 위성통신 체계 구축을 위하여 고속대용량, 생존성 보장, All IP 통신, 기동성 보장과 같은 발전 방향을 목표로 차기 군 위성통신 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차기 군 위성통신 체계의 최적 자원 할당과 IP 네트워킹 기술에 집중하여, MF-TDMA 자원 할당, 랜덤 액세스, 위성/지상 연동망 구조, 그리고 PEP의 세부 연구 분야에 대하여 연구 내용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분야에 대한 기존 연구는 채널 효율 및 처리량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더하여 차기 군 위성통신 체계를 위한 연구는 이기종 단말, Full Mesh 환경, 분산망, 위성/지상 연동망, 항재밍 등의 특성 들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각 분야 별 핵심 연구 이슈들을 제시하고, 주요 이슈에 대하여는 모의실험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민/군 지구관측위성 개발 동향 및 향후 국내 위성사업 방향 (Development Trends of Civil/Milit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and Direction of Prospective Domestic Satellite Projects)

  • 정현재;최윤혁;황인영;서인호;김경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791-800
    • /
    • 2021
  • 본 논문은 우주 선진국 및 우리나라의 민/군 지구관측위성 개발 동향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국내 위성사업의 현황 및 향후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우주 선진국의 민/군 지구관측위성 개발 동향은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이스라엘, 중국 그리고 일본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구관측위성 개발 방향에 대해 예측하였다. 일반적으로 위성 개발이라는 용어는 위성시스템을 구성하는 위성체, 지상체 및 발사체 등을 모두 포함하여 개발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지만, 본 논문에서는 위성 시스템이 아닌 위성체 자체의 개발을 중점으로 사용하였다.

GPM 위성강우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GPM Satellite-derived Precipitation Data)

  • 김주훈;최윤석;김경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601-601
    • /
    • 2016
  • 글로벌 위성 기반의 강수량 관측에 대한 역사는 1979년에 Arkin의 의해 제안된 IR방법에 의해 위성으로 부터 강우자료를 유도하는 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7년 해양에서의 비교적 정확한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다중 채널의 마이크로파(MW) 복사계를 이용한 방법으로 위성강수 추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후 두 IR과 MW를 혼합한 방법에서, 또다시 1997년 TRMM위성의 PR(Precpipitation Radar)의 레이더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2014년 GPM 핵심 위성(GPM Core Observatory)에 탑재된 Dual PR에 의한 방법으로 위성강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가고 있다. 전지구강수관측위성(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Mission) 사업은 미국우주항공국(NASA)과 일본우주항공국(JAXA)의 주도로 전 지구 규모의 강수관측을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추가 파트너로 프랑스의 CNES(French Centre National d'?tudes Spatiales), 인도의 ISRO(Indian Space Research Organisation), 미국 NOAA, 그리고 유럽연합의 EUMETSAT(European Organisation for the Exploitation of Meteorological Satellites)가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4월 발사된 GPM핵심 위성의 발사에 따라 제공되는 GPM 위성강우 자료의 정확도 평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GPM 데이터는 Level-1에서 Level-3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Level-3의 IMERG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성강우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IMERG 위성강우자료는 GPM 위성군의 모든 수동 MW 데이터를 조합하여 강우량을 추정하는 데이터이다. 자료의 시간적 범위는 2015년 8월 18일~8월 20일이고 공간적 범위는 한반도 영역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정확도 평가를 위한 지상계측자료는 기상청 ASOS(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의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GPM에서 제공되는 IMERG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는 그림 1과 같이 전라도 지역에 많은 강수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의 기상청 ASOS 관측 강수량 기록은 전국적으로 1순위가 고창군 25.5mm, 2순위가 부안군 21.9mm, 3순위가 정읍 및 영광군이 19.0mm로 위성으로부터 관측된 값과 지상계측값의 공간적 분포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위성강우 및 지상계측강우의 시계열적 정확도와 총강우량 등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 PDF

초소형위성체계 운용을 위한 위성궤도요소 분석 및 위성군 배치기법에 대한 고찰 (Analysis of Satellite Orbit Elements and Study of Constellation Methods for Micro-satellite System Operation)

  • 이성섭;손지혜;송영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37-345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 초소형위성체계가 운용개념에 맞게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위성궤도요소 별 고려사항을 분석하고, 통상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워커 기법 대비 지상반복궤적 궤도의 위성배치 기법에 대한 성능을 비교한다. 위성궤도요소 분석에서는 초소형 위성군의 고도후보군, 동결궤도를 통한 궤도 이심율 및 근지점 경도의 활용, 적절한 궤도 경사각 선정의 필요성, 동일한 지상반복궤적을 비행하기 위한 위성군 배치 규칙 등을 제안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지상반복궤적 궤도의 위성군 배치는 워커 기법과 비교하여 재방문 성능 분석, 글로벌 커버리지 특성, 궤도 일관성 측면에서 우월성이 검증된다.

휴대형 이동위성통신체계 군 활용방안

  • 한이수;임철민;한상우;권오주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11호
    • /
    • pp.30-38
    • /
    • 2016
  • 정지궤도를 사용한 휴대형 이동위성통신체계는 광역성과 경량화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어 군사적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휴대형 이동위성통신체계의 군사적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휴대형 위성통신체계의 특성과 외국군의 적용사례를 살펴보고, 한국군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이를 위한 기술개발 소요를 제시하였다.

GNSS 상시관측소 운영 현황 분석을 통한 위성측량 인프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Satellite Surveying Infrastructure through Analysis of Operation Status of GNSS CORS)

  • 박준규;엄대용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933-940
    • /
    • 2017
  • 현대 사회는 4차 산업혁명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서 사람과 사물의 융합과 연결을 선도하는 공간정보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GNSS 상시관측소는 국가적인 인프라로써 공간정보의 기초가 되는 측량기준점, 지도제작 등과 이와 관련된 산업분야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위성측량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 위성측량 인프라에 대한 고도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상시관측소 운영 현황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위성측량 인프라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와 IGS 상시관측소의 수신기, 제조사, 이용가능 위성군 등이 파악되었으며, 현황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다중 위성군 이용 가능 상시관측소 비율이 IGS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다중 위성군의 활용은 측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중 위성군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시관측소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위성측량 인프라의 고도화는 위성측량 서비스 및 관련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선된 측위성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측위 관련 기술 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군 위성통신 체계를 위한 PEP 기술 동향

  • 이규환;김종무;김재현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10호
    • /
    • pp.11-17
    • /
    • 2015
  • 네트워크 중심전에서 위성통신체계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고, 차기 위성 통신 체계의 요구사항들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PEP (Performance Enhancing Proxy) 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고에서는 차기 군 위성 통신 체계에서 적용 가능한 PEP 주요기술들과 상용 제품들의 특성을 알아보고, cross-layer 기반 PEP기술과 SOTM (Satellite communication On-The-Move) 단말을 위한 PEP 기술 동향에 대해서 살펴본다.

태양동기궤도 위성군 궤도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Sun-synchronous Spacecraft Constellation Orbits)

  • 김화영;노태수;정옥철;정대원;최진행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1-14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된 태양동기궤도 위성에 위성군 개념을 적용하여 다중 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태양동기궤도 설계 관점을 단순히 지방시나 태양동기성을 유지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지상국과 영상목표물의 교신 및 관측시간등을 고려하여 위성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위성과 단일 목표물을 고려한 새로운 운영요소(Operation Parameter)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성의 운영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운영효율성 지표(Figure of Merit)를 정의한다. 상용 소프트웨어인 MATLAB과 STK의 연동을 통해 비선형 시뮬레이션 기반의 수치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임무궤도를 재설계함으로써 본 연구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중형 통신위성의 발전 방안 (A Study of Mid-sized Communication Satellite in Korea)

  • 우형제;이대일;한상우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4-109
    • /
    • 2016
  • 해외 제작으로 개발된 무궁화위성의 상용 중계기 기술을 시작으로 위성통신의 중계기술은 Ku 대역 및 Ka 대역의 우주인증용 탑재체 구성부품의 개발을 거쳐 천리안위성 1호에 국내 기술로 개발된 Ka 대역 탑재체를 성공적으로 탑재하여 운용함으로써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군용 위성통신은 능동중계기인 Dehop/Rehop 중계기를 탑재한 무궁화위성 5호의 아나시스(ANASIS) 체계로써 시작되어, 항재밍/저피탐 기능을 갖춘 대전자전 중계기(DAT)와 통신용량 증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중계기(DCAMP)의 탑재가 개발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되는 정지궤도 위성의 개발현황을 살펴보고, 탑재 개발되었던 상용 및 군용의 중계기술을 토대로 국내 군 위성통신의 개발 방향을 논하고자 한다. 제한된 주파수 자원을 고려할 때, 평시에는 다양한 중용량의 군 위성통신 신호를 중계하고 준 전시에는 모드를 변경하여 지능적인 고기동 전술 재밍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전장적응형 간섭회피의 겸용 중계기술이 주요할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도약 및 중용량 겸용의 중형급 군 통신위성이 국내의 자립 기술로써 개발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고 사료가 된다.